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am proportion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포 소화설비용 소화약제 혼합장치의 성능향상을 위한 정량 혼합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am Mixing Characteristics in Steady State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Proportioner for Foam System)

  • 구재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63-68
    • /
    • 2009
  • 본 연구에서 물 흐름에 일정한 농도로 포 소화약제를 정확하게 혼합하는 포 소화설비용 소화약제 혼합장치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포소화약제의 정량 혼합특성을 분석하였다. 펌프, 탱크, 압력계, 유량계, 노즐로 구성되는 성능평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발된 프로포셔너의 성능이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라인프로포셔너의 포소화약제 혼합성능은 벤츄리 효과에 의한 물유량 증가와 오리피스 단면적 증가에 따라 증가하고 오차율 $\pm4%$이내의 범위에서 물 유량과 포소화약제 양의 혼합농도 3%의 성능을 보였다. 프레셔프로포셔너의 경우 물 유량 증가와 입구압력 증가에 따라 혼합성능이 증가하고 오차율 $\pm2%$이내의 범위에서 물 유량과 포소화약제 양의 혼합농도 3%의 성능으로 분석되었다.

원액흡입배관 단면적 확장에 의한 포 소화설비 혼합비 개선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oam Fire-Extinguishing System's Mixing Ratios by Expanding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tock Solution Inhaling Piping)

  • 윤기조;장경남;백은선;박봉래;박희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30-37
    • /
    • 2013
  • 본 연구는 가연성탱크 화재발생시 하나의 포 비례혼합기에서 분기헤더를 거쳐 다수의 소화지역 분기방식 포 소화설비의 분기헤더에서 저장탱크 하단부 입상관 까지의 포수용액 배관단면적 감소에 따른 통과유량 감소로 혼합비가 허용범위를 벗어날 때 적정농도의 포수용액 방출에 효과적인 방법을 확보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설치 포 소화설비의 유량변동에 따른 혼합비 변동원인 분석 및 일정혼합비 보상방법을 찾아보고, 포 비례혼합기 벤츄리 폼챔버 오리피스 및 미터링 오리피스 교체실험을 통해 원액흡입배관 단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미터링 오리피스 교체실험이 포 소화설비 혼합비 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방안임을 입증하였다.

[논문철회]미터링 벤츄리를 이용한 포소화약제 혼합장치의 성능개선 ([Retracted]Improving Performance of Foam Proportioner Utilizing Metering Venturi Type)

  • 주승호;공하성;공예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48-52
    • /
    • 2015
  • 이 연구는 기존의 미터링 오리피스보다 유량계수가 작은 미터링 벤츄리를 이용하여 포소화약제 혼합장치를 실무에서 주로 사용하는 직경으로 제작하여 혼합비가 적정한지를 평가한 연구로써 3%용 혼합비의 경우 가압수 직경 76.2 mm(포원액 직경 31.75 mm)는 3.1~3.5%의 혼합비의 변화를 나타내었고, 가압수 직경 101.6 mm(포원액 직경 38.1 mm)는 3.3~3.7%의 변화를 나타내어 포소화약제혼합장치등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인 3.0~3.9%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혼합비의 경우 가압수 직경 76.2 mm는 6.4~6.8%의 혼합비의 변화를 나타내었고, 가압수 직경 101.6 mm는 6.25~6.5%의 변화를 나타내어 포소화약제혼합장치등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인 6.0~7.0%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즐 구경에 따른 포 수용액의 압력과 유량 및 농도 변화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a Discharge Pressure, Flow Rate and Foam Discharge Concentration through the Nozzle According to the Foam Suction Nipple Diameter)

  • 장경남;이맹로;박봉래;윤기조;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84-91
    • /
    • 2015
  • 본 연구는 소방펌프차에서 사용 중인 라인프로포셔너 방식의 포 소화설비에 대하여 노즐의 구경변화에 따른 포 수용액의 압력, 유량 및 농도의 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로 실험 데이터를 이론적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포 소화약제 성능인증기준에 적합한 폼 흡입 노즐의 흡입측 압력 및 폼 흡입 니플의 구경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 장치는 소방방재청 고시 제2012-81호 제8조(기능시험) 규정을 바탕으로 실험 장치를 구성하였으며, 포 소화약제는 수성막포 3%를 사용하였고, 혼합장치는 현재 소방관서에서 사용 중인 폼 픽업식 라인프로포셔너 혼합장치 구경 40 mm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라인프로포셔너 혼합장치의 인입측 압력 변화 및 폼 흡입 니플 구경의 변화에 대하여 폼 흡입 노즐의 구경이 4 mm일 때 노즐 흡입측 압력은 0.25~0.35MPa 범위 내에서 이론적 포 소화약제 성능 인증 기준에 적합함을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폼 흡입 노즐의 구경이 5 mm일 때는 폼 흡입 노즐의 구경이 4 mm일 때 보다 높은 압력 0.45~0.60 MPa 범위 내에서 포 소화약제 성능 인증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