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code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 유통 농산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 도정아;이희정;신용운;최원조;채갑용;강찬순;김우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02-908
    • /
    • 2010
  • 식품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국내 22개 지역에서 수거한 농산물에 대해 농약 잔류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식품은 쌀, 옥수수, 완두, 밤, 밀감, 레몬, 파인애플, 상추, 근대, 고구마줄기, 양파, 우엉, 호박, 피망, 양송이버섯의 15종이었으며 48종의 농약에 대해 GC/MS/MS 분석하였다. 총 1,064건 중 34건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어 3.20%의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쌀, 밀감, 레몬, 파인애플, 상추, 피망에서 7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나 검출량은 전부 잔류농약허용기준 미만이었다. 검출률 10% 이상 품목은 밀감(12.50%), 쌀(10.64%), 레몬(10.6%)이었으며, 10회 이상 다빈도 검출 농약은 chlorpyrifos(16회), fenobucarb(10회)이었다. 또한 검출된 7종의 농약에 대해 노출량 평가 결과 1인 1일 허용섭취량 대비 1일 추정섭취량이 아주 미미하여 위해도는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품 중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옥소린산 및 플루메퀸의 분석 (Analysis of Amoxicillin, Ampicillin, Oxolinic Acid, and Flumequin in Foods)

  • 김희연;최희주;김용훈;최선희;정소영;이화정;김재인;최계선;최재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90-497
    • /
    • 2009
  • 본 연구에서 확립한 분석법으로 총 393건의 시료를 분석한 결과 넙치에서 아목시실린 9건, 장어에서 옥소린산 4건과 플루메퀸 1건이 검출되었다. 아목시실린의 검출농도는 0.009-0.078 mg/kg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옥소린산의 검출농도는 0.02-0.20 mg/k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플루메퀸은 잔류허용기준(0.5 mg/kg) 이하의 농도로 장어 1건(0.03 mg/kg)에서 검출되었다.

한국인의 총당류 섭취실태와 급원식품에 대한 연구 -2001년과 200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Dietary Intakes and Food Sources of Total Sugar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02)

  • 정진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sup권
    • /
    • pp.9-21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total sugar intake for Korean and to identify major food sources contributing to those food components. Korean adults aged over 20 years ol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1 and 2002 were se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nationally and seasonally representative information on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Korean. Forty food groups were used in identifying food sources of total sugar and energy intake. Total sugar contents of foods in the KNHANES data sets were estimated by food code matching technique with Release 18 of th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Sample weighted means, standard errors, and population percentages were calculated using SAS and SUDAAN. The mean total sugar intake of the Korean was 60.3g in 2001, 40.9g in spring 2002, 45.7g in summer 2002, and 52.1g in fall 2002, which were 30-44% of intake of US people. Fresh fruit was identified as the most significant food source for total sugar intake in Korean population in all age groups and all seasons. The next major food sources following fresh fruits were candy/jelly/syrup/honey, coffee/coffee caream, vegetables, Kimchi, soft drinks, milk, fruit juice, cookie/cracker/cake, and vegetable juice/grain juice, which showed similar results through the seasons. While carbonated soft drink was the most significant food sources for total sugar or added sugar intakes for US people. The total sugar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higher educational level, and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 As intake of total sugar increased, intakes of protein, fiber, calcium, phosphorus, iron, Vit A, B1, B2, C, niacin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high intakes of added sugars showed low intakes of some micronutrients in the US people. Percentages of people who consumed nutrients below EAR were less in higher total sugar intake group than in lower intake group. From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food consumption habits including the total sugar intake of Korean people seems relatively good so far. More reliable database of total sugar and added sugar composition tables in public domain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and also more researches about total sugar and added sugar for Koreans should be continued.

식품보존에 이용된 식물의 천연보존료 함유량 연구 (A study of the levels of natural preservatives in wild plants)

  • 백경아;강현각;신명희;박종진;김종대;박성민;이미영;임지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9-535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방부 또는 살균효과가 있어 떡 등에 첨가되거나 저장 및 포장에 이용되었던 자생식물 15종 21건에 대하여 데하이드로초산(sodium dehydroacetate), 소르빈산(sorbic acid), 안식향산(benzoic acid), 파라옥시안 식향산메틸(m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프로필(iso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부틸(isobut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butyl p-hydroxybenzoate),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솔잎, 망개잎, 대나무잎 등 15종에 대한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솔잎, 대나무잎, 칡잎, 모시잎, 쑥, 잣나무잎 등 6종에서 안식향산, 소르빈산, 프로피온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식향산은 대나무잎, 모시잎, 솔잎, 쑥, 칡잎, 잣나무잎에서 8.201~21.839 mg/kg, 소르빈산은 대나무잎과 칡잎에서 5.630~24.995 mg/kg, 프로피온산은 모시잎에서 61.324~62.726 mg/kg이 검출되었다. 조사 식물 중 망개잎, 토란잎, 조릿대, 연잎, 원추리, 구절초, 떡갈나무잎, 산초잎, 감잎 등 9종에서는 천연보존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일회용 위생장갑에서 Phthalate류 및 Di-(2-ethylhexyl) adipate 분석 (The Level of Total Phthalate Esters and Di-(2-ethylhexyl) Adipate in Disposable Sanitary Gloves)

  • 이광호;권기성;곽인신;최재천;전대훈;정동윤;최병희;김성욱;이선희;이철원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6
    • /
    • 2000
  • 일회용 위생장갑에서 diethyl phthalate (DEP), di-n-propyl phthalate (DprP), di-n-butyl phthalate (DBP), di-n-pentyl phthalate (DPP), butylbenzyl phthalate (BBP),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및 dicyclohexyl phthalate (DCHP) 등과 같은 phthalate ester 와 di-(2-ethylhexyl) adipate (DEHA) 을 분석하였다. 일회용 위생장갑은 소매점에서 구입하였으며, 사염화탄소를 추출용매로 6시간 동안 Soxhlet 장치에서 추출하였다. 8종의 제품 모두 poly-ethylene (PE) 재질이었으며, 식품위생법에 따라 box 포장에 표기 사항이 있었다. 8 종의 모든 제품에서 Phthalate ester 류 와 DEHA는 검출한계를 넘지 않았다. Phthalate esters 인 DEP, DprP, DBP, DPP, BBP, DEHP, DCHP와 DEHA의 검출한계는 각각 1.8, 1.9, 1.3, 1.1, 0.9, 0.7, 2.1 와 0.8 mg/L 이었다.

  • PDF

손의 미생물 오염도의 경시적 변화 - 조리종사자를 중심으로 (Changes of Microbial Load on the Hands of Food Preparers)

  • 김종규;박정영;김중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4-159
    • /
    • 2011
  • 부적절한 식품취급과 불량한 손 위생관리는 식품매개성 질환 발생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조리 중 손의 미생물(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분변성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 오염도의 경시적 변화를 알아 보고자 수행되었다. 시료 채취는 음식점 조리종사자 20명의 왼손과 오른손에서 조리 전부터 조리 후까지 2시간 간격으로 glove-juice method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미생물 시험은 식품공전에 따라 수행하였다. 손의 미생물 오염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조리 전과 8시간 후에 높게 나타났다(p < 0.05). 왼손보다 오른손에서 미생물 오염도가 일관되게 높았다. 일부 조리종사자의 손에서 총대장균군 분변성 대장균군,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살모넬라가 검출되어 손 위생관리가 불량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이들 조리종사자의 손이 조리 중 미생물 전파매개 체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또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들 조리종사자의 손 위생관리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이 더 필요함을 제시한다.

코덱스의 식품 분류: 곡류, 견과종실류, 허브 및 향신료 (Food Classification by the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ereal Grains, Nuts and Seeds, Herbs and Spices)

  • 이미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2-218
    • /
    • 2019
  • 식품 안전 규제에서 위해물질에 대한 국내 기준 설정시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기준과의 조화를 위한 검토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코덱스 식품분류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CAC(코덱스) 식품분류 개정 작업이 2017년에 완료된 곡류, 그리고 2018년에 완료된 견과종실류와 허브 및 향신료에 대해 개정된 코덱스 식품분류 내용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그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코덱스 식품분류에는 국내 식품분류(식품의약품안전처의 분류)에서 곡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Group 020 cereal grains (6개 subgroup), 견과종실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3개 그룹, Group 022 tree nuts (subgroup 없음), Group 023 oil seeds and oilfruits (5개 subgroup), Group 024 seeds for beverages and sweets (subgroup 없음)가 있다. 그리고 허브와 향신료의 경우 코덱스에는 2개 그룹, Group 027 (3개 subgroup), Group 028 (9개 subgroup)이 있다. 코덱스 식품분류에서 식품에 부여된 commodity code의 수는 Group 020 27개, Group 022 32개, Group 023 46개, Group 0244개, Group 027 127개, Group 028 138개 이다. 한편 코덱스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분류 사이에는 여러 차이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국내 식품분류에서는 곡류나 허브를 코덱스처럼 세분화하지 않았고 코덱스와 달리 땅콩을 견과류에 묶어서 한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고 기타식물류를 두었다. 코덱스 식품분류를 사용할 때 이러한 차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베이커리 식빵의 소비기한 설정을 위한 보관 방법에 따른 품질 변화 연구 (Analysis of Quality Change Based on Storage Conditions to Set the Use-by date of Bakery Breads)

  • 황선혜 ;최지연 ;김민주 ;조용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36-24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베이커리 빵 7종의 품질안전한계기간을 분석하여 소비기한을 산출하였다. 각 제품은 50일 동안 5℃, 15℃, 25℃, 35℃에서 보관하였으며, 보관 중 수분, 미생물, 관능평가, 부패시 우점균을 분석하였다. 품질 및 안전기준은 식품공전 및 KS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5℃에 보관된 모든 제품은 50일 동안 세균수가 기준치에 적합하였으나 관능은 기준치 이하로 품질이 떨어졌다. 15℃에서 보관된 시료는 3일에서 39일까지 시료별로 품질안전한계기간의 차이가 높았다. 25℃에서는 2-20일의 품질안전한계기간 설정되었으며 하나의 시료는 유통기한과 동일하였다. 35℃에서 보관된 빵은 품질안전한계기간이 가장 짧았다. 식빵에 소비기한 설정 가이드라인을 참조로 0.87의 안전계수를 고려하면 제품별로 1.7-13.1일의 소비기한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유형의 제품이라도 제품의 종류에 따라 소비기한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베이커리에서 유통되는 빵 제품 중 상온 제품 (1-35℃)으로 관리되는 제품은 최대 35℃의 온도 범위에서 유통 및 보관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품질유지기간을 설정하고 안전계수를 식품의 특성에 맞게 신중히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산물 중 총수은 모니터링 및 메틸수은 분석법 고찰 (A Study on the Total Mercury (Hg) Monitoring and Methylmercury (MeHg) Analysis method and Exposure Assessment of Methylmercury (MeHg) in Marine Products)

  • 곽신혜;김기철;김경아;강석호;권혜정;조윤식;강경자;이필석;조욱현;모아라;박용배;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8-17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유통되는 수산물 42품목 670건에 대한 총수은 노출량평가를 수행하고, 총수은이 0.1 mg/kg 이상 검출된 시료를 대상으로 기존의 식품공전법과 개발시험방법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유통 수산물에 대한 총수은 모니터링 결과 총수은에 대한 주간추정섭취량(Estimated weekly intake)은 $0.0742{\mu}g/kg$ bw/week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JECFA에서 제시한 PTWI $4{\mu}g/kg$ bw/week 대비 1.9% 미만으로 수산물 섭취로 인한 수은 위해성은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전처리 방법 개선에 따른 메틸수은 분석법 개발을 위해 추출, 정제 부분을 기존 식품공전방법과 다르게 진행하였다. Microwave 추출조건은 용액, 시간, 온도 3가지 조건을 고려하였다. Microwave 추출용액은 10% NaCl, 5 N HCl 용액, 11 N HCl 및 0.1 N NaOH를 선정하여 비교한 결과 회수율이 89.8%로 가장 높고 유화현상도 발생하지 않은 10% NaCl 용액으로 선정하였다. Microwave 추출시간은 10~20분 동안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회수율을 비교하였으며, 10분 이상 추출 시 회수율은 100% 이상을 나타냈으나 15분 이상 추출 시에는 유기용매와의 층분리가 어려워 추출시간을 15분으로 선정하였다. Microwave 추출온도에 따른 회수율을 알아보기 위해 $40{\sim}60^{\circ}C$에서 추출 후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추출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회수율이 증가하였으나 $5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회수율이 감소하여 $50^{\circ}C$로 최적화 하였다. 식품공전에서 정제과정에 사용되는 L-cystein은 매 실험마다 제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0.05~5 N NaOH를 이용하였다. NaOH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회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2 N NaOH 이상의 농도에서는 재현성이 떨어지고 거품발생량이 증가하여 2 N NaOH용액을 정제용액으로 선정하였다. 이 실험들을 바탕으로 수산물 중 메틸수은 시료 전처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료전처리 방법은 기존 시험방법에 비해 검출효율이 높고 전처리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산물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 수행 시 스크리닝 분석법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수산물 섭취량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진 만큼 비의도적 유해물질인 메틸수은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합성착향료 관리제도 설정을 위한 연구 (Study on Management of Artificial Flavors in Korea)

  • 홍기형;이달수;장영미;박성관;박성국;권용관;장선영;한윤정;원혜진;황혜신;김병섭;김은정;김명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3-257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식품첨가물공전의 18개유형과 72개 개별품목으로 구성된 합성착향료를 국내$\cdot$외 규정 및 관리제도를 고려하여 국제적 조화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이에 따른 최적의 관리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외국의 합성착향료 관리제도와 안전성평가원칙을 검토하고 국내 착향료 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제조현황, 이상적인 관리제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JECFA와 FEMA에서는 합성착향료를 우리나라와는 달리 허용물질목록 (positive list)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유럽과 일본 역시 이러한 체제로 전환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나 이에 따른 국내 관리체제의 변화가 요구된다. 국내의 합성착향료 제조현황에 대해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수용성 향료는 음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수입국가는 일본, 유럽, 미국의 순으로 나타났다. 합성착향료의 수입이나 제조시 가장 이상적인 관리제도를 묻는 의견에는 유럽과 Codex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에 적용하기에 가장 이상적인 관리방법에서도 유럽의 제도를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첨가물공전 중 합성착향료의 허용물질목록화에 대해 조사대상기업의 $70\%$가 핀성하였으며 시행시기는 $44\%$가 제외국의 시행후가 가장 적절하다고 답변하었다. 상기 조사를 기반으로 현행 식품첨가물공전의 개별 및 유형별 관리체계를 허용물질목록으로 전환한 1800여 품목의 목록(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