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borne bacteria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1초

국화 꽃 휘발성 향기성분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작용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Food-Borne Pathogens by the Volatile Flavor of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Flower)

  • 장미란;서지은;이제혁;정미숙;김건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4-161
    • /
    • 2010
  • 국화 정유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증하기 위해 국화 정유와 그 주성분인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10종 균주에 대하여 agar-well diffusion 분석법으로 생육 여부를 분서하였다. 실험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양성균과 음성균 모두에 대해서 탁월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 Agar-well diffusion 분석법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Gram 음성균보다 Gram 양성균에 대해서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화 정유의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은 모든 균주에 대하여 5 ${\mu}g/m{\ell}$에서 균의 생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나타났고, minimum bacteriocidal concentration은 S. choleraesuis와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시험농도 내에서 사멸효과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다른 균주에 대해서는 5~20 ${\mu}g/m{\ell}$에서 살균력이 나타났다. 또한 액체 배양중의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국화 정유와 그 지표물질은 24시간 동안 꾸준히 항균력이 지속되었다. 따라서 camphor, chrysanthemyl alcohol, $\alpha$-pinene, $\gamma$-terpinene, ${\alpha}+{\beta}$-thujone를 조성분으로 함유한 국화 정유성분은 10종의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입증되어, 천연 항균제재로서 식품보존료로의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베리류 열매 착즙액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Berry Juices)

  • 남진식;한영진;여수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28-33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기용매 추출물이 아닌 베리 열매 자체의 생리활성에 관한 정보와 천연보존료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종류의 베리 열매 착즙액의 항산화, 항균 작용 및 균 생육억제 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은 체리, 아로니아 및 크랜베리가 다른 베리류에 비해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각 농도별로 측정한 베리 착즙액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에 따라 높아졌다. 특히, 아로니아, 크랜베리 및 라즈베리의 소거능이 다른 베리류에 비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FRAP 활성은 6가지 베리 열매 중 아로니아의 활성이 모든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100% 아로니아 착즙액의 FRAP 활성은 25% 포도 착즙액의 5배 이상이었다. 베리 열매 착즙액의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크랜베리와 라즈베리가 대부분의 식중독 균에 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베리 열매 착즙액이 그람양성균보다 그람음성균에 대한 생육저해활성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크랜베리와 라즈베리의 농도별 항균활성은 원액과 75%의 농도에서만 각각 7가지, 6가지 식중독 균에 대해 생육저해를 보였고, 50%, 25%의 농도에서는 식중독 균 중 일부만 생육저해를 나타내었으며, 10% 이하의 농도에서는 모든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아로니아, 크랜베리 및 라즈베리는 다른 베리에 비해 높은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보임으로써 천연보존료 및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중독 세균에 대한 구아바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 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of Guava against Food-Borne Bacteria)

  • 조영홍;옥둘이;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73-1778
    • /
    • 2009
  • 본 연구는 인공합성보존료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보존료의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대표적인 세균성 식중독 미생물로서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과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그람 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 특성을 조사하였다. 구아바 가지와 잎의 메탄올과 에탄올 추출물 S. aureus의 생육을 저해하였으며, 아울러 가지와 잎의 아세톤 추출물은 200 ppm 농도의 첨가에서 식중독 원인균 S. aureus균을 전혀 자라지 못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아바 잎과 가지의 추출물에 그람 양성균에 대한 높은 항균활성이 있음을 의미하며, 구아바 가지를 항균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석 섭취 야채샐러드의 미생물 오염조사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 김진숙;방옥균;장해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0-65
    • /
    • 2004
  • 식용이 간편한 즉석섭취용(ready-to-eat)샐러드 제품의 수요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유통 샐러드의 미생물 오염수준은 기준 및 규격이 설정되어있지 않고 그 수준 또한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소비가 집중되어 있는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백화점, 대형할인점 또는 패밀리레스토랑 등에서 판매되는 즉석섭취용 샐러드 제품 120건을 대상으로 하여 coliform bacteria, E. coli,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Listeria monowtogenes 및 Bacillus cereus의 분리시험을 실시하고 일부 제품을 대상으로 일반세균수 및 세척효과를 조사하였다. 제품 120건 중 총 73건에서 coliform bacteria 등이 검출되어 60.8%의 검출율을 보였다. 5. coli가 17건, Staphylococcu aureu가 3건, Salmonella spp.가 1건에서 각각 검출되었고 기타 coliform bacteria는 59건에서 검출되었다. 샐러드는 양식방법에 따라 유기농샐러드와 비유기농샐러드로 나누었고, 종류는 야채로 구성된 야채샐러드와 튀긴 닭 등이 첨가된 혼합샐러드로 나누었으며 판매형태에 따라 완포장제품과 샐러드바 제품으로 나누었다. 양식방법 및 포장방법과 미생물오염과의 통계적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리된 균주 수에 있어서는 야채샐러드와 혼합샐러드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여 야채샐러드의 경우 좀 더 다양한 균종이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05). E. coli는 일반 재배 야채샐러드의 경우 90건 중 10건에서 분리되었고 유기농재배 야채샐러드 의 경우 30건 중 7건에서 분리되었다. 식중독 원인균은 비유기농 재배 야채샐러드 4건에서 Staphylococcus aureu가, 1건에서 Salmonella arixonia가 검출되었으나 유기농재배 야채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널리 판매되는 일부 제품 4종을 5회에 걸쳐 검사한 결과 총 호기성 세균수는 평균 4.8$\pm$0.19 log$_{10}$ cfu/g으로 조사되었다. 같은 제품을 생리식염수와 야채용세척제를 이용해 3분간 침지 후 세척효과를 본 결과 생리식염수는 5회, 야채용세척제는 1회 세척 시 95.5%의 세척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다.

A Multiplex 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Meat Products

  • Kim, Hyoun-Wook;Kim, Ji-Hyun;Rhim, Seong-Ryul;Lee, Kyung-A;Kim, Cheon-Jei;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0-596
    • /
    • 2010
  • Meat and meat products are a potential source of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and Bacillus cereus. A sensitive and specific 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these pathogens in meat and meat product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s part of a broader effort to reduce the potential health hazards posed by these pathogens. Initially, PCR conditions were standardized with purified DNA. Under standard conditions, the detection level for PCR was as low as 10 pg of purified bacterial DNA. After overnight growth of bacteria in a broth medium, as few as $10^2$ CFU of bacteria were detected by PCR assay. The primers employed in the PCR assay were found to be highly specific for individual organisms, and evidenced no cross-reactivity with heterologous organisms. Additionally, the multiplex PCR assays also amplified some target genes from the four pathogens, and multiplex amplification was obtained from as little as 10 pg of DNA, thus illustrating the excellent specificity and high sensitivity of the assay. In conclusion, this PCR-based technique provides a sensitive and specific method for the detection of S. aureus,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and B. cereus in meat and meat products.

동백(Camellia japonica L.)유박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Defatted Camellia(Camellia japonica L.) Seeds Extract)

  • 강성구;김용두;최옥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2-238
    • /
    • 1998
  • To developed natural food preservatives, ethanol and water extracts were prepared from the defatted camellia(Camellia japonica L.) seeds.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14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 borne pathogens and/or food poisoning microorganisms and food-related bacteria and yeasts. Ethanol extrac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everal microorganisms tested, but not on lactic acid bactria. Especiall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MIC) for yeasts were as low as 1mg/ml. Water extract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ies for the yeasts tested, but almost bacteria were not observed. The ethanol extract was fractionated in the order of hexane, chloroform, ethylaetate and butanol fractions to test antimicrobial activity. The strongest activity for the tested yeasts were found in the butanol fractions, but bacteria were chloroform fraction. Hansenula anomala treated with ethanol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and the results exhibited morphological changes, including the irregularly contracted cell surface and expanded ellipsoidal shape.

  • PDF

해양미세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marine micro-algae)

  • 김윤정;하상철;김대욱;신일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90-395
    • /
    • 2017
  • Mixed A, Chlorella vulgaris, Nannochloropsis oculata, Chaetoceros calcitrans 등 4종류의 미세조류로부터 99.9% 에탄올로 추출한 성분의 항균활성을 검증하기 위해 그람음성세균 2종(E. coli, S. Typhimurium)과 그람양성세균 2종(S. aureus, B. cereus)에 대하여 paper disk diffusion assay, MIC, MBC를 측정하였다. 4종류의 미세조류 추출물은 공시균주에 대하여 0.62-1.66 mg/mL의 MIC를 나타내었으며, C. vulgaris 추출물이 4종의 공시균주에 대한 MIC가 0.62 mg/mL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BC 또한 C. vulgaris 에탄올 추출물이 E. coli에 대해 2.50 mg/mL, S. aureus, B. cereus와 S. Typhimurium에 대해서는 4.16-5.00 mg/mL로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이 가장 강한 C. vulgaris 에탄올 추출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함량이 가장 많은 성분은 9,12-octadecadienoic acid (linoelaidic acid, peak 5, 7)로 38.8%이었으며, 그 다음이 2-Hexadecen-1-o1, 3,7,11,15-tetramethyl (phytol, peak 2,6)로 30.0%이었다. Octadecadienoic acid는 일명 linoelaidic acid로 탄소수 18개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이며, 두 번째로 함량이 많은 Phytol은 클로로필을 구성하는 불포화 제1급 알코올의 일종으로서(엽록소의 구성 성분) 병원성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항균활성을 나타낸다는 보고로 볼 때, 이 2가지 성분이 항균활성의 주성분인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iveness of Antimicrobial Starch Coating Containing Thyme Oil against Salmonella, Listeria, Campylobacter, and Pseudomonas on Chicken Breast Meat

  • Goswami, Namita;Han, Jung-Hoon;Holley, Richard 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425-431
    • /
    • 2009
  • Antimicrobial coating on chicken carcasses may reduce the effects of cross-contamination and improve product shelf-life and safety. Thyme oil was mixed at 0.5%(v/v) with a pre-gelatinized pea starch coating solution. The coating solution was spread on chicken breast meat after inoculation with selected spoilage and pathogenic bacteria. After inoculation, the chicken meats were packaged in plastic bags and stored at $4^{\circ}C$. During 12 day storage, total aerobic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and inoculated organisms were counted at 4 day intervals. Thyme oil treatments reduced the viability of Salmonella as well as the growth of Listeria and Pseudomonas by 2 log CFU/g, and appeared to eliminate inoculated Campylobacter during storage. The addition of thyme oil increased the viscosity of the pre-gelatinized pea starch solu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yme oil inclusion in an edible starch coating may be a satisfactory delivery system to enhance the safety of processed fresh meat.

Antibacterial Effect of $TiO_2$ Photocatalytic Reactor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Kim, Byung-Hoon;Cho, Dong-Lyun;Ohk, Seung-Ho;Ko, Yeong-M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345-1348
    • /
    • 2008
  • Titanium dioxide ($TiO_2$) shows antibacterial effects when exposed to near ultra violet (UV) light. In this study, $TiO_2$ photocatalytic continuous reactor was designed and applied to food-borne pathogens such as Vibrio parahaemolyticus ATCC 17802, Salmonella choleraesuis ATCC 14028, and Listeria monocytogenes ATCC 15313. $TiO_2$ films were prepared by conventional sol-gel dip-coating method using titanium tetra iso-propoxide (TTIP).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photocatalytic reactor with various flow rates and UV-A illumination time showed effective bactericidal activity. As the UV-A illumination time increased, survival rates of those bacteria decreased. After 60 min of UV-A illumination, the survival rates of V. parahaemolyticus and S. choleraesuis were less than 0.1%. However, that of L. monocytogenes was about 5% at that time point. These results present an effective way to exclude pathogenic bacteria from aqueous foods.

수인성 전염병의 현황 및 효율적 관리 (Present status and effective control measure of water-borne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 김호훈
    • 환경위생공학
    • /
    • 제9권2호
    • /
    • pp.41-49
    • /
    • 1994
  • Water- borne infectious diseases can be acquired by contact with contaminated water or by ingestion of contaminated water. There are many water- borne infectious agents such as bacteria, virus, and parasite. Among many of water- borne infectious diseases, health authorities of Korean government has particularly intensified to prevent and control typhoid fever(class I ), shigellosis(class I ), cholera(class I ), paratyphoid fever(class I), amebiasis(class II ) and leptospirosis(euivalent to class II ) under the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law. Water- borne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guideline itself has been also well provided by the health authorities. However, in practical public health point of view,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remained to be solved out; no prospective investigation project to survey water borne infectious diseases under the national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programmes, incredible statistic data of annual notifiable disease report frequent appearance and varieties of drug resistance water- borne infectious agents, little cooper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system in between the related government authorities( the health authorities, the environment sanitation authorities and the food hygiene authorities) which should be closely collaborated, lack of health consciousness of the people, necessity of evaluation and Hndification on to the outcomes of performed health activities and programmes, neglect activities for water quality investigation, shortage of expertise and human resources in the related field, and poor investment of the government budget to develope and improve public health and sanitation field. In order to prevent and control water- borne infectious diseases effectively, it is emphasized that all the above indicated should be considered and performed to improve under the national health and sanitation development program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