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dye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5초

Fucoidan Induces Apoptosis in A2058 Cells through ROS-exposed Activation of MAPKs Signaling Pathway

  • Ryu, Yea Seong;Hyun, Jin Won;Chung, Ha So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3호
    • /
    • pp.191-199
    • /
    • 2020
  • Fucoidan, a natural component of brown seaweed,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ctivity,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gainst various cancer cells. However, the fucoidan has been implicated in melanoma cells via apoptosis signaling pathway. Therefore, we investigated apoptosis with fucoidan in A2058 human melanoma cells with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s. In our results, A2058 cells viability decreased at relatively short-time and low-concentration through fucoidan. This effects of fucoidan on A2058 cells appeared to be mediated by the induction of apoptosis, as manifested by morphological changes through DNA-binding dye Hoechst 33342 staining. When a dose of 80 ㎍/mL fucoidan was treated, the cells were observed: crescent or ring-like structure, chromatin condensation, and nuclear fragmentation. With the increase at 100 ㎍/mL fucoidan, the cell membrane is intact throughout the total process, including membrane blebbing and loss of membrane integrity as well as increase of sub-G1 DNA. Furthermore, to understand the exact mechanism of fucoidan-treated in A2058 cells,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to detect apopto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this study, Bcl-2 family proteins can be regulated by fucoidan, suggesting that fucoidan-induced apoptosis is modulated by intrinsic pathway. Therefore, expression of Bcl-2 and Bax may result in altered permeability, activating caspase-3 and caspase-9. And the cleaved form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was detected in fucoidan-treated A2058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2058 cells are highly sensitive to growth inhibition by fucoidan via apoptosis, as evidenced by activat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p38/Bcl-2 family signaling, as well as alteration in caspase-9 and caspase-3.

$H_2O_2$로 유도된 WB-F344 세포의 GJIC 억제에 대한 색상별 파프리카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Lipophilic Extracts from Different Colored Paprikas on Inhibition of $H_2O_2$-induced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s)

  • 김지선;김선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9-367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phytochemicals, including various carotenoids, tocopherol and L-ascorbic acid, in green, yellow and orange paprikas (GP, YP and OP) and measured the preventive effects of lipophilic extracts from different colored paprikas on the blockage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GJIC), which is known as a cellular event associated with tumor promotion. Main carotenoids were lutein and ${\beta}$-carotene in GP, lutein, ${\beta}$-carotene, capsanthin, violaxanthin, ${\beta}$-carotene and capsorubin in YP, and lutein, ${\beta}$-carotene, cryptoxanthin and zeaxanthin in OP. Total carotenoid contents were $65.54{\pm}15.87$ mg/100 g dw in OP, $11.98{\pm}0.69$ mg/100 g dw in YP and $10.30{\pm}1.43$ mg/100 g dw in GP. Tocopherol contents were highest in GP compared with in YP and OP, whereas L-ascorbic acid contents were very high in all paprikas. We determined the non-cytotoxic levels of paprika extracts by MTT assay, which showed less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duced by $500{\mu}M$ $H_2O_2$ for 1h. Finally, we showed that pretreatment of paprika extracts prevented inhibition of GJIC induced by $500{\mu}M$ $H_2O_2$ by the scrape-loading/dye-transfer technique. In conclusion, each colored paprika has unique phytochemicals and showed a protective effect on inhibition of GJIC.

활성탄 흡착에 의한 Erythrosine의 제거 특성 (Removal Charateristics of Erythrosine by Activated Carbon Adsorption)

  • 이종집;윤성욱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499-504
    • /
    • 2009
  • Erythrosine은 식용색소와 염료로 사용되지만 독성 때문에 미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입상활성탄에 의한 erythrosine의 흡착특성을 회분식 및 흡착칼럼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erythrosine에 대한 활성탄의 흡착능은 pH조절에 의해 크게 개선되었으며 pH 11에서 초기농도 1,000 mg/L의 98%를 제거할 수 있었다. 회분식흡착실험을 통해 흡착등온선을 구한 결과 erythrosine의 평형흡착관계는 10~1,000 mg/L의 농도범위에서 Freundlich식이 잘 적용되었다. 고정층 실험을 통하여 얻은 파과곡선으로부터 초기유입농도, 유입속도, 충전층의 높이가 흡착탑 운전에 중요한 설계변수가 될 수 있음을 알았다.

동과 분획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actions from Benincasa hispida on Inhibition of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유양희;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895-900
    • /
    • 2012
  • 본 연구에서 동과 물추출물의 계통분획을 통해 획득된 세가지 분획물인 핵산 분획(BHHH), 클로로포름 분획(BHH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BHHE)들을 3T3-L1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에 의한 lipid accumulation, 지방구내 triglyceride 함량을 평가하고, free glycerol release 함량과 adipogenesis와 관련된 transcription factor들의 발현 함량을 비교하여 동과 물추출물 중 anti-adipogenesis 활성 분획물을 밝히고, 이 분획물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50 ${\mu}g/mL$ 농도의 BHHC와 BHHE의 처리는 분화된 지방세포 내 지질 축척을 11%와 13%로 낮추었다.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TG)의 함량은 동일 농도의 각 분획물에서 21%와 16%로 낮게 나타났다. TG 함량의 감소와 지방구내 지질 축적의 감소, 즉 anti-adipogenesis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free glycerol 분비량을 평가하였다. 동일 농도의 BHHC와 BHHE에서 각각 13%와 17% 감소되어 나타났다. BHHC와 BHHE는 세포가 분화하는 동안 $PPAR{\gamma}$, C/$EBP{\alpha}$, leptin의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HHE의 경우 각 transcriptional factor들의 발현을 45%, 67%, 35%로 현저히 억제시키는 우수한 anti-adipogenetic 소재로 나타났다. 이에 BHHE는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Ulmus Macrocarpa 열수 추출물에 의한 비장세포 수명 연장 (Ulmus Macrocarpa Water Extract Prolongs Splenocyte Life Span)

  • 강경화;현숙경;황혜진;김병우;김철민;정경태;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76-1183
    • /
    • 2015
  • Ulmus macrocarpa 자양강장 및 생리활성 물질로 이용되어 왔다. U, macrocarpa 열수 추출물(UMWE)이 일반적인 세포배양 조건에서 비장세포 수명연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100 μg/ml UMWE를 비장세포에 처리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살아있는 세포확인은 Hoechst 33342 염색법과 세포생존관련 인자의 변화는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사이토카인 변화는 ELISA로 검증하였다. UMWE는 비장세포에 대하여 향상된 세포 생존력을 보였다. UMWE를 48시간과 96시간째 처리된 비장세포의 PI3K 및 ERK1/2의 인산화를 증가시켰다. 더욱이, 48시간과 96시간때에 Bcl-2의 발현량도 증가하였다. 반면, UMWE는 48시간과 96시간에 caspase-3의 활성이 줄어들었다. ICAD 단백질은 48시간에 증가하였다. UMWE는 조혈 및 세포생존력에 영향을 미치는 IL-2 cytokine량은 줄었지만 반면, IL-4 hematopoietin cytokine의 양은 증가하였다. UMWE는 48시간과 96시간에 증가된 IFN-γ level을 나타내었고 IL-12의 경우는 증가패턴을 보이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UMWE가 다양한 신호전달 및 사이토카인 조절을 통해 비장세포 수명연장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시중 유통 막걸리의 유기산 조성과 생리활성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 이상진;김지혜;정용우;박선영;신우창;박천석;홍성렬;김계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6-212
    • /
    • 2011
  • 막걸리는 고려시대 이후 제조된 우리나라 전통술이다. 본 연구는 막걸리의 유기산 분석과 생리 기능활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막걸리의 유기산 분석 결과, 막걸리는 유기산 중에서 유산균에 의한 대사 산물인 lactic acid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시판 막걸리에 따라 다양한 유기산 조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막걸리의 항비만 효과를 전지방세포인 3T3-L1 세포주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 대조군 대비 막걸리는 전지방세포 분화를 저해하였으며, 특히 $100{\mu}g/mL$의 농도에서 40-70% 수준으로 분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혈관신생 억제 효과와 항염증 활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각각 CAM assay와 LPS를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발한 murine macrophage RAW264.7 세포주에서 NO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막걸리는 50% 이상의 혈관신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농도의존적으로 NO의 생성량을 유의적 수준으로 저해하였다. 이런 결과를 종합할 때, 막걸리는 항비만, 혈관신생 억제, 그리고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막걸리의 누룩미생물 균총의 2차 대사산물의 효과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키토산 제조시 반응 온도와 시간 및 입자크기가 키토산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Time and Particle Siz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tosans)

  • 이우진;한범구;박인호;박승현;오훈일;조도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97-1002
    • /
    • 1995
  • 상업적으로 제조된 키틴으로 부터 키토산을 제조할 때 반응온도, 시간, 키틴의 입자크기가 제조된 키토산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78% 이상의 탈아세틸화를 시키기 위하여서는 $100^{\circ}C$에서는 6시간, $120^{\circ}C$에서는 20분, $140^{\circ}C$에서는 10분 정도를 처리하였으며 이때 생성된 키토산의 점도는 각각 180cps, 130 cps, 30 cps로 측정되었다. 또한 반응 후 잔류시간이 키토산의 점도를 감소시킴을 보였으며 키틴의 입자크기가 작은 경우에 탈아세틸화를 촉진시키며 동일한 탈아세틸화도에서 높은 점도를 유지하였다. 한편 생성된 키토산은 키틴에 비하여 수분흡수, 지방흡수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색소흡수능력은 평균 4배이상 증가하였다. IR스펙트럼에서는 전반적으로 둔화된 모습을 보였으며 특히 $1,000{\sim}1,800\;cm^{-1}$에서 흡수pattern이 둔화되었다.

  • PDF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의 중금속 함량 및 항산화 활성과 세포독성 효과 비교 (Heavy Meta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 Effect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Comparative Studies in Domestic and Imported Red Sea Bream (Pagrus major))

  • 황성연;배진한;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0-4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는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의 일반성분과 중금속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고 생리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참돔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하여 항산화 및 세포독성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입산과 비교했을 때 국내산 참돔은 높은 함량의 수분과 낮은 함량의 조지방, 조단백질 및 회분을 나타내었다.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의 중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원산지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국내산 참돔의 수은 함량은 0.08 mg/kg으로 수입산 참돔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납의 경우 원산지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의 A+M 및 MeOH 추출물을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저해효과를 살펴 본 실험 결과,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 추출물들에 의한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를 비교해 보면 수입산 참돔 추출물에 의한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두 추출물들 중 MeOH 추출물에 의한 저해효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인체 암세포들(AGS 및 HT-29)들에 대한 세포독성 활성 결과에서 AGS 암세포의 경우 국내산 참돔 A+M 및 MeOH 추출물들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수입산 참돔A+M 추출물들보다 높았다. HT-29 암세포에 대해서는 국내산 참돔A+M 추출물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수입산 참돔 A+M 추출물에 의한 것보다 높았고 MeOH 추출물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는 유사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향후 참돔의 다양한 생리활성 규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쪽잎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Bioactivity of Polygonium tinctorium Leaf: Potential Clinical Uses)

  • 성화정;최옥자;박종이;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2-5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염재,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쪽잎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쪽잎의 열수 추출물 및 ethanol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의 항산화, 항균, 항당뇨, 항응고,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쪽잎의 열수 추출효율은 27.6%로 ethanol 추출효율보다 약 2배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의 TP 함량은 51.2 mg/g으로 ethanol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이하게 총당 함량은 ethanol 추출물(297.8 mg/g)에서 열수 추출물보다 1.2배 높게 나타났다, 반면 TF 및 환원당 함량은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p<0.05). 항균 활성 평가 결과, ethanol 추출물은 L. monocytogenes, S. epidermidis, S. aureus 및 B. subtilis의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만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열수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ethanol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강력한 38.8%의 DPPH 소거능, 84.5%의 ABTS 소거능과 환원력($OD_{700}=0.357$)을 나타내었으나, nitrite 소거능은 열수 추출물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쪽잎 ethanol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TT는 1.86배, PT는 1.79배, aPTT는 1.65배 연장시켜 매우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빠르게 혈소판 응집을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열수 추출물은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를 나타내었다. 현재까지 쪽잎의 항혈전 활성은 보고된 바 없으며, 이러한 쪽잎의 강력한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은 쪽잎을 이용한 항혈전 소재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MDA-MB-231 유방암 세포에서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의 항암효과 (The anti-cancer effect of pomegranate-derived nanovesicles on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 김동하;김지수;권인숙;조영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43-5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이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세포에 항 혈관 신생효과와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석류 주스로부터 분리한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PNVs)이 평균 직경이 162 nm의 이중막 구조인 나노베지클을 검증하였다. MDA-MB-231 세포에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의 내재화를 확인하였다.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이 MDA-MB-231 세포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이 MDA-MB-231 세포에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 발현 단백질을 증가시키고 MMP-2, MMP-9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이 인간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세포의 세포 침윤 및 전이를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시켜 항암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이 유방암 예방 및 치료에 이용 가능함으로 시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