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group intake pattern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5초

Hesperidin 과 Naringin 이 흰쥐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speridin and Naringin on Antioxidative Capacity in the Rat)

  • 손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4호
    • /
    • pp.687-696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hesperidin and naringin on linpid peroxide formation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rat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plasma and liver.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were measured in erythrocyte and liver. Forty-nine male Sprague-Dauley rats weighing 275.3$\pm$3.3g were block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were raised fro four weeks on diets containing 0.25, 0.50 or 1.00%(w/w) hesperidin or naringin . Food intake, weight gain , food efficiency ratio, and weights of liver, kidney, spleen ,and epididymal fat pa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In 0.50 and 1.00% naringin groups , plasma TBARS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 dose response patter. In 0.25, 0.50 and 1.00% hesperidin groups, liver TBARS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out a dose dependent patter. Antiosidative enzyme activities in erythrocyte and liver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ype and amountof dietary bioflavonoid, but in the 1.00% hesperidin group,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hione perosidase activities in linver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conclusion, naringin inhibited lipid peroxide formation with a dose response pattern in plasma without changing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Hesperidin adminstration, regardless of the level in the diet, inhibited lipid peroxide formation in liver.

  • PDF

고 나트륨 섭취 노인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품섭취패턴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 장자영;김미정;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62-1372
    • /
    • 2009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고나트륨 섭취군을 분류하여 노인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을 조사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135명의 조사대상자 중 42.96%인 58명이고나트륨 섭취군에 속하였다. 생활습관에서 음주, 간식횟수, 외식횟수, 수분섭취량에서 고나트륨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반류, 젓갈류, 장아찌, 조림류, 국물 섭취량, 간장과 소금의 추가량에 관한 식습관 점수가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나트륨 섭취군의 나트륨에 관한 영양지식 총점이 남녀노인 모두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남자노인은 나트륨과 인스턴트식품, 나트륨과 인공조미료에 관한 문항에서, 여자노인은 나트륨과 질병과의 관계, 나트륨 섭취권장량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Na index 14의 김치찌개, 된장찌개, 미역국, 멸치볶음에서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인스턴트식품을 통한 총 나트륨 섭취량은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남자노인 1562.49 mg, 여자노인 1227.82 mg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면류를 통한 섭취량이 70% 이상이었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Na index 14 점수(p<0.05), 인스턴트식품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p<0.01), 나트륨 섭취 관련 식습관 점수가 낮았다. Na index 14 점수에 대해 세끼 식사의 규칙성, 식사량의 적정성, 천천히 식사함(p<0.01) 항목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Na index 14 점수가 높을수록 인스턴트 국류(p<0.01), 탕류(p<0.01), 죽류(p<0.01), 스프류(p<0.01), 면류(p<0.01), 레토르트류(p<0.01)의 섭취가 높았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나트륨 과잉 섭취 노인의 특성 및 섭취요인을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고나트륨 섭취군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행동변화에 중점을 두는 영양교육이 요구되어지는 바이다.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대사증후군 모델 동물에서 백호가인삼탕(白虎加人參湯)의 장내미생물 및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한 대사 개선 효과 (The Effect of Baekhogainsam-tang on Metabolism through Modulation of the Gut Microbiota and Gene Expression in High-Fat Diet Induced Metabolic Syndrome Animal Model)

  • 조민진;한송이;임수경;송은지;남영도;김호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15
    • /
    • 2023
  • Objectives We aimed to find out the improvement effect of Baekhogainsam-tang (Baihu Jia Renshen-tang, BIT) on metabolic syndrome and alteration of microbiota and gene expression. Methods We used male C57BI/6 mice and randomly assigned them into three groups. Normal control group was fed 10% kcal% fat diet, high-fat diet (HFD) group was fed 45% kcal% fat diet and 10% fructose water. BIT group was fed same diet as HFD group and treated by BIT for once daily, 6 days per week, total 8 weeks. We measured their body weight and food intake every week and performed oral glucose tolerance test 1 week before the end of the study. Then we collected the blood sample to measur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sulin, and hemoglobin A1c. We harvested tissue of liver, muscle, fat, and large intestine for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Fresh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animal to verify alterations of gut microbiota and we used RNA from liver tissue for microarray analysis. Results The body weight and fat weight of BIT group were reduced compared to HFD group. The qPCR markers usually up-regulated in metabolic syndrome were decreased in BIT group. Bacteroides were higher in BIT group than other group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gene expressions between two groups such as Cyp3a11 and Scd1. Conclusions We could find out BIT can ameliorate metabolic syndrome and suggest its effect is related to gut microbiota composition and gene expression pattern.

식이급여형태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 지방조직의 지방합성 및 지방합성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al Pattern on Lipogenesis and Lipogenic Enzyme Activity in Rat Adipose Tissue Fed High Fat Diet)

  • 이재준;최현숙;정은;최병대;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35-343
    • /
    • 2006
  • 본 연구는 식이급여형태를 달리하면서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부고환지방조직과 장간막지방조직의 지방조직 부위별 지방합성량, 지방합성에 관여하는 주된 효소인 ME, G6PDH 및 6PGDH 활성 및 지방축적의 주된 효소인 LPL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Sprague-Dawley 계통 수컷 흰쥐 16마리를 체중에 따라 2군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고, ad libitum군은 실험 식이를 무제한 급여하였으며, meal-fed군은 1일 1회 3시간씩 제한 급여하였다. 지방조직의 지방합성량은 포도당이 총지방으로 변하는 양으로 측정하였고, 지방조직의 G6PDH, 6PGDH 및 ME 활성은 NADPH 생성량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지방조직의 LPL 활성과 혈청 지단백질, 중성지방 및 insulin 함량도 측정하였다. Meal-fed군이 ad libitum군에 비해 식이섭취량 저하로 인한 증체량 및 부고환지방조직과 장간막지방조직의 무게가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식이급여형태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혈청 중성지방 함량은 meal-fed군이 ad libitum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insulin 함량은 저하되었다. 지방합성량 및 G6PBH과 6PGDH 활성은 부고환지방조직과 장간막지방조직 모두 meal-fed군이 ad libitum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ME 활성은 식이급여형태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은 meal-fed군이 ad libitum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지방조직 부위에 따른 차이는 지방함량, 지방합성량 및 G6PDH와 LPL 활성은 부고환지방조직에 비해 장간막지방조직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이와 같이 meal feeding시 섭취한 에너지를 체지방 형태로 더 많이 보유하도록 지방조직내 지방합성량과 지방합성 관련 효소들의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지방조직 부위에 따라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출신 국가에 따른 식생활행동 조사 (Dietary Behavior of Marriage Migrant Women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정현;이명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64
    • /
    • 2016
  • Objectives: Nowadays, the multicultural families make up significant portion of Korean population and communities. Successful re-settling in a new country can be difficult, particularly when there are disparities in dietary behavior compared to home country.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behavior of marriage migrant women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e primary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94 marriage migrant women who came from China (40.4%), Vietnam (26.6%), and other countries except for Japan (33.0%). We investigated their dietary behavior, such as eating attitude and food choice behavior for Korea acculturation. We also studied dietary behavior among 14 selected subjects who had high level of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acculturation patterns by administer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FGI). Results: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d more integration acculturation patterns, which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their nationality. Vietnamese origin has the highest cultural adaptation as marginalization pattern. The common types of Korea acculturation were integration ($3.03{\pm}1.08$), separation ($3.10{\pm}0.59$), marginalization ($3.10{\pm}0.58$), followed by assimilation ($2.84{\pm}0.5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ur types of acculturation by marriage immigrant women's country of origin (p<0.05).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eliminating hunger' wa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a meal. Chinese marriage migrant women, who had higher level of food intake attitude significantly, also considered 'being healthy' an important value. Regarding food choice behavior, Vietnamese had lowest frequency of homeland food intake. Most of marriage immigrant women were satisfied with the Korean food, and need for education was very high with interest for cooking, good nutrition, and managing their children's dietary life. Conclusions: Coping with a change in dietary behavior is one of the biggest transitional difficulties, and family members may need support to find their familiar food items and to continue their cultural food choice behavior in the local areas. Further researches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ietary behavior for accultur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Cholecystokinin에 의한 음식물 섭취 억제시 흰쥐 뇌내 Dopamine 함량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및 생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and Biochemical Studies on Dopamine Content in Rat Brain During Cholecystokinin-Induced Suppression of Feeding)

  • 정주호;김양제;임성빈;박승준;고계창;정지창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9-48
    • /
    • 1994
  • 포만중추 (satiety center)를 자극하여 음식섭취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CCK-8을 흰쥐 복강에 투여하여, 흰쥐 뇌의 도파민 변화에 대한 CCK-8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흰쥐 뇌의 부위별 도파민 함량은 HPLC-ECD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시상하부와 흑질에서의 TH-immunoreactive neuron은 면역조직화학법과 영상분석법을 시행하였다. 굶긴 쥐에서는 정상 쥐에 비하여, 도파민 함량이 전두 피질, 해마, 시상하부 및 편도체에서 각각 감소하였다. CCK-8을 투여한 쥐는 정상 쥐와 굶긴 쥐에 비하여, 도파민 함량이 시상하부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굶긴 쥐는 정상 쥐와 비교하여, TH-positive neuron의 분포와 수가 뇌실옆핵, 깔때기핵, 정중융기 및 혹질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CCK-8투여시, 시상하부와 흑질에서의 TH-immunoreactive neuron의 수는 굶긴 쥐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보아 음식물 섭취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CCK-8은 시상하부의 도파민 신경계와 일부분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시상하부와 흑질에 존재하는 TH-positive neuron은 음식물 섭취 행위에 중요한 역할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서울시 소재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어린이집 간식식단의 유형 및 식품 다양성 (Menu pattern and food diversity of snack menus provided by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s in Seoul)

  • 여윤재;권수연;이영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6호
    • /
    • pp.443-45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서 제공하는 간식에 대한 식품 가이드 등 구체적인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어린이집 간식식단의 유형 및 식품의 다양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육아종합지원센터 총 14개소에서 2013년 3월 중 어린이집에 제공한 오전 및 오후 간식 630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제공시간에 따라 간식식단의 유형 및 식품 다양성에 차이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두 가지 메뉴 품목을 포함한 간식식단이 가장 많았으나 (66.8%), 오전간식 (1.63개)에 비해 오후간식 (1.74개)의 메뉴 품목 가짓수가 유의적으로 더 많았다. 스낵 음료 조합 패턴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스낵과 음료를 각 한 개 포함한 (Food + Beverage) 비율이 가장 높았다 (56.7%). 간식식단의 식품군별 제공비율을 분석하였으며 총 630식의 간식식단에서 곡류, 고기 생선 달걀 콩류, 채소류, 과일류, 우유 및 유제품류를 포함하고 있는 식단은 각각 63.5%, 20.3%, 24.9%, 23.0%, 45.6%였다. 간식식단의 식품군 패턴에서는 곡류 (G)와 곡류+우유 및 유제품류 (G + D) 패턴이 각 18.9%, 17.1%로 가장 비율이 높았다. 식품군별 다빈도 메뉴 품목을 분석하였으며, 곡류에서는 '빵류 (21.3%)', 고기 생선 달걀 콩류에서는 '콩류 (32.5%)', 채소류에서는 '숙채류 (66.7%)', 과일류에서는 '생과일 (85.1%)', 우유 및 유제품류에서는 '우유 (66.9%)'가 제공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 특히, 오후간식 식단에서 한 가지 식품군만으로 구성된 경우가 절반 정도로 제공되는 식품이 다양하지 못했다. 또한 오후간식의 경우 전체 식단의 약 1/3이 곡류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충분한 무기질과 비타민 공급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었다. 식사로 섭취하기 어려운 우유 및 유제품류는 간식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연구 결과 전체 간식식단의 46%에만 포함되어 있었으며, 과일류 제공 비율은 23%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들에게 질적, 양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간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오전과 오후간식의 기본 형태, 식품군 구성, 메뉴유형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며 통합적인 기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거주형태에 따른 공주지역 여대생의 식생활양상 비교 (Dietary Patterns of University Female Students in Kongju City : Comparisons among Subgroups Devided by Residence Type)

  • 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7호
    • /
    • pp.653-674
    • /
    • 1995
  • This study was aimed at comparing the dietary patterns of university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residence type. As for subjects, one hundred and twenty students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were chosen as a total. They were devided into three groups ; those who live in family home, or university dormitory, or self-boarding house. In this study, intakes of food and nutrient and dietary behaviors of each group were investigated through two-day food records and questionnaire. The result was that mean daily intakes of calcium and iron were lower than RDAs in all group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subjects of family home and self-boarding seemed to have more serious problem in the nutrients mentioned above considering the proportions of less than 2/3 of RDAs. Especially, iron status was poorer than any other nutrients in the aspects of this proportion and food source. Iron was taken largely from vegetable foods which were recognized as a source of low bioavailability of iron. The average distribution ratios of breakfast, lunch, dinner and snack to total calorie intake was 22, 29, 30 and 19. Thus, it proved that breakfast tended to be more negligent than any other meals, and that snack was an important means to give nutrients for subjects. This meal pattern might be one of the factor for the decrease of the dietary quality. Processed foods were founded to be an important source for providing nutrients. Percentages of calorie, carbohydrate and fat consumed by processed foods to total nutrients. Percentages of calorie, carbohydrate and fat consumed by processed foods to total nutrients intake were 30.6, 29.5 and 46.2. However, other nutrient intakes from processed foods such as vitamin and mineral were small. And processed foods which give nutrients were mainly cereal products like ra myon, bread, and milk and milk products. Consequently, processed foods seemed to be selected as a combinient substitute food which supply calorie to fill their hunger. According to the living type, dormitory students had them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groups. Food habit score was within the category of poor or fair. Particularly, the score of self-boarding students was the lowest of groups(p<0.05). The major dietary problems were small or overating, missing meal and irregular eating. The degree of these problems was a little different among groups(P<0.01). Nineteen kinds of food were consumed per day, and family home and self-boarding students had foods less variously than dormitory students(P<0.05). Proportions of skipping breakfast, lunch and dinner were 20.8, 12.5 and 8.3%. Accordingly, breakfast was missed more often than any other meals. And self-boarding students missed breakfast more often than any other groups. As a conclusion, subjects should take more calcium and iron, and eat diverse foods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And it is also necessary that breakfast should be regarded more importantly, and that processed foods should be taken considering nutritional balance. In view of residence type, subjects of family home or self-boarding had more dietary problems than dormitory subjects.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iversity female students might have low ability of meal management, and dietary patterns were different by their residence type. Therefore, nutrition education for them should be carried out with respect to dewelling environment.

  • PDF

보툴리눔 A형 독소가 저작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otulinum Toxin Type A Masticatory Efficiency)

  • 박형욱;권정승;김성택;최종훈;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1호
    • /
    • pp.53-67
    • /
    • 2013
  • 보툴리눔 독소는 Clostridium botulinum이라는 박테리아가 만들어내는 독소를 의료용으로 희석, 정제한 약제로서 이 독소가 시냅스 전 신경말단에 부착되어 신경근접합부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근육의 수축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보툴리눔 독소 주사 요법은 구강안면 분야에서 저작근의 근경축, 근경련, 운동이상증, 측두하악관절질환, 근막통증, 이갈이, 특발성 교근비대증 또는 만성편두통을 비롯한 두통 등 다양한 질환에서 가역적, 보존적 치료법으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사용 범위가 넓어지면서 교근이나 측두근 같은 저작근 부위에 주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그러한 경우 약제자체의 약리학적 작용에 의해 일시적인 근마비 및 근위축에 따라 저작기능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툴리눔 독소 주사치료의 효과나 활용에 대한 연구만이 주를 이루었고 부작용 중의 하나인 저작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몇몇 저작기능과 관련한 연구 또한 근전도 등을 이용한 정적인 상태의 저작력 감소에 대한 연구로, 실제로 동적인 저작 환경을 반영하는 저작 효율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총 40명의 건강한 성인환자를 대상으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요법을 교근 부위에만 시술 받은 사람 과 교근과 측두근 부위 모두에 시술 받은 사람 각각 20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주사를 시행하고, 주사 전과 주사 후 4주, 8주, 12주째의 저작 효율의 변화를 주관적 평가방법인 식품섭취능 (Food Intake Ability, 이하 FIA)과 저작 능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도 (Visual Analogue Scale, 이하 VAS), 객관적 평가 방법인 Mixing Ability Test를 시행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후 4주 째에 저작효율의 뚜렷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후 서서히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주사부위를 달리하여 본 결과 교근과 측두근에 모두 주사를 시행하는 경우, 교근에만 주사를 시행하는 경우에 비해 주관적, 객관적인 값 모두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인 값에 있어서 4주 째 유의하였으나 이후에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객관적인 값은 전 기간에 걸쳐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에서 정한 주사 용량에 대해서는 측두근까지 주사가 이루어지더라도 교근만 주사를 시행한 사람과 비교하여 저작효율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식품성상에 따라 저작 효율을 살펴본 결과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가 단단하고 질긴 음식 섭취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무르고 약한 음식의 섭취 시에도 유의할만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콩나물 제조중(製造中)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변화(變化)와 그 영양학적(營養學的) 연구(硏究) -제4보(第四報). 동물사육(動物飼育)에 의(依)한 영양평가(營養評價)- (Changes of Nitrogen Compounds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Soybean Sprout -Part V. Nutritional Evaluation Through Animal Feeding-)

  • 양차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4호
    • /
    • pp.207-212
    • /
    • 1981
  • 제조과정별(製造過程別) 콩나물을 단백질원(蛋白質源)으로 대두(大豆)와 비교(比較)하여 동물사육시험(動物飼育試驗)을 수행(遂行)하고 체중증가(體重增加), 사료효율(飼料效率) 및 단백질효율(蛋白質效率)을 화학적(化學的) 평가(評價)와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1. 생콩(Group A), 4일(日)생콩나물(Group B), 8일(日)생콩나물(Group C), 가열(加熱)한 콩(Group I), 가열(加熱)한 4일(日)콩나물(Group F), 가열(加熱)한 8일(日) 콩나물(Group G), 가열(加熱)한 4일(日) 콩나물자엽(子葉)(Group H) 그리고 가열(加熱)할 4일(日)콩나물배유(胚軸)(Group I)을 각각(各各) 단백질원(蛋白質源))으로 하여 4주간(週間)의 백서생육시험(白鼠生育試驗)에서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 그리고 단백효율(蛋白效率)(PER)의 크기는 Group E>Group H>Group F>Group G>Group I>Croup A,B 그리고 C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2. 체중증가량(體重增加量)은 essential amino acid index (EAAI) 및 requirement index (RI)와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 ($(r=0.996^{**}$$r=0.988^{**}$)를 보여 화학적(化學的) 평가(評憤)의 지침(指針)이 될 수 있으나 A/E, A/T, FAO reference protein 그리고 requirement pattern과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이지 않았다. EAAI와 RI에 의하면 콩나물의 단백질(蛋白質)의 질(質)은 가열(加熱)한 4일(日)콩이 가장 높았고 가열(加熱)한 4일(日)콩나물자엽(子葉), 가열(加熱)한 4일(日)콩나물중, 가열(加熱)한 8일(日)콩나물, 가열(加熱)한 4일(日)콩나물 배유(胚軸)의 순(順)으로 낮게 나타났다. 3. $25^{\circ}C$에서 4일(日)동안 기른 콩나물의 단백질(蛋白質)의 질(質)을 원료(原料)콩과 비교(比較)해 보면 화학적평가(化學的評價)에서 4.5%의 단백질(蛋白質)의 양적손실(量的損失)과 11%의 질적손실(質的的損失)(EAAI기준)을 일으켰으며 그리고 영양적평가(營養的評價)에서 7%의 단백효율손실(蛋白效率損失)과 18%의 체중손실(體重損失)을 일으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