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measure the dietary folate intake of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age. Folate intake obtained from 24-hour recall method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as assessed in two hundred and ninety-three nonpregnant and non-lactating healthy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mean folate intake of women aged 20-29 was 112.8ug/day, 49.3% of their recommended level of 250ug/day. Folate intake of women aged 30-49 was 129.0ug/da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articipants aged 20-29. A quartile analysis on the folate intake revealed that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of dark green, leafy vegetables (p<0.01), other vegetables (p<0.01), and fruits and legumes(p<0.05) between the highest of childbearing age is far from adequate. To reach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the folate intake of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age is far from adequate. To reach the recommended intake level of 250ug/day for women of childbearing age, folate supplementation and special nutrition education promoting folate intake might be necessary.
Microbiological method using a 96-well microplate reader for folate assay was established, and folate intake and blood folate concentrations of 23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ssessed. To evaluate folate intake, dietary data were collected by a 3-day weight food record, and serum and RBC folat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the new metho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new method was less than 10%. Mean daily folate intake of the subjects was 126.7${\mu}g$ which is only 50.7% of the RDA. The mean concentrations of serum and RBC folate were 7.46ng/ml and 294.4ng/ml, respectively, which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olate intake seems to be underestimated due to incomplete food composition database. Therefore, folate database should be appropriately in order to asses folate intake accurately.
Dietary folate intake and serum folate levels were measured in 26 pregnant, 25 lactating, and 17 non-pregnant, non-lactating women. Dietary folate comsumption was estimated by calculating folate intak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food frequency quesionnaires and serum folate levels were determined microbiologically using Lactobacillus casei. The total folate (from food and supplements) intakes of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were 326.9ug and 407.9ug,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pregnant, non-lactating women(139.5ug). However, with regard to food folate intake,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160ug for pregnant women, 143.4ug for lactating women). Forty-two percent and 36% of the pregnant and lactating subjects, respectively, were found to be taking commercially available nutritional supplements containing folate. The concentrations of folate in these supplements were in the range of 83ug~1, 000ug per tablet. For lactating women, serum fol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folate supplements were voluntarily used. The amount of folate in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rum folate levels in pregnant women, but not in lactaing women and non-pregnant, non-lactating women. Serum folate leve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ges of the pregnant women, and for lactating women, serum fol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body weights.
Background: Epidemiological findings are controversial relat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folate intake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We therefore conducted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to clarify this association. Materials and Methods: PUBMED, EMBASE, and MEDLINE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ll relevant literature published in English from January 1, 1966 to August 2013. Summary relative risk (R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using a fixed or random effects model. Results: Dietary folate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breast cancer. The combined RR with 95%CI for the highest vs. lowest category dietary intake of folate [fifteen studies; 1,836,566 participants and 24,083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as 0.98 (0.90-1.05). Among subgroup analysis by menstrual status, hormonal status and the consumption of alcohol, methionine and vitamin B12,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for the dietary intake of folate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Dose-response analysis showed that a 220 ${\mu}g/day$ increment in dietary folate intake was not associated with the risk of breast cancer. Conclusions: Our findings indicate that dietary folate intak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risk of breast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folate intake, and serum and red blood cell (RBC) folate concentrations, and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folate statu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 total of 169 students, aged between 18 and 2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etary intake data were collected by trained interviewers using a 24-hour recall method for three non-consecutive days in 2009. Information on health-related behaviors was obtain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erum and RBC folat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microbiological assay. The average intakes of folate were $456{\mu}gDFE$ and $347{\mu}gDFE$ in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ectively. While the average serum folat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male students (8.9 ng/mL) compared to female students (12.5 ng/mL), RBC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398.6 ng/mL) and female students (405.3 ng/mL). In male students, low serum folate concentrations were associated with total folate intake less than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non-use of folic acid supplements, smoking, alcohol drinking at least once a week and low physical activity. In female students, low serum folate concentrations were associated with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at least two drinks at a time and BMI ${\geq}25$. Alcohol drinking and low physical activity were also associated with low RBC folate concentrations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folate nutritional status of college students, the practice of desirable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non-smoking, moderate alcohol drinking,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maintenance of healthy BMI should be encouraged along with consumption of folate-rich foods and supplem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simpl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for assessing folate intake in women of reproductive age. We developed a 30-item FFQ, and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in 97 women aged between 20 and 39 yrs using the FFQs and 24-h recalls, which were carried out twice, respectively. Assessing the reliabil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53 (Spearman's) and 0.49 (Pearson's) for fola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folate intake between FFQ1 and FFQ2. 36.1%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quartile and 83.5% into the same or adjacent quartile divided by folate intake. On determining the validity, the mean folate intake obtained from the FFQ (FFQ1) and 24h-recalls (2-d) were $306.6{\pm}167.2{\mu}g/d$ and $326.9{\pm}103.3{\mu}g/d$,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olate intakes from the two metho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folate were 0.24 (Spearman's) and 0.26 (Pearson's). 39.2% of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e same quartile and 70.1% were into the same or adjacent quartile. In addition, sensitivity (64.3%) and specificity (62.3%) were estimated to evaluate the adequacy of folate int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FFQ would be a useful and a valuable instrument to assess the intake of folate among the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age.
In this study, we determined major foods and food groups which contributed to the intake of folate in korean child-bearing women. Folate content of the major foods was also analyzed. A total of 91 healthy women with childbearing potential participated. They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groups by age; A (15∼24 yrs), B(25∼34 yrs) and C (35∼49 yrs). Food consumption data of the subjects were obtained by the 24-hr recall method. The rate of contribution of each food to the total intake of dietary folate was determined. Seventy major foods for folate were selected from the 178 foods they consumed. Two sets of the 70 food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markets. After extracting folates from the foods by heating with a HEPES-CHES buffer, the samples were treated with α-amylase, protease and folate intakes was Korean cabbage kimchi followed by laver, soybean sprout, rice, yolmu kimchi, eggs, lettuce, perilla leaves, sea mustard and radish root. Food items that contributed to folate intake were slightly different among the age groups. Although the folate content of Korean cabbage kimchi was 51.6 ㎍/100g, but due to the high amount of intake, it was ranked the first major food prviding folate. High folate foods containing over 100㎍/100g were laver, corn flakes, spinach, mungbean, sesame, quail's eggs, small radish kimchi, kidney beans, leeks and peanuts. However, based on the serving size, spinach, corn flakes, leeks, sweet potato, pepper leaves, quail's eggs, crown daisy, small radish kimchi and perilla leaves contributed above 50㎍ of folate per serving size.
We examined the folate intakes and assessed folate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women with childbearing potential. A total of 91 healthy women aged between 15 and 49 participate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ir age : A(15-24 yrs), B(25-34 yrs) and C(35-49 yrs). Folate intakes were determined by direct analysis. The foods consumed for 24 hours were collected proportionally and assessed folate. Their blood drawn in fasting state were analyzed folate levels. Folate contents of food homogenate, plasma and erythrocyte were determined a microbiological method using Lactobacillus. casei (ATCC 7469). Prior to the micro-assay, the food homogenate were treated with alpha-amylase, protease and folate conjugase. Mean daily folate intake of the total subjects was 145.8$\mu\textrm{g}$/d and in each group of A, B, and C was 114.0$\mu\textrm{g}$/d, 141.6$\mu\textrm{g}$/d, and 164.6$\mu\textrm{g}$/d, respectively. That of group 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 A(p<0.05). However, those of all the groups were lower than compared to the Korean Recommened Dietary Allowances(RDA) for folate. Especially the subjects in the group A consumed folate least that was below the half of the Korean RDA. The mean energy intake of all subjects was 1638㎉/d and those in each group of A, B, and C did not meet the Korean RDA for energy. The energy intak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olate intakes(r=0.5050, p<0.001). Mean plasma and erythrocyte folate concentrations of total subjects were 6.9ng/mL and 266.3ng/mL, respectively. None were found to be deficient both in plasma(<3ng/mL)and erythrocyte (<140ng/mL) folate levels. There was only one subject who had red blood cell folate level below 157ng/mL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folate status of the Korean women of reproductive age is not much bad. But it should be better that letting them improve their folate status by increasing energy intake, choosing high folate foods.
본 연구에서는 엽산의 급원식품으로 보고된 식품 51종의 엽산을 분석하고, 값에 차이가 많이 있는 경우 엽산 데이터베이스를 수정하여, 수정한 데이터베이스로 어린이와 청소년의 엽산 섭취량을 추산하고 급원식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대전, 충청도 및 전라도에 거주하는 만 20세 미만 567명으로 비연속 2일 동안의 24시간 회상법에 의해 식품섭취조사를 실시하였다. 51종의 식품을 새롭게 분석하여 현재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 결과 현재 값의 18.7%~322.9%의 결과를 얻었다. 기존의 값이 실험한 두 값 사이에 있거나, 기존값과의 차이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수정하지 않았으며, 그 외에 차이가 있는 40종은 새로운 분석값으로 수정하였다. 수정한 데이터베이스로 대상자들의 엽산 평균섭취량을 성별, 연령별로 나누어 계산한 결과 모든 연령층에서 평균 엽산 섭취량이 권장섭취량보다 높았으나 12~14세 남자와 12~19세 여자의 평균 엽산 섭취량은 권장섭취량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란, 배추김치, 쌀, 귤은 모든 연령층에서 엽산 급원식품의 10위 안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급원식품 51종만을 분석하였으나 한국인들이 자주 먹는 식품의 조리 후 엽산 함량을 분석하여 보완해 나감으로써 더 정확한 엽산 섭취량을 추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12~19세 여자의 평균 엽산 섭취량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엽산은 성장기 및 가임여성에게 특히 중요한 비타민으로써 이들을 위한 엽산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Folate coenzymes are involved in one-carbon transfer reactions needed for the synthesis of nucleic acids, amino acids, and proteins which are very important for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folate content on plasma and tissue folate concentrations and on folate excretions in urine and fece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ised for 4-10 weeks on semi-purifi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0mg, 2 mg, 8mg folate/kg diet. Folate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microbiologically using Lactobacillius casei (ATCC 7469). When compared to the folate adequate diet, the folate deficient diet decreased folate levels in plasma, liver and kidney , and the values were further decreased with experimental period. In rats reviving folate supplemented diets, plasma , liver and kidney folate adequate or supplemented diets, folate concentrations weer increased compared to animals on the folate adequate diet. In the folate adequate or supplemented diets, folate concentrations in the plasma and kidney were maintained at essentially the same level for 10 weeks . Folate concentrations in the liver, however, continued to increase with experimental period. Dietary folate intake seems to influence plasma and liver folate concentrations more than kidney folate concentrations. Folate excretions unrine and fec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dietary foalte intakes and experimental period. Folate excreted via urine was consideerably greater than that via feces. These resutls indicated that the foate supplemented diet improved plasma and tissue foalte status. Whether folate supplmentation improves foalte-dependent reactions remains to be researche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