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cus group interviews(FGI)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5초

재도전 소상공인의 역량모델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Modeling of Micro Entrepreneurs Recovering From Failure)

  • 임진혁;박성희;김재형;채연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6호
    • /
    • pp.71-88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과 같은 외부 환경의 영향뿐만 아니라 경쟁 환경 및 시장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등 역량부족의 문제 로 사업 실패률이 높아진 소상공인들의 성공적인 재기를 돕고자 이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모델링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77년 부터 2022년까지 발행된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고 7인의 재도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행동사건인터뷰(BEI)를 진행하였으며, 역량개발 및 HRD 전문가를 섭외하여 세 차례에 걸처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는 과정을 통해 역량초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2명의 관 련분야(창업, 소상공인, 심리·역량) 전문가를 섭외하여 3회에 걸친 델파이기법(Delphi Analysis)을 통해 재도전 소상공인의 성공적인 재 기에 도움이 되는 역량을 2개의 역량군(소상공인, 실패회복), 8개의 세부역량(사업기회포착, 사업기획, 사업차별화, 운영관리, 판로개척, 제 품과 서비스 연구개발, 긍정적 자기조절, 실패경험 극복 및 대처), 22개의 역량요소, 72개의 지식·기술·태도(KSA)가 표시된 행동지표로 도출하였다. 이와 같이 진행된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재도전 소상공인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구체화했다는데 학술적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재도전 소상공인 대상 역량기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지원 프로그램에 적합한 대상자 선별하는 등에서 활용될 수 있으 며 소상공인 스스로 사업 성공을 위해 역량을 진단하며 자기개발을 촉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남해 연안성 조류번식지 적합성지수 평가항목 가중치 설정 (Weights for Evaluation items of Conformity index of Bird breeding sites on the West and South coasts of Korea)

  • 김창현;김원빈;김규섭;이창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0-48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서·남해안 도서(島嶼) 및 연안 지역을 번식의 근거지로 활동하는 조류와 관련한 번식지 적합성 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와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안성 조류 번식지 적합성 가치 판단 결과 자연적 가치(0.763)가 인위적 가치(0.237)에 비해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번식공간의 지속적 완전성 담보를 위한 '보호구역 지정여부'를 제외한 다른 인위적 가치는 하위순위로 파악되었다. 둘째, 2차례 진행된 FGI에서 분류된 25개의 평가항목을 상위개념으로 재정립한 결과, 자연적 가치가 9개, 인위적 가치가 5가지, 총 14개로 최종 선정되었다. 셋째, 연안성 조류 번식지 적합성 중요도의 중분류 평가 결과는 '생태적 가치(0.392)', '지형적 가치(0.251)', '소극적 간섭(0.124)', '지질적 가치(0.120)', '적극적 간섭(0.113)'의 순서로 파악되었다. 이는 번식공간 자체의 수용적 환경보다는 번식을 위한 생존환경에 우선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연안성 조류 번식지의 평가항목 우선순위 결과는 '식생분포(0.187)', '갯벌의 면적(0.118)', '갯벌의 유무(0.092)', '천적의 출현(0.087)', '보호구역 지정여부(0.08)', '섬 면적(0.069)', '과번식에 의한 황폐화(0.064)', '토양 구성비(0.056)', '육지와의 거리(0.054)', '해양 양식장 면적(0.045)', '경작지 면적(0.041)', '경작 행위(0.038)', '표면의 각도(0.036)', '토지이용(0.033)'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항목의 가중치 결과값은 연안성 조류 번식지 공간에 집중한 우선순위 평가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조류 개체가 갖는 고유의 서식지 적합성과의 상관성 여부는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추후 종별특성을 접목한 공간분석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미래 학생 역량의 수업설계 연구: 초등 국어과 사례 (Istructional Design Issues of Future Student Competency: Case from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es)

  • 조은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03-31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국어과 수업에서 미래학생역량에 중점을 두고 교수학습을 전개했을 때 교사들이 겪는 실제 수업상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분석하는 것이다. 초등 국어과 현장 교사와의 초점 접단 인터뷰를 통해 평소 수업에 대한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핵심역량기반 수업설계전략을 현장에 접목한 후 교사들의 피드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수업전개, 교사준비, 행정지원의 측면에서 현재 수업 상황에서 미래학생역량이 반영될 때 해결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지적하였다. 학생들의 성취기준과 핵심역량목표와의 간극이 해결되어야하며 이를 위한 평가실시 및 학생피드백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개념 정립과 수업전략설계를 위한 집중 연수가 필수적이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적 행정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패션소품생산 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훈련자격 설계에 관한 연구 (Study of 'Education-Training-Certificate of Qualification' Design for the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서승희;이신영
    • 복식
    • /
    • 제65권2호
    • /
    • pp.125-143
    • /
    • 2015
  •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ducation-training-certificate of qualification' design of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which can be applied to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individuals. It is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which was developed through the '2013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Development Project' for the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FGI (Focus Group Interviews), which is a research methodology, is carried out on target groups of educational experts and specialists in the field of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Through this, five courses were suggested; first, 'fashion accessories design' course was proposed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design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raw materials'. Secondly, 'fashion product production' course was proposed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production of samples'. Thirdly, 'fashion product manufacture and planning' course was proposed for the competency element units: 'calculation of cost', 'determination of mass production model and price', 'planning of the main manufacturing process' and 'ordering of raw materials'. Lastly, 'mass production of fashion products' course and the 'field practice of fashion product manufacture' course were proposed for the competency element units: 'planning for mass production', 'preparation for mass production', 'mass production' and 'inspection of completed products'. In addition, a new certificate of 'technician of fashion accessory production' was proposed in order to test qualified skills for the fashion accessories production. The test is composed of a written examination of short-answer questions, technical drawing and production.

핵심간호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선 전략 (Strategy for Improving Core Nurs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 박정모;김정숙;김재희;안지연;표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26-43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and to improve competency-based nursing education. Methods: A triangulation method was used.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used to identify nursing core competencies. The present level of nursing competencies of studen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nursing core performance questionnaire. Results: 1) Nursing core competencies, including 23 different competencie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area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research. These competencies included: desirable personality, attitude & interpersonal skills, professionalism, nursing knowledge & basic nursing skills, ability to cope with nursing situations, basic ability in nursing research, coping ability with changes in the healthcare environment, and leadership. 2) Core nursing skills, nursing research, and nursing leadership were the three lowest ranking competencies. Some courses in the curriculum were to be newly established in an e-learning system, student's portfolio in non-curriculum. Conclus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show effects of the changes. Changes after applying the strategy of a nursing education program will be measured. Continuous research in competency-based nursing education is needed.

독거노인 돌봄에 있어 인간중심의 IT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uman-Centered IT Utilization in Caring for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 최소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455-462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로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지역사회 돌봄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독거노인 돌봄에 있어 인간 중심의 IT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문가 대상 FGI를 통해 ICT 활용 돌봄서비스 현황, 전달체계의 문제, 윤리적 이슈를 확인하였다. IT를 활용한 서비스로 독거노인의 생활안전과 고독사 예방을 위한 보조기술인 '돌봄플러그'와 정서적 지지의 반려로봇이 활용되고 있었다. 전달체계 상의 문제로는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보조기술 활용에 대한 신뢰 부족, 공급자중심, 일률적 제공이라는 문제가 도출되었으며 대면서비스의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하고 통제 가능하며 편이성이 담보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인간중심의 IT 활용을 위한 윤리적 이슈로 '자기결정권의 보장', '사생활보호', '충분한 알권리의 보장', 그리고 '사각지대 포괄'의 이슈가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용자 중심의 설계 필요성과 인간중심의 보조기술 활용을 위안 윤리지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농업 분야 국가 R&D 기술이전 사업화 성공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National R&D Commercialization in Agriculture)

  • 송영헌;이정인;김준기;황의웅;엄인용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1-58
    • /
    • 2023
  • This study identifies the commercialization success factors that can be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national R&D results in the agricultural sector. Unlike other industries, the agricultural sector has a non-systematically scaled and processed industrial structure, and R&D is led by government rather than the private sector. Although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national agricultural R&D, especially the number of patents and publications, has increased rapidly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government R&D budget,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of the results of agricultural R&D has been accompanied by difficulties for SMEs.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d the success factors for commercialization of state-owned technologie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m, analysed the success factors for commercialization specific to the agricultural sector. It also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Delphi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experts from academia, research and industry, and a survey of agricultural companies to derive success factors for commercializ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five indicators with positive correlation and three indicators with negative correlation within technology characteristics, suppliers, adopters, policy and market factors were finally derived as key factors for agricultural commercialization.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ndependent factor analysis of the food and seed sectors, which have independent industry characteristics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will be needed.

제조업 사고분석을 통한 위험성평가 시 위험 가중요인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isk Weighting Factors in Risk Assessment Through Manufacturing Accident Analysis)

  • 김인성;송석진;조규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29-36
    • /
    • 2023
  • 본 연구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제조업 현장에서 위험성평가 시 위험 가중요인이 반영될 수 있도록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제조업 사업장에 적용하여 실증하였다. 제조업에서 최근 10년간(2012~2021) 발생한 사고 242,906건 전체에 대하여 사례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6개월 미만의 신규 작업자, 외국인 작업자, 55세 이상의 고령 작업자 및 손과 팔이 위험구역에 노출되는 작업, 9시에서 12시 전까지 실시되는 비일상 작업은 유의성 있게 사고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표적집단면접(FGI)을 통하여 위험성 결정 단계에서 사고의 가능성 추정에 가중 값으로 적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위험성평가 시 위험 가중요인을 정량적으로 반영할 수 있고 파악된 위험의 크기를 보다 근접하게 평가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사회복지사 근로실태 경험과 인식 비교 분석 : 세대간 차이점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Work Status of Social Workers : Focusing on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 이방미;윤재영;서동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233-241
    • /
    • 2024
  • 본 연구는 코로나 발생 이후 사회복지실천현장의 변화 중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이들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인식, 사회복지사의 요구사항 등 2개의 영역에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었다. 세대별로 20대는 현재의 근무환경, 서울시 및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에 대한 요구와 관련된 진술이 많았고, 40~50대는 근무환경에 대한 언급은 많았지만 서울시와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에 대한 요구는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낮은 보수수준과 근무여건 및 환경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사에게 안전한 업무환경이 필요하다. 셋째, 변화된 사회복지사의 인식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여기에 맞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남·북 관계에 대한 1020세대들의 이야기 (The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10th to 20th Generation on the South and North Korea Relations)

  • 정경주;정문주;김현수;서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47-560
    • /
    • 2020
  • 본 연구는 1020세대들의 남북관계에 대한 생각을 탐색하여 미래 남북관계를 위한 국내 교육 정책에 대한 개선점을 찾고 현재 통일교육 및 남북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 표집은 10대와 20대를 구분하여 공개모집하였다. 이후 눈덩이 표집을 거쳐 각 10대 집단 6명, 20대 집단 8 명 총 14명을 선정하여 각 집단별로 3회에 걸쳐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 남북관계에 대한 본 연구 참여자들은 3가지 관점인 '민족주의적 관점', '실용주의적 관점', '이념·체제 주의적 관점'을 보고하였다. 두 번째, 남·북 관계에 대한 정서 및 태도는 어떠한가에 대하여 부정과 긍정 둘 다 나타났다. 그러나 긍정 정서 및 태도는 주로 미디어의 영향으로 나타난 것이었으며, 부정정서와 태도는 반복적이고 강요적 교육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1회기 수동적 면접과는 다르게 자신의 의견을 내놓으며 능동적으로 변화한 모습으로 남북한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했다. 이는 본 연구의 가치이자 향후 1020세대들에게 남북한 관계와 상호작용하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함에 있어 필요한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의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