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iage

검색결과 289건 처리시간 0.023초

재배기간 및 마디별 고구마 끝순의 성분과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weet Potato Foliages Harvested by the Cultivation Period and Tips Location)

  • 박정섭;이경진;오은비;김희언;이승엽;최동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97-905
    • /
    • 2014
  • 고구마 경엽을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신황미, 하얀미, 스이오우를 수확시기(60, 90, 120일) 및 마디별(1~5, 6~10, 11~15마디)로 채취,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L값과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황미는 하얀미, 스이오우에 비해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으며, 이는 재배기간이 길수록 정상의 순에 가까울수록 높았다. 90일 동안 재배한 후 1~10마디의 경엽을 채취, 2단계 열풍건조법으로 제조한 신황미, 하얀미, 스이오우 경엽 분말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469, 3,384, 2,531 mg/100 g, 총 무기물 함량은 각 7.23, 6.54, 7.11 g/100 g, 총당은 각 11.6, 12.8, 18.2 g/100 g, 비타민 E 함량은 3.04, 3.18, 1.52 mg/100 g이었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5.03, 3.90, 4.02 mg/g, ${\beta}$-카로티노이드는 75.6, 71.6, 63.1 mg/g이었고, DPPH 라디칼 소거 활성($EC_{50}$)은 각각 0.29, 0.36, 0.33 mg, ABTS 라디칼 소거 활성($EC_{50}$)은 0.12, 0.15, 0.11 mg으로 시금치보다 2배 이상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Nitrogen Balance in Goats Fed Flemingia (Flemingia Macrophylla) and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Foliage Based Diets and Effect of a Daily Supplementation of Polyethylene Glycol (PEG) on Intake and Digestion

  • Mui, Nguyen Thi;Ledin, Inger;Uden, Peter;Binh, Dinh V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5호
    • /
    • pp.699-707
    • /
    • 2002
  • Diets with foliage of Flemingia (Flemingia macrophylla) or Jackfruit (Artocapus heterophyllus were fed to goats with the objective to study nitrogen (N) balance and effect of a daily supplementation of polyethylene glycol (PEG) on intake and digestion. In experiment 1, three male Alpine${\times}$Jamnapary goats with initial weights varying from 26.9 to 27.7 kg were used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in the dry season. Three Alpine${\times}$Bachthao crosses, 15.3-16.7 kg, were used in the same design in the wet season. The three diets were based on chopped whole sugar cane complemented with the two green foliages, Jackfruit and Flemingia, or soybean meal (SBM). The level of dry matter (DM) offered was 4% of body weight (BW), 2.7% as foliage and 1.3% as chopped whole sugar cane. The amount of SBM offered was calculated to give the same amount of crude protein (CP) as the foliages. Each experimental period lasted 32 days (14 days for adaptation, 7 days for collection and 10 days for rest). Feed intake, apparent digestibility of DM, organic matter (OM), CP,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retained nitrogen (N) were measured by total faecal and urine collection. In experiment 2, four male goats (Alpine${\times}$Jamnapary) with initial weights from 17.1 to 23.1 kg were us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he four treatments were Jackfruit or Flemingia with or without addition of PEG, which was fed at a level of 5 g/goat and day by mixing with a small amount of rice bran. Each experimental period lasted 15 days (8 days for adaptation, 7 days for collection). Measurements were done as in experiment 1. The DM digestibility was highest (65.9-74.3%) for goats fed the SBM diet in both the dry and wet season. The DM digestibility of goats fed the Jackfruit and the Flemingia diets was similar in both the dry (58.6-59.2% respectively) and the wet season (53.9-56.1% respectively). The CP digestibility was highest (73.0-73.6%) for the SBM diet followed by the Jackfruit diet (47.0-38.5%) and was lowest (36.8-30.0%) for the Flemingia diet in both dry and wet seasons, respectively. The NDF digestibility was low for both the Jackfruit (36.4%) and Flemingia (38.0%) diets in the wet season. All diets resulted in a positive N balance. The N retention was highest (0.465-0.604 g/kg $W^{0.75}$) in the SBM diets and lowest (0.012-0.250 g/kg $W^{0.75}$) in the Flemingia diet. Addition of PEG had no effect on feed intake for any of the diets. PEG added in the Flemingia diet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NDF digestibility, but the digestibility of the Jackfruit die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upplementation with PEG reduced digestibility and N retention of Flemingia, possibly because of the low tannin level, but increased digestibility and N retention for Jackfruit foliage.

참나무림내 천연발생한 잣나무 치수의 지상부 현존량 및 양분분포 (Aboveground Bio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of Korea Pine (Pinus koraiensis) Advance Growth in Deciduous Oak Forests)

  • 지동훈;변재경;정진현;이명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44-1149
    • /
    • 2011
  • 잣나무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으로서 종자가 비산하지 못하고 조류나 설치류등의 동물에 의해 운반, 산포됨으로써 잣나무 인공조림지 주변 산림의 하층에 잣나무 치수가 천연 발생하게 된다. 조사 임분 내에서는 직경급, 수고급별 분포에서 역 J자형을 나타내는 음수의 잣나무가 상층의 참나무림에 의해 낮은 광환경과 토양의 비옥도가 낮은 조건하에서 생육하고 있다. 조사 임분은 비교적 온도가 높고 건조한 남서사면이지만 상층의 참나무림 임관에 의해 완화되며, 따라서 잣나무 종자의 발아나 치수를 보호하는 미세 입지환경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잣나무 치수의 전체 현존량은 잣나무 인공림에 비해 높았으며 참나무림 하부의 낮은 광 환경에서도 적응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각 기관별 질소와 인의 농도는 인공 잣나무림 및 혼효하는 참나무림의 각 기관별 농도보다 낮았으며 양분량도 현존량에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들 양분은 일반적으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주요 성분이므로 잣나무와 활엽수 혼효림의 시업에 있어서 지조부는 임상에 존치 시키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 숲 산불피해지의 시비에 따른 식재 수목의 생장 및 양분 동태 (Growth and Nutrient Dynamics of Planted Tree Species Following Fertilization in a Fire-Disturbed Urban Forest)

  • 김춘식;백경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2호
    • /
    • pp.143-152
    • /
    • 2024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봉대산 산불피해지의 식생복원을 위해 2009년에 조림된 4 수종(백합나무, 왕벚나무, 상수리나무, 곰솔)을 대상으로 시비처리 후 임목생장 및 토양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림 4년 후인 2013년 4월과 2014년 3월 복합비료(N6P4K1)를 시비하고 2016년 10월까지 매년 임목의 생장과 토양 및 잎의 양분 동태를 조사하였다. 조림목의 흉고직경 생장 증가에 대한 시비구와 대조구 사이의 회귀계수(slope)는 4 수종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시비는 조림목의 흉고직경 생장에 효과가 있었으나, 수고 생장의 회귀계수는 곰솔을 제외하고 유의성이 없었다. 시비 처리에 따른 토양 호흡과 토양 EC 값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토양수분 함량, 토양 유기탄소 및 전질소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그러나 토양 유효 인, 교환성 칼슘과 마그네슘은 시비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조림목의 잎 내 질소 및 인 농도는 시비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칼륨, 칼슘, 마그네슘 농도는 시비의 영향이 뚜렷하지 않았다. 조사한 4 수종 중 왕벚나무와 백합나무는 잎 내 양분 농도가 상수리나무나 곰솔에 비해 높아 토양 양분요구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도시 숲의 산불피해 복원지에 시비 처리는 조림된 수목의 생장과 토양 양분의 유효도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Bipolaris marantae sp. nov., A Novel Helminthosporoid Species Causing Foliage Blight of the Garden Plant Maranta leuconeura in Brazil

  • Lourenco, Carla Cristina Gomes;Alves, Janaina Lana;Guatimosim, Eduardo;Colman, Adans;Barreto, Robert Weingart
    • Myc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123-128
    • /
    • 2017
  • A severe leaf spot, turning to foliage blight, was observed on leaves of Maranta leuconeura growing in a garden in Brazil (state of Rio de Janeiro) in 2015. A dematiaceous hyphomycete bearing a morphology typical of a helminthosporoid fungi was regularly found in association with diseased tissues. The fungus was isolated and pathogenicity was demonstrated through the completion of Koch's postulates. A morphology and molecular analysis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fungus belonged to the genus Bipolaris, which is characterized by having fusiform conidia, externally thickened and truncate hila and a bipolar pattern of germination. Additionally, homology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GAPDH sequences with sequences of other Bipolaris species, confirmed its generic placement. A phylogenetic study also indicated clearly that the fungus on M. leuconeura is phylogenetically distinct from related species of this genus, leading to the proposal of the new species Bipolaris marantae.

MH 및 FA이 황색종 잎담배의 몇가지 대사산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I. MH 흡수율과 잔류량 및 Alkaloid함량의 변화 (Effect of MH and FA on the Change of Several Metabolites in Flue-cured Tobacco (Nicotiana tabacum L.) I. MH Absorption Ratio, Change of MH Residues and Alkaloid contents)

  • 한상빈;육창수;조성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5-151
    • /
    • 1993
  • Using a flue - cured tobacco variety, KF lH9, recently bred and released to farming, effect of growth regulators(fatty alcohol and C - MH) on the change of alkaloid contents and dynamics of MH uptake and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An efficient sucker control method was also pursued. Treatment of fatty alcohol at button stage remarkably increased the rate of C - MH uptake. However, except in the plants treated with 2- fold volume of C - MH, residue of C -MH was kept under maximum residue level(80 ppd). C - MH residue in stalk was higher than in foliage in general.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leaf weight per unit area was increased by the treatment even in lower leaves where vigorous transfer of C - MH from treated tips was indicated and sucker control higher than 94.9% was achieved with all treatments except for sole half volume C - MH treatment at topping stage. Alkaloid content in foliage was reduced by dual treatment of fatty alcohol and C - MH but increased in stalk and root.

  • PDF

MH 및 FA가 황색종 잎담배의 몇가지 대사산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II. 핵산과 단백질함량의 변화 (Effect of MH and FA on the Change of Several Metabolites in Flue - cured Tobacco(Nicotiana tabacum L.) II. Nucleic Acid and Protein Contents)

  • 한상빈;육창수;조성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2-160
    • /
    • 1993
  • Using a flue- cured tobacco variety, KF 109, effect of growth regulators(fatty alcohol and C- MH) on the change of protein, DNA, and RNA were investigated. Generally, inhibition of DNA synthesis was observed soon after become notably reduced when checked on 14 days after the treatment. Fatty alcohol treatment appeared to alleviate the inhibition of DNA synthesis caused by the C - MH treatment. It was also observed that in the tips DNA content increased slightly at the early stage after the C - MH treatment but evident reduction of it was resulted from 7th day after the treatment. RNA content in cutters and tips was increased initially but variable transcription inhibitory activities - not so obvious as was observed in DNA synthesis - according to leaf positions were shown thereafter. Ripening of leaves probably due to senescence was advanced by the treatment of the growth regulators. DNA content in root was relatively higher in plants treated with the growth regulators while it was clearly decreased in stalk, However, RNA contents in tissue of stalk and root was not different with that of foliage. Increase of protein content in foliage as well as in stalk was evident 14 days after dual treatment of fatty alcohol and C - MH.

  • PDF

맥류재배에서 제초제에 따른 잡초방제 효과 (Weed control as affected by herbicide in winter cereal crops)

  • 원옥재;박기웅;박수혁;엄민용;강광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2호
    • /
    • pp.93-98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herbicide in winter cereal crops, barley and wheat. The efficacy of soil-applied herbicides, linuron EC and pendimethalin, thiobencarb GR was greater than that of butachlor EC. Linuron EC controlled average 95% and pendimethalin, thiobencarb GR controlled average 97% within 150 days after soil-applied treatment.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no visual injuries were detected at single and double dosage of linuron EC and pendimethalin, thiobencarb GR. The yield of barley increased in linuron EC and wheat increased in pendimethalin, thiobencarb GR treatments when compared with butachlor EC. The efficacy of foliage treatment, bentazone+propanil ME was greater than that of bentazone SL. Bentazone+propanil ME controlled average 96% in barley and 97% in wheat, within 30 days after foliage treatment.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no visual injuries were detected at single and double dosage of bentazone+propanil ME. The yield of barley and wheat increased in bentazone+propanil ME treatments when compared with bentazone SL. Based on these data, combinations of these herbicides could be applied to provide effective weed management in barley and wheat field.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한 광도, 이산화탄소 농도 및 배지 종류에 따른 실내 관엽식물들의 광합성 반응 (Photosynthetic Response of Foliage Plants Related to Light Intensity, $CO_2$ Concentration, and Growing Medium for the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 박신애;김민지;류명화;오명민;손기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03-209
    • /
    • 2010
  • 연구는 관엽식물 4종을 배지종류,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달리하여 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환경 조절에 효율적인 식물을 선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식물재료로는 싱고니움, 디펜바키아, 쉐프렐라 홍콩, 드라세나를 사용하였으며, 성분과 성질이 다른 두 배지(peatmoss, hydroball)에 각각 재배하였다. 광도는 PPFD 0, 30, 50, 80, 100, 200, 400, $600{\mu}mol{\cdot}m^{-2}{\cdot}s^{-1}$의 수준으로 조절하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0, 50, 100, 200, 400, 700, 1000, $1500{\mu}mol{CO_2}{\cdot}mol^{-1}$의 수준으로 처리하였다. 광도 및 엽육내 $CO_2$ 농도변화에 따른 관엽식물의 광합성 반응을 조사한 결과, 약광에서의 광합성 능력을 나타내는 순양자수율은 쉐프렐라 홍콩과 디펜바키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두 실내식물은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환경에서도 다른 두 식물에 비해 높은 광합성율을 기록했다. 드라세나 와네키는 두 조건 모두에서 가장 낮은 광합성 효율을 보였다. 두 배지 처리에 따라서는 각각의 관엽식물에서 엇갈린 광합성 반응이 관찰되었다. 쉐프렐라 홍콩은 피트모스 배지에서 광과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라 하이드로볼 배지에 비해 높은 광합성 속도를 보였지만, 디펜바키아는 그와는 정반대로 하이드로볼 배지에서 더욱 높은 광합성율을 기록했다. 싱고니움의 경우는 광처리에 의해서는 피트모스 배지에서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지만 이산화탄소 처리에서는 배지간 차이가 없었다. 가장 낮은 광합성 효율을 보인 드라세나 와네키는 광에 의한 배지간 차이가 없었으며, 이산화탄소 증가시에는 피트모스에서 다소 높은 광합성율을 보였다. 따라서 실험한 4가지 관엽식물 중 광합성 효율이 가장 높았던 쉐프렐라 홍콩이나 하이드로볼 배지에서 높은 효율을 보인 디펜바키아가 실내 공기정화 및 실내 환경조절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울산(蔚山) 공단주변(工團周邊)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산성화(酸性化)가 산림생태계(山林生態系)의 양료(養料)와 중금속(重金屬) 분포(分布)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Soil Acidification on the Distribution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in Forest Ecosystem near Ulsan Industrial Estate)

  • 이승우;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286-298
    • /
    • 1995
  • 본 연구는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산성화(酸性化)가 토양내 치환성 양이온($Ca^{2+}$, $Mg^{2+}$, $Al^{3+}$) 및 중금속(Cu, Zn, Mn, Pb, Cd) 분포(分布)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러한 토양내 화학적 특성과 임목의 세근과 엽내 양료 및 중금속 분포와의 관계(關係)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울산(蔚山)과 온산공단(溫山工團) 주변의 6개 조사구와 개발제한지역내(開發制限地域內) 2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토양 pH의 장기적(長期的) 변화(變化)와 토양(土壤), 세근(細根) 및 엽(葉)내 양료(養料)와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울산지역 산림의 토양 pH(A층)는 1987년에 활엽수림(闊葉樹林)과 침엽수림(針葉樹林)에서 각각 4.45와 4.78이었던 것이 1994년에는 각각 3.73과 3.86으로 감소하여 토양산성화(土壤酸性化)의 정도가 심화되었다. 1994 년 현재 개발제한지역내 침엽수림인 동천이 4.57로 가장 높은 반면 온산공단에 인접한 당월의 활엽수림이 3.19로 가장 낮았다. 2. 공단지역(工團地域)에 비해 토양 pH가 높았던 개발제한지역 산림의 토양내 치환성(置換性) $Ca^{2+}$함량은 공단지역보다 활엽수림에서 3.5배, 침엽수림에서 11배나 높았고, 치환성(置換性) $Mg^{2+}$ 함량 또한 각각 4.5배와 5배나 높았다. 그러나 공단지역에서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치환성(置換性) $Al^{3+}$함량은 오히려 개발제한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세근내(細根內) Ca과 Mg 함량은 개발제한지역이 공단지역보다 활엽수(물오리나무, 상수리나무)의 경우 각각 3.6배와 1.7배 높았고 침엽수(리기다소나무, 곰솔)에서는 각각 4.6배와 1.5배 높았다. 엽(葉)에 있어서도 개발제한지역 산림의 활엽수가 공단지역보다 각각 1.1배와 2.2배 높았고, 침엽수는 각각 1.8배와 2.3배나 높았다. 그리고 세근과 엽내 Al 함량 역시 토양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4. 토양산성화도(土壤酸性化度)와 임목(林木)에 대한 Al 독성(毒性)을 평가하기 위한 토양과 세근내 Ca/Al 몰비가 동천을 제외한 오든 조사구의 토양과 세근에서 1 이하로써 토양산성화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양료흡수(養料吸收) 및 근계발달(根系發達)의 피해(被害)가 예상되었다. 침엽수림(針藥樹林)의 경우 토양 pH와 토양 및 세근내 Ca/Al 몰비간에 서로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5. 토양, 세근 및 엽내 Cu, Zn, Pb 함량은 활 침엽수림 모두에서 공단지역(工團地域)이 개발제한지역(開發制限地域)보다 전체적으로 높았지만, 토양중 Mn과 Cd 함량은 반대로 개발제한지역이 더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