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impac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식편압입의 발현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OCCURRENCE OF FOOD IMPACTION)

  • 정재훈;오상천;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0-5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food impaction and to explore solutions as well. For this study, 39 patients with food impaction were selected. 77 contact areas in these patients were investigated mobility, tightness of contact area, gingival index, plaque index, attachment loss, alveolar bone loss, proximal caries, marginal ridge distance and occlusal relationshi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eeth without distal support were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site of food impaction (41.6%). Food impaction was found to be more frequent in the upper teeth (65.2%) than the lower teeth (33.8%). 2. Food impaction was found in tight contact cases (71.4%). Alveolar bone loss was not found in the early stage of food impaction (83.1%) 3. The distance between the marginal ridges of food impaction sites (mean=0.48mm)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mean=0.77mm) (p<0.001) 4. In 18.2% of the cases, proximal carries were found at the food impaction site. 5. Food impaction affected patient's occlusion with the following frequencies, cusp to marginal ridge relationship (72.7%), cusp to fossa relationship (3.9%) and stepped relationship (23.4%).

  • PDF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의 식편압입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food impaction between implant prostheses and adjacent teeth)

  • 신동욱;이진한;김세연;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7-33
    • /
    • 2014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의 식편압입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각종 임상 자료를 분석하여 식편압입의 임상적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식편압입을 주소로 내원한 보철물 장착이 완료된 임플란트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구강검사를 시행하고 방사선 사진과 모형을 채득하여 식편압입과 관련이 있는 요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식편압입은 하악(39.2%)보다 상악(60.7%)에서 많이 나타났다. 2. 식편압입은 자연치아가 임플란트 보철물의 원심 부위(13.7%)에 있는 경우보다 근심 부위(86.2%)에 있는 경우에 많이 나타났다. 3. 식편압입이 나타난 임플란트 보철물과 그 인접치 사이의 접촉점은 긴밀하지 않은 경우(94.2%)가 대부분이었다. 결론: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에 식편압입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아가 적절한 긴밀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겠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식편압입: 교합적 원인분석과 대처 (Food impaction related with trauma from occlusion)

  • 조리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8호
    • /
    • pp.491-505
    • /
    • 2014
  • Food impaction between the implant prostheses and adjacent teeth i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problem. It may be caused by the migration of the adjacent teeth. This symptom may be observed at the mesial aspect of implant prostheses especially, and related with the multiple contributing factors including teeth vitality and antagonist. Idal proximal contact with optimal strength and shape should be made for preventing the food impaction. Shape of customized abutment and prosthesis should have optimal emergence profile. Long duration from the extraction to the delivery of implant prostheses, the adjacent teeth and antagonist teeth may have possibility of occlusal interferences. Remained teeth mobility can induce the food impaction regardless of interproximal contact strength. Occlusal adjustment to remove occlusal interferences can be a method for enhancing the stability of interproximal contact.

임플란트 보철 후의 식편압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인접치와 대합치 (Considerations for minimizing food impaction after implant prosthesis: Adjacent and antagonistic teeth)

  • 조리라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7-55
    • /
    • 2022
  • 임플란트 수복 후 발생하는 인접면 공간개방으로 인한 식편압입은 임플란트를 시술한 환자에게 매우 흔히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는 임플란트와 치아의 움직임 기전이 달라 발생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30-60% 정도 발생하는데, 기여요인으로는 악골(하악), 부위(구치부), 인접치(실활치) 및 대합치(자연치 또는 임플란트) 등이 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할 수는 없으나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가급적 이상적인 인접접촉을 가지도록 상부 1/3에 협설로 인접치와 대칭적인 인접면 형태를 만들어 주기 위해 오목한 형태나 하방이 풍융한 인접치 형태를 수정하고 수복할 때는 다른 조건을 수정하여 변연융선의 높이를 맞추어 주어야 한다. 불규칙한 교합평면은 예후를 나쁘게 하는 원인이므로 정출된 대합치를 수정하고 기능이상을 유발하는 원심협측 교두를 수정함으로써 이상적인 교합평면을 회복함으로써 식편압입 현상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Virtual Design Considerations for Fixed Dental Prosthesis Including Axial Contour and Proximal Contact to Maintain Periodontal Health and Physiologic Function: A Narrative Review

  • Jun-Ho Cho;Se-Hyoun Kim;Jae-Bok Lee;Hyung-In Yoon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05-114
    • /
    • 2023
  • The axial contour and proximal contact of the prosthesis affect periodontal health, food impaction, and patient satisfaction. This narrative review provides a summary of articles regarding the axial contour and proximal contact of a fixed dental prosthesis on periodontal health and physiologic function. By acquir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axial contour and proximal contact of teeth and prostheses, as well as their functional significance, the virtual design of fixed dental prosthesis can be optimized to maintain periodontal health and promote physiologic function effectively.

Accidental case of large colon impaction in a horse

  • Berzina Dace;Zeeshan Muhamad;Chekarova Irina;Park Hee-Jin;Yoon Hyun-Sang;Lee Seung-Yeon;Oh Myong-Ho;Kim Bum-Seok;Lim Chae-Wo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9-82
    • /
    • 2006
  • A 5 years old gelding (Thoroughbred, Equus caballus) had shown severe abdominal pain, colic, after overeating of hay in the feed storage. following through treatment, it subsequently died. Grossly, the large colon was impacted with firm mass of food and congestion of blood vessel in the intestinal wall. There were mild peritonitis and pleuropneumonia. This case demonstrates typical large colon impaction with hard consistence ingesta due to improper management of horse.

개방된 인접면 접촉이 인접자연치와 임플란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en proximal contact on adjacent tooth and implant)

  • 문소현;김광윤;조성현;송주헌;김희중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1호
    • /
    • pp.9-17
    • /
    • 2022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된 인접면 접촉이 인접하는 자연치와 임플란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에서 2008부터 2018년 사이에 개방된 인접면 접촉으로 제작된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물을 장착한 환자 중에서 유지관리기간이 최소 3년 이상이고 인접하는 자연치아가 건강하면서 대합치가 고정성 수복물인 임플란트를 20개 선정하여 실험군(Group A)으로 하였다. 동일한 선정기준 하에 같은 기간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구치부 임플란트 20개를 대조군(Group B)으로 하였다. 두 그룹사이에 임플란트와 접하는 자연치의 우식, 식편압입, 임플란트의 변연골 상실을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Group A과 Group B 사이에 치아우식과 식편압입 및 변연골 흡수의 발생빈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Group A와 Group B의 평균 변연골 흡수양은 각기 0.80 ± 0.39 mm, 1.1 ± 0.43 mm였으며, 두 그룹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이 실험의 결과내에서, 개방된 인접면 접촉을 가진 임플란트 보철은 인접하는 자연치와 임플란트에 어떠한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선택적인 상황에서 임상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진행성 전신 경화증에서의 구강악안면변화 - 문헌고찰 및 증례보고 - (Orotacial Changes in Progressive Systemic Sclerosis -Review of Literature & Report of a Case-)

  • 김은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3권10호통권197호
    • /
    • pp.875-879
    • /
    • 1985
  • A 29-year-old male patient was referred to Dept. of Dentistry due to halitosis and food impaction, who had been diagnosed as progressive systemic sclerosis at Dept. of Dermatology, SNUH. Oromaxillofacially lips were slightly thin, rigid and shiny. Pale gingiva and pinched nose were found also. Radiographically, uniform extreme widening of periodontal ligament space was found.

  • PDF

치조제의 유지와 수복 (Alveolar Ridge Preservation & Augmentation)

  • 정성민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2-40
    • /
    • 1998
  • Alveolar ridge augmentation and preservation techniques designed to reconstruct deformed alveolar ridge now occupy a major role in esthetic dentistry. Previously, deformed alveolar ridges were filled with plastic materials(porcelain or resin) of prosthesis to restore ridge contours, which resulted in larger teeth and food impaction under the pontic base. So, prostheses of this type were unacceptable and really detectable when patients smiled. But nowadays, alveolar ridge augmentation procedures enable the dentists to provide patients with fixed prostheses that are esthetic. The development of guided tissue regeneration technique and materials also have made a major impact on extending the scope of therapeutic horizons in dentist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