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manufacturing

검색결과 1,131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 of Different Brine Injection Levels on the Drying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ef Jerky

  • Kim, Dong Hyun;Shin, Dong-Min;Lee, Jung Hoon;Kim, Yea Ji;Han, Sung G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8-110
    • /
    • 2022
  • Meat jerky is a type of meat snack with a long shelf life, light weight, and unique sensory properties. However, meat jerky requires a long manufacturing time, resulting in high energy consumption. In this study, beef jerky was prepared by inject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rine at different hot-air drying times (0-800 min). When the brine injection levels were increased to 30%,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such as drying time and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owing to the relatively high water content and the formation of porous structure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e.g. meat color, porosity, shear force, and volatile basic nitrogen) of the beef jerky injected with 30% brine were improved owing to the shortened drying tim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showed that the beef jerky structure became porous and irregular during the brine injection process. Our novel processing technique for manufacturing beef jerky leads to improv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ortened drying times.

곤약의 제조공정 및 최적 저장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Konjac Manufacturing Process and Optimum Storage Conditions at Room Temperature)

  • 이난희;최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3-188
    • /
    • 2020
  • 곤약의 제조 공정은 크게 분말제조과정, 응고과정 및 제성과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곤약의 일반세균수는 응고제와 침지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뚜렷한 감소 경향을 나타낸 반면 용수의 온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곤약의 저장성 실험에서 응고제[Ca(OH)2] 농도를 1.0%로 유지할 경우 인장강도는 10개월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0.8% 이하로 유지할 경우 급격한 감소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세균수도 인장강도의 변화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응고제 농도를 1.0%로 고정한 후 침지액에 의한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시험된 모든 침지액 농도(4×10-3-1.2×10-2 N)에서 인장강도와 일반세균수 모두 저장 10개월까지 큰 변화없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곤약의 저장시 응고제의 농도가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온에서 응고제의 농도를 1.0% 이상 유지할 경우 침지액의 농도에 상관없이 상온에서 10개월 동안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떡류의 제조공정별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s in the Processing of Korea Rice Cakes)

  • 정세희;최송이;조준일;이순호;황인균;나혜진;오덕환;박경진;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1-168
    • /
    • 2012
  • 떡은 수분활성도, pH, 보관온도 등이 미생물 증식에 적합하고 구입 후 별도 조리과정 없이 그대로 섭취하는 식품으로 미생물학적 안전문제를 자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유통 떡에 문제시되는 미생물학적 위해요인을 제조공정별로 파악하고 그 위생관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3가지 떡 (시루떡, 가래떡, 경단)을 선정하여 원료, 제조공정 및 제조환경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8가지 원재료의 오염도 분석결과 일반세균 2.5~4.5, 대장균군 ND~1.9, 진균수 1.2~2.1, B. cereus 1.0~2.1 log CFU/g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E. coli, S. aureus, C. perfringens는 검출되지 않았다. 떡의 제조공정별 오염도 분석결과 원료의 불림 분쇄 공정에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진균, B. cereus의 오염도가 증가하나 증자 후 감소하여 완제품에서 일반세균은 2.2~3.7, 대장균군 ND~1.8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제조환경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분석결과 전처리실의 쌀분쇄기, 냉각수조, 펀칭기 등의 설비에서 오염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처리실 작업자의 개인 위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장 공기 오염도 분석결과 청결구역 3곳에서 일반세균 34~46, 대장균군 2.5~7.0, 진균수 14~30 $CFU/plate{\cdot}5min$ 검출되어 권장 낙하세균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떡의 원재료 및 완제품의 미생물학적 오염수준은 안전하나 제조환경의 오염도는 문제시되는 것으로 나타나 제품의 교차오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제조 설비 및 표면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하고 작업자 위생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선행하여 작업자 개인의 위생 수준 향상, 작업장 내 공기중의 미생물 관리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학교급식 식재료 제조.가공업체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An Evaluation of Food Safety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of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Supply Foods to School Foodservice)

  • 김윤화;이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535-1544
    • /
    • 2010
  •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 생산 가공업체의 위생관리수준과 식재료품질관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식재료 생산 가공업체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평균은 4.72/5점이었고, 콩나물업체의 수행수준이 가장 낮았다. 위생관리실태 영역 중 원부재료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았고, 개인위생관리, 작업관리, 작업장과 주변 환경관리, 운송영역의 관리순이었다. 협력업체의 위생평가와 세척 및 소독 지침에 관한 항목, 작업관리 영역, 정확한 손 세척 수행 항목, 원부재료 운송차량 관리 항목, 식재료 운송영역에서 HACCP 지정업체와 미지정업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위생관리 수행수준 영역 중 위생구역 구분관리, 세제와 소독제에 의한 식재료 오염 방지, 위생복, 위생화, 위생모의 착용여부, 세척시설을 갖춘 정확한 손 세척, 원부재료의 온도관리확인 및 서류보관, 원부재료의 청결확인 및 서류보관, 원부재료의 운송차량과 수송설비의 청결유지와 소독의 항목이 업체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원부재료에 대한 이력추적관리는 58.8%의 업체가 실시하고 있었고, 생산품에 대해서는 61.8% 정도 실시되었다. 식재료의 온도관리가 어려운 이유는 과다적재로 인한 것으로 조사되어 과다적재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정확한 식재료의 공급을 위한 식재료의 품질규격화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 식재료의 안전한 생산을 위해 생산 가공업체에서는 위생교육을 더욱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위생교육 내용을 교육대상자의 요구에 맞추어 선정하고, 일방적인 강의형식의 교육보다는 교육매체를 활용한 보다 능동적이고 흥미로운 위생교육을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최대한 높여야 할 것이다.

소비자주의(消費者主義)에 입각(立脚)한 식품(食品)의 표시제도(表示制度) 개선(改善)에 관한 연구(硏究) (An Analysis of the Improvement of Food Labelling Standard based on Consumerism)

  • 남상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11-217
    • /
    • 198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Sanitary Regulation of Foods. In view of consumerism, this result will be used in re-regulating the law. Among the Sanitary Regulation of Foods, this study focuses on the Standard of prepackaged Food Labelling, because it is related both with the advertising from the food manufacturer's point of view and with the perception about the food itself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After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provisions about the Standard of Prepackaged food Labelling, and compare other sanitary regulation of foods in developed countries (U.S.A. and Japan), basic research framework was derived. The research framework focuses on the user perception about the validity of provisions about the Standard of Prepackaged Food Labelling, and on the existance of exaggeration in food advertising using prepackaged fo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aires from the sample covering 374 food custom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est and the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food consumers consider such provisions as date of manufacturing, circulation time limit, cautions for food handling, price, and manufacturer as important factors in buying food products. Among these factors, the date of manufacturing and circulation time limit are most critical factors, and must be labelled correctly on the prepackaged food cover. But other provisions which do not affect on consumer's buying decision (e.g. business admission number, self standard number) need not be labelled. From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the provisions about the standard of prepackaged Food Labelling currently used must be devided into two parts. One is 'mandatory provisions' which must be obeyed by all food manufacturets, and the other is 'autonomous provisions' which need not be obeyed by all food manufacturers. And mandatory provisions need to be regylated more strongly than now.

  • PDF

전통 식초의 종류와 제조방법에 관한 문헌 연구 (Literature review on type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korean traditional vinegar)

  • 박은희;최찬영;권훈주;김명동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9권4호
    • /
    • pp.94-99
    • /
    • 2016
  • 식초는 신맛을 내는 역할에 집중되어 개발되고 산업화되어 발효 식초보다는 합성 식초가 발달하였다. 최근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발효 식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발효 식초 산업의 성장을 증가시키고 있다. 미용에 관심이 많은 여성소비자들을 겨냥한 파인애플, 자몽, 알로에 등 다양한 외국산 과일을 사용하는 식초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쌀과 같은 지역 특산물을 이용하는 전통 발효 식초는 과일 식초에 비하여 성공적인 상업화가 드문 편이다. 따라서 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농산물을 활용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기능성 식초 제품을 개발하고 상업화하기 위한 보다 체계적인 기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고문헌을 바탕으로 전통 발효 식초의 종류와 제조방법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 식초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Korean Soybean Paste and Soy Sauce, Using Aspergillus oryzae AJ 100 as a Flavor Improver

  • Park, Hea-Kyeung;Kim, Jong-Ky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208-211
    • /
    • 2008
  • Previously, it has been reported that Aspergillus oryzae can efficiently degrade unpleasant odor components such as butyric acid and 3-methyl butanoic acid from meju, a major ingredient in both Korean soybean paste (doenjang) and soy sauce. In this study, the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superior quality Korean soybean paste and soy sauce were determined. Specifically, A. oryzae AJ 100 was utilized to improve the flavor of these products. Mixtures of Korean soybean paste and A. oryzae AJ 100 culture (2 : 1), and of Korean soy sauce and A. oryzae AJ 100 culture (5 : 1), were incubated for 2 weeks at $30^{\circ}C$, and showed improved flavor. Butyric acid and 3-methyl butanoic acid were clearly degraded under these culture conditions.

차 향기의 생성 메커니즘 (Formation Mechanism of Aroma Compound during Tea Manufacturing Process)

  • 조미자;조기정;최현숙;최두복;조기안;조훈
    • KSBB Journal
    • /
    • 제31권2호
    • /
    • pp.91-99
    • /
    • 2016
  • Tea is an aqueous infusion of dried leaves of the plant Camellia sinensis L. and is the second most widely consumed beverage around the world after water. Aroma compounds of tea differ largely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even from the same categories of different origins. The flavor of tea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aste (non-volatile compounds) and aroma (volatile compounds). In the present study, we review the formation mechanism of main aromas generated from carotenoids, lipids, glycosides as precursors, and Maillard reaction during the tea manufacturing process, with biological and chemical mechanisms.

A Survey of Mycotoxins In Commerical Foods and Fate of Mycotoxins During Food Processing

  • Kamimura, Hisashi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5-169
    • /
    • 1990
  • The natural occurrence of mycotoxins in food and foodstuffs and the fate of mycotoxins during food processing were investigated. Aflatoxins and /or Fusarium mycotoxins(nivalenol, deoxynivalenol and zearalenone) were detected in commercial samples of various foods and foodstuffs collected at Tokyo markets. It was found that the mycotoxins were decomposed at high temperature, but some remained after heating at usual temperatures for an ordinary period for domestic cooking(boiling, deep-frying of grilling). Industrial food manufacturing processes were relatively effective for removing mycotoxi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