• 제목/요약/키워드: Food preservative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9초

대장균 β-galactosidase를 이용한 benzyl alcohol galactoside의 합성 연구 (Enzymatic synthesis of benzyl alcohol galactoside using Escherichia coli β-galactosidase)

  • 정경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72-580
    • /
    • 2019
  • 최근에 화장품, 식품, 그리고 의약용품의 첨가제로 사용되어지는 benzyl alcohol (BzOH)에 대한 독성 문제와 피부 알러지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첨가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alactose 한 분자를 BzOH 분자에 결합시킨 benzyl alcohol galactoside (BzO-gal)를 합성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를 수행하였다. 이미 선행연구에서 대장균의 ${\beta}$-galactosidase (${\beta}-gal$)를 이용하여 BzOH로부터 BzO-gal이 transgalactosylation 반응으로 합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대장균의 ${\beta}-gal$을 이용하여 BzOH로부터 BzO-gal의 합성을 반응액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을 이용하여 BzO-gal-sodium adduct ion (m/z=293.1004)과 BzO-gal의 protonated ion (m/z=271.1180)의 검출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BzOH로부터 BzO-gal로의 합성반응을 실시 할 때, 최적의 ${\beta}-gal$ 양, BzOH 양, 반응 온도, 반응 pH, lactose 농도 등 반응의 최적 조건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75 U/ml ${\beta}-gal$, 185 mM BzOH, 온도 $40^{\circ}C$, pH 7.5, 350 g/l lactose의 조건이 가장 많은 양의 BzO-gal이 합성되는 최적의 조건을 확인하였다. 또한, BzO-gal의 최적 합성 조건에서 36시간 동안 ${\beta}-gal$에 의하여 185 mM BzOH로부터 약 131 mM BzO-gal이 합성되었고, 이 때, 전환 수율(conversion, %)은 약 72%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다 안전한 식품, 화장품, 그리고 의약품용 첨가제의 개발을 기대하고 있으며, BzO-gal의 특성 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식중독 관련 위해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분석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Rubus coreanum against Microorganisms Related with Foodborne Illness)

  • 전연희;순샤오칭;김미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5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a Rubus coreanum (Bokbunja) ethanol extra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determined by disc diffusion,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growth inhibition methods with seven kinds of bacteria related to foodborne illness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 the results, disc diffusions of the ethanol extract from R. coreanum (9.8-17.5 mm at $4,000{\mu}g/disc$) clearly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against all tested microorganisms. Rubus coreanum promoted an inhibitory effect as follows: E. coli O157:H7 > P. aeruginosa > L. monocytogenes > E. coli > S. aureus > B. cereus ${\geq}$ S. typhimurium. In the MIC test, R. coreanum showed high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L. monocytogenes at 500 ppm. Moreover, the R. coreanum ethanol extract showed strong growth inhibition against microorganisms, similar to the MIC results. These results show that a R. coreanum ethanol extract has powerful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tested microorganisms, suggesting that R. coreanum will be useful as a potential natural preservative.

홍삼에 분리한 Aspergillus sp.의 동정 및 식품보존료가 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Identification of Aspergillus sp. Isolated from Red-Ginseng and Effect of Preservative on Its Growth)

  • 주종재;곽이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3-207
    • /
    • 1996
  • One kind of fungus was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comtaminated red-ginseng in order to give fundermental data for improving hygienic quality of ginseng product.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Aspergillus sp. Hyphae of the strain had septum structrue. The strain showed vesicle and sterigmata structure which were typical characteristics of Aspergillus species. The growth of the strain was slightly inhibited by sodium benzoate and potassium sorbate at a concentration of 0.05%. The strain showed no growth at 4.0% potassium sorbate. The isolated stain Aspergillus sp. showed no significant degradation in the presence of red-ginseng saponins.

  • PDF

Natural Extracts as Inhibitors of Microorganisms and Lipid Oxidation in Emulsion Sausage during Storage

  • Lee, Jeeyeon;Sung, Jung-Min;Cho, Hyun Jin;Woo, Seung-Hye;Kang, Min-Cheol;Yong, Hae In;Kim, Tae-Kyung;Lee, Heeyoung;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60-1077
    • /
    • 2021
  • Food additives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freshness and quality of foods, particularly meats. However, chemical additives may not be preferred by consumers, and natural materials with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may be used as replacements for common chemical additive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ural compounds extracted with ethanol and hot water, and emulsion sausage prepared with natural ethanol extracts was analyzed for pH, colo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growth during storag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49 natural extract candidate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C. perfringens, 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were analyzed, and six natural materials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ies, i.e., Elaeagnus umbellata Thunb. f. nakaiana (Araki) H. Ohba, Punica granatum L., Ecklonia cava, Nelumbo nucifera Gaertner, and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and Rubus coreanus Miq.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hot water extracts, where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hot water extracts. The TBARS values of emulsion sausag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and the TBARS values of emulsion sausages prepared with natural extract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sausages. Natural extract-treated emulsion sausages showed a 99% reduction in bacterial contents compared with untreated sausages on day 2, with greater than 99.9% reduction after day 3.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natural extracts could have applications as natural preservatives in meat products.

감마선(線) 조사(照射)에 의한 Pork Sausage의 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第) 2 보(報) 방부제(防腐劑)의 방부효과에 미치는 감마선(線) 조사(照射)의 영향(影響) -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Pork Sausage by Gamma Radiation - Part 2. Influence of Gamma Radiation on the Preservative Effects of 2-(2-Furyl)-3-(5-Nitro-2-Furyl)-Acrylamide and Potassium Sorbate for Pork Sausage -)

  • 김연진;공운영;권중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9-54
    • /
    • 1973
  • 방부제(防腐劑)와 감마선(線)을 병용(倂用)한 pork sausage 의 저장효과를 방부제(防腐劑) 잔존량적(殘存量的) 면(面)에서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저장 중 방부제잔존량(防腐劑殘存量)과 세균수(細菌數) 및 pH 를 저장온도별로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照射)직후 방부제(防腐劑) 잔존량(殘存量)은 조사선량(照射線量)에 비례하여 감소를 하였으며, AF-2에 비하여 K-SOA가 예민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었다(P<0.01). 2) 저장중 방부제(防腐劑) 잔존량(殘存量)은 선량(線量)의 증가와 저온저장(低溫貯藏)에서 잔존율(殘存率)이 높았으며 K-SOA 보다는 AF-2의 감소율이 적었다. 3) 세균수(細菌數)의 증가는 방부제(防腐劑)의 잔존율(殘存率)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여(P<0.01) 선량(線量)의 증가, 저온저장(低溫貯藏) 및 AF-2가 세균증식억제(細菌增殖抑制)에 주요(主要)한 역할을 했음이 인정되었다. 4) 방부제(防腐劑) 잔존량(殘存量)과 세균수(細菌數) 및 관능검사결과(官能檢査結果)와의 관계에서 0.50 Mrad 조사구(照射區)가 방부제(防腐劑) 잔존량(殘存量)이나 저장성(貯藏性)에서 가장 우월하였고 조사취(照射臭) 및 산패취(酸敗臭)를 전연 생성하지 않았으므로 적정선량(適正線量)으로 하였다. 5) 소세지 표면(表面)의 heme 계색소(系色素)에 대한 감마선(線) 조사(照射)의 영향은 거의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울금 추출물의 항균효과 및 첨가식품의 미생물학적.관능적 특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UlGeum (Curcuma longa L.) Extract and Its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 Effects in Processed Foods)

  • 최해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0-356
    • /
    • 2009
  • 식용 식물색소자원인 울금 추출물의 항균성실험을 통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고, 실제 식품에의 이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를 떡과 국수에 첨가하여 식품 보존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울금을 건조시켜 분쇄한 후 에탄올로 추출, 농축한 것을 10% 농도로 희석하여 1${\sim}$4 mg/disc 농도가 되게 첨가하여 식품부패 미생물의 증식 억제 효과를 검색한 결과 E. coli와B.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은 disc에 점적한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inhibition zone의 크기가 증가하여 4 mg/disc 농도에서 각각 10, 11 mm의 항균력을나타내었고 S. aureus는 4 mg/disc 농도에서만 8.5 mm의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항균활성을 바탕으로 울금추출물을 첨가식품에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0,0.25, 0.50, 0.75, 1.00% 농도로 첨가한 떡과 국수를 제조하여 0, 1, 2, 3, 4일 동안 20$^{\circ}$C에 저장하면서 미생물검사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 첨가 떡과 국수가 대조군에 비해 미생물의 증식이 현저히 적었으며, 첨가량이 많을수록 저장효과가 뛰어나 항균활성을지닌 울금 추출물의 첨가가 식품의 저장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관능검사결과 떡과 국수 모두울금 추출물 0.50% 첨가군이 가장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울금 추출물 첨가는 떡과 국수의 기호성을 높이고 저장성을 연장시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녹차씨 전처리와 추출 조건에 따른 녹차씨 추출물의 추출 수율 및 항효모 활성 (Extraction Yield and Anti-Yeast Activity of Extract from Green Tea Seeds by Pretreatment and Extraction Conditions)

  • 양은주;선유경;위지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51-1357
    • /
    • 2016
  • 항효모 활성이 우수한 녹차씨로부터 천연 보존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추출 원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녹차씨의 전처리 방법을 평가하였다. 과피 유무에 따른 녹차씨의 추출 결과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은 같았으며, 추출 수율은 과피를 제거한 속씨에서 근소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에 따른 녹차씨의 수분 함량은 항효모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추출 수율은 7.3% 수분 함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쇄 공정에 따른 녹차씨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은 같았으나, 원료의 입도가 작은 믹서 분쇄 원료에서 추출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녹차씨 오일을 추출한 부산물인 탈지 녹차씨를 추출하여 보존소재 원료로써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항효모 활성은 녹차씨 추출물과 같았으며, 탈지 방법에 따라 수율은 다르게 나타나 헥산 추출 탈지 녹차씨보다 압착 탈지 녹차씨의 추출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녹차씨의 전처리 방법 평가에 따라 천연 보존소재를 추출하기 위한 원료로서 과피가 포함된 녹차씨를 수분 함량 7.3%로 건조한 후 롤밀 분쇄하여 착유기로 오일을 추출한 탈지 녹차씨를 제조하였다. 탈지 녹차씨를 추출 용매에 따라 추출한 후 수율 및 항효모 활성을 조사한 결과 경제성이 높은 추출 용매는 물이 적합하였다. 추출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탈지 녹차씨의 추출결과 $90^{\circ}C$ 추출에서는 항효모 활성이 다소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 수율과 항효모 활성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물을 용매로 하였을 때 $50^{\circ}C$, 4시간 추출 조건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게 가공폐기물을 이용한 식품보존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Food Preservative with the Waste of Crab Processing)

  • 장동석;조학내;구효영;최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0-78
    • /
    • 1989
  • 게 껍질 속에 함유된 chitin으로 부터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는 chitosan의 제조 방법과 특성을 구명하였으며, 이 chitosan을 이용하여 식품의 변질에 관련된 미생물을 중심으로 항균력을 조사하여 천연 식품 보존료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상법에 따라 조제한 분자량 2,800,000의 고분자 chitosan은 2,000ppm의 농도로 대장균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등, 항균력을 보유하고 있기는 하였으나 미약하였다. 2. Deacetylation 처리 시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에서 8시간 boiling시켜 얻은 분자량 35,000의 저분자 chitosan은 75ppm으로 대장균의 중식을 억제시킬 수 있어서 고분자 chitosan에 비해 20배 가량 항균력이 증대되었다. 3. 세균에 대한 chitosan의 항균력에 있어서 Bacillus sp. 나 구균류 등의 Gram 양성균은 50ppm 첨가로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Gram 음성균에 대해서는 균종에 따라 차이가 커 Pseudomonas sp. 와 Vibrio sp. 는 100ppm으로, Salmonella는 2,000ppm으로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4. 진균류에 있어서 Saccharomyces sp.는 100ppm으로 억제되었으나, Hansenula sp.는 5,000ppm에서도 증식이 일어나 효모류는 균종간에 차이가 켰으며, 곰팡이류에 대해서는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숙성시킨 물김치에 chitosan을 첨가하여 저장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었는데, chitosan $0.2\%$ 첨가후 $5^{\circ}C$에 저장함으로서 무첨가구에 비해 10일 가량 품질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이 chitosan은 천연 식품 보존료로 이용 가능하다고 하겠다.

  • PDF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정성 조사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 김수정;신재윤;박윤문;정구민;이종화;권대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1-24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한방재료인 감초에서 항균력을 가지는 유효물질을 얻기 위해 추출 조건을 최적화한 후 최적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용매를 선정한 후 용매의 농도, 추출 온도, 추출 시간 등을 결정하였다. 감초를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등의 용매로 추출한 후 항균 활성을 조사함으로써 에탄올을 최적 추출 용매로 선정할 수 있었다.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하였을 때는 무수에탄올일 때 항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나 95% 농도와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비용을 고려하여 추출 용매는 95% 에탄올로 선택하였다. 95% 에탄올로 감초를 추출할 때 상온에서 12시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후 14종의 Gram(+) 세균, Gram(-) 세균, 효모 등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미생물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Gram(-) 세균은 $250{\mu}g/mL$, Gram(+) 세균은 $25{\mu}g/mL$ 이였고 효모는 $50-500{\mu}g/mL$으로 조사 되어, Gram(+) 세균에 대한 탁월한 항균활성을 가졌다. 추출물을 열과 pH 처리한 후 항균활성이 감소하지 않고 잘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상기의 추출물은 열과 pH에는 비교적 안정하다고 판단된다. 감초 에탄올 추출물은 여러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열과 pH 에 대해서도 안정하므로 식품의 천연보존료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저장중 온도, pH, potassium sorbate를 이용한 딸기 paste의 natural microflora의 증식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emperature, pH, and Potassium Sorbate against Natural Microflora in Strawberry Paste during Storage)

  • 조준일;하상도;김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55-360
    • /
    • 2004
  • 시판중인 딸기의 미생물에 대한 잔류오염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그들 잔류 미생물들을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대장균, 유산균, 그리고 효모/곰팡이 등의 5가지로 구분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총호기성균은 약 8 log CFU/g, 대장균군은 약 2 log CFU/g, 그리고 유산균은 약 3 log CFU/g 정도씩 각각 검출되었다. 그리고 대장균과 효모/곰팡이는 검출한계(< 10 cells/g)미만에서 불검출되었다. 그리고 model system으로서 딸기 paste를 제조하여 7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온도, 보존제, 딸기 paste의 pH 등 3가지 hurdle들이 딸기에 잔류하는 총호기성균, 대장균군, 그리고 유산균의 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딸기 paste의 저장온도는 저온($4^{\circ}C$), 상온($20^{\circ}C$), 그리고 고온($37^{\circ}C$)을 선정하였고, 보존제는 0.1% potassium sorbate를 사용하였으며, 딸기 paste의 pH는 4와 7로 조정하였다. 이들 3가지 hurdle별 딸기 paste의 저장기간 중 잔류미생물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저장온도 >pH> potassium sorbate 첨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hurdle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경우 딸기 paste의 pH를 4로 하여 potassium sorbate를 0.1% 첨가한 후, $4^{\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딸기 중 잔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