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quinconazol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3초

토마토 중 fluquinconazole과 flusilazole의 포장 및 가공에 따른 잔류특성 (Residual Characteristics of Fluquinconazole and Flusilazole in Tomatoes during Greenhouse Cultivation and Processing)

  • 노현호;이재윤;박효경;정혜림;진미지;이정우;정헌상;이상훈;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4-89
    • /
    • 2017
  • 토마토 중 fluquinconazole과 flusilazole의 온실 재배 및 가공과정 중 소실을 구명하기 위하여 온실에서 재배 중인 토마토에 시험농약(fluquinconazole+flusilazole 8.5(7+1.5)% 액상수화제)을 안전사용기준에 준하여 살포한 후 경시적인 잔류량 변화 시험을 위해서는 최종 약제 살포 당일, 1, 3, 5, 7일차에, 가공시험을 위해서는 최종 약제 살포 후 5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가공과정 중 잔류량 변화를 시험하기 위하여 토마토를 퓨레와 주스로 가공하였다. 토마토와 가공품 중 fluquinconazole과 flusilazole의 정량한계는 모두 0.005 mg/kg이었으며, 회수율은 74.8-97.5%이었다. 온실조건에서 토마토 중 fluquinconazole과 flusilazole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각각 5.2와 6.4일이었다. 가공에 따른 토마토 및 가공품 중 fluquinconazole과 flusilazole의 평균 잔류수준은 물로 세척 후는 각각 37.34와 79.53%, 끓인 후 여과액에는 각각 8.95와 28.75%, 퓨레에는 3.58과 14.66%, 주스에는 3.34와 13.52%이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토마토 중 fluquinconazole과 flusilazole은 주로 세척과 끓임에 의해 제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복숭아의 재배기간 중 살충제 Clothianidin 및 살균제 Fluquinconazole의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s (PHRLs) of Insecticide Clothianidin and Fungicide Fluquinconazole on Peaches during Cultivation Period)

  • 박재훈;임종성;윤지영;문혜리;한예훈;이용재;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1-276
    • /
    • 2012
  • BACKGROUND: It is hard to control the agricultural products exceeding MRL (maximum residue limit) before forwarding. Therefore, NAQS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South Korea) established PHRL (pre-harvest residue limit) on agricultural products during their cultivation perio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t the PHRLs of peach during cultivation period, and also to estimate biological half-lives for residues of clothianidin and fluquinconazole. METHODS AND RESULTS: Two groups of peach were treated under Korean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with application time, single and triple treatments. Sample was collected over 14days (each after 0, 2, 4, 6, 8, 10, 12, 14 days. 8times), and clothianidin and fluquinconazole were analyzed by HPLC/DAD and GC/ECD, respectively. CONCLUSION: The biological half-life of clothianidin in single treatment and triple treatment was 5.2days and 7.0days. That of fluquinconazole was also 3.9days and 4.1days, respectively. The PHRL of peach on 10days before harvest was 1.4 mg/kg in clothianidin and 1.8 mg/kg in fluquinconazole.

Triazole계 살균제의 양파 흡수이행 및 조리 형태별 소실 양상 (Patterns of Uptake and Removal by Processing Types of Triazole Fungicides in Onion)

  • 이은향;황정인;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8-254
    • /
    • 2015
  • 양파 중 살균제 fluquinconazole 및 tetraconazole의 흡수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양파의 지상부에 fluquinconazole+tetraconazole 21% (14:7, v/v) 유현탁제를 500 및 200배 희석하여 살포하고 10일 경과 후 양파 지상부와 가식부에서 농약의 잔류량을 측정하였다. 양파 지상부에서 잔류량은 200배 희석 살포구에서 fluquinconazole이 5.2 mg/kg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500배 희석 살포구에서 tetraconazole이 1.2 mg/kg으로 가장 적었다. 지상부를 통해 양파 가식부로 이행된 농약의 잔류량은 검출한계(0.1 mg/kg)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파 가식부를 최외각부터 차례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 농약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fluquinconazole이 0.04~0.24 mg/kg의 농도로 검출되어 양파 가식부 층별로 농약이 다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 가식부를 1,000배 농약 희석액에 침지한 후 삶기(boiling), 볶음(stir frying) 및 절임(pickle)과 같은 양파 조리를 실시한 결과 삶은 후에 76.9~92.6%의 제거율로 두 농약 모두 가장 많이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나무로부터 분리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에 대한 감수성 (Sensitivity to Ergosterol Biosynthesis Inhibiting-Fungicide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Persimmon Trees)

  • 임태헌;이동운;최용화;이상명;한상섭;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71-176
    • /
    • 2009
  • 2008년 5~6월 사이 상주 지역 감 과수원으로부터 분리한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prochloraz manganese complex, tebuconazole, mancozeb+myclobutanil, fluquinconazole+prochloraz, tebuconazole+toIyfluanid 등 총 5종의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탄저병균 110균주 중 prochloraz ($250\;{\mu}g/m{\ell}$)과 tebuconazole($125{\mu}g/m{\ell}$)에 대하여 각각 97.3%와 98.2%의 균주가 91%이상의 균사생육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ncozeb + myclobutanil, fluquinconazole + prochloraz 및 tebuconazole + tolyfluanid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와 다른 약제의 합제에 대하여 91% 이상의 균사생육이 억제되는 균주의 비율은 각각 96.4, 99.1 및 96.4%로 나타났다. 공시한 약제 중 감수성이 가장 높은 약제는 fluquinconazole + prochloraz로 나타났다. Tebuconazole과 tebuconazole + tolyfluanid 약제간 r=0.85으로 약제간 교차 저항성의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mplete Genome Sequence of Pseudarthrobacter sp. IC2-21, a Fluquinconazole-Degrading Soil Bacterium

  • Myoungjoo Riu;Songhwa Kim;Jaekyeong So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94-96
    • /
    • 2024
  • 트리아졸계 살균제인 플루퀸코나졸을 분해할 수 있는 Pseudarthrobacter sp. IC2-21 균주는 이천 지역의 비닐하우스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IC2-21 균주의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4,265,009 bps를 가진 단일 환형 염색체로서 G+C 함량은 65.4%로 구성되었다. 이유전체는 3,884개의 단백질을 암호하는 염기서열을 가졌으며, 12개의 rRNA와 51개의 tRNA 유전자를 포함한다. 염기서열 분석 결과, IC2-21 균주는 플루퀸코나졸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인 oxygenase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가졌음을 밝혔다.

한국 골프장 잔디에서의 Sclerotinia homoeocarpa의 약제 저항성 및 방제 (Chemical Resistance and Control of Dollar Spot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on Turfgrass of Golf Courses in Korea)

  • 김정호;최희열;심규열;김영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0-175
    • /
    • 2010
  • 우리나라 16개 골프장으로부터 동전마름병균 24균주를 분리하였다. Sclereotiona homoeocarpa 24 균주의 약제 저항성 검정은 지오판수화제(benzimidazole계)와 테부코나졸유제(demethylation inhibitor: DMI), 이프로디온수화제(dicaboximide계)가 첨가된 영양배지 위에서 균사 생장에의해 결정되었다. 시험결과 24 균주 중 이프로디온수화제에 약제 저항성 발생률은 83.3%, 지오판수화제 62.5%, 테부코나졸유제 0%를 나타냈었다. 또한 이프로디온수화제와 지오판수화제 두 약제에 대한 약제 저항성 발생률은 58.3%였다. 지오판수화제와 이프로디온수화제의 살균제 저항성 발생률은 잔디 초종과 병원균 분리장소와 상관이 없었다. 동전마름병 방제를 위한 포장시험에서 프로사이미돈(prcymidone), 보스칼리드(boscalid), 플루퀸코나졸+테부코나졸(fluquinconazole+pyrimethanil)이 크리핑벤트그래스의 동전마름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였다.

2013년 경북 상주지역 감나무로부터 분리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탄저병균의 스테롤 생합성 저해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Sensitivity to 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Persimmon in 2013 in Sangju, Gyeongsangbukdo)

  • 임태헌;이동운;권오경;한상섭;차병진;송인규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2-278
    • /
    • 2015
  •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탄저병균은 우리나라 감 재배지 주요 병의 하나이다. 2013년 상주 지역 감(Diosprosi kaki) 과원에서 C. gloeosporioides에 의하여 감염된 신초, 과일 및 잎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여 prochloraz manganese complex, tebuconazole, mancozeb+myclobutanil, fluquinconazole+prochloraz, tebuconazole+tolyfluanid 등 총 5종의 살균제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67 균주 모두 공시 약제의 포장적용 농도에서 균사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Tebuconazole의 $EC_{50}$값의 범위는 $0.02-1.04{\mu}g/ml$이었으며 평균 $0.31{\mu}g/ml$이었다. Pochloraz manganese complex의 $EC_{50}$값의 범위는 $0.02{\sim}0.23{\mu}g/ml$이었으며 평균 $EC_{50}$값은 $0.078{\mu}g/ml$이었다. Fluquinconazole+Prochloraz(FP)에 대한 $EC_{50}$값을 조사한 결과, 평균 $0.029{\mu}g/ml$이었다. $EC_{50}$값에 기초한 약제간 상관계수 r은 tebuconazole과 prochloraz manganese complex간에는 0.42이었으며, prochoraz manganese complex와 FP 합제 간에는 0.44, tebuconazole과 FP 합제 간은 0.27이었다.

살포기 종류별 살포물량별 사과 중 농약 잔류량의 비교 (Comparison of Pesticide Residue Amounts in Apple Trees Applied by Different Sprayers and Spray Volumes)

  • 문성환;권혜영;홍수명;김상수;손경애;임치환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4-270
    • /
    • 2016
  • 스피드스프레이어, 동력분무기, 배부식 동력분무기를 이용하여 사과원에서 fluquinconazole flusilazole 수화제를 동일한 물량으로 살포하고 잔류농약을 분석하여 살포기별 부착량을 비교하였으며 스피드스프레이어의 경우 살포물량을 고물량, 중물량, 저물량 처리를 두어 비교하였다. 살포기별 사과잎의 부착량은 두 농약 모두 스피드스프레이어의 부착량이 동력분무기와 배부식 동력분무기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fluquinconazole: 스피드스프레이어 8.33 mg/kg, 동력분무기 4.56 mg/kg, 배부식 동력분무기 4.55 mg/kg; flusilazole: 스피드스프레이어 2.15 mg/kg, 동력 분무기 1.10 mg/kg, 배부식 동력분무기 1.12 mg/kg). 스피드스프레이어의 살포물량별 사과잎의 농약 부착량은 물량이 클수록 부착량이 많았으며 물량별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fluquinconazole: 고물량 10.76 mg/kg, 중물량 8.32 mg/kg, 저물량 6.04 mg/kg; flusilazole: 고물량 3.04 mg/kg, 중물량 2.14 mg/kg, 저물량 1.47 mg/kg). 이러한 결과는 농약의 살포기별 살포물량별 농약 부착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농약품목등록을 위한 시험의 기준 설정 및 자료평가에 활용이 가능하며 나아가 과수의 살포물량 설정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척방법에 따른 양파껍질추출물의 Quercetin수율 및 잔류농약 제거효과 (Reduction in Residual Pesticides and Quercetin Yields in Onion Peel Extracts by Washing)

  • 정은정;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665-1671
    • /
    • 2012
  • 본 연구는 양파껍질로부터 건강기능성식품 기능성원료로서의 양파껍질추출물의 표준화공정을 설정하고자 하였으며, 제조과정 중 지표물질의 추출효율 증대 및 잔류농약 안정성 확보를 위해 여러 세척공정을 통한 quercetin 함량 및 잔류농약 잔존율을 분석하였다. 양파껍질(A)을 1차 1종세척제(이하 세척제) 수세후 건조한 처리구(B), 2차 세척제 처리구(C), 초음파+세척제 처리구(D), 과산화수소+세척제 처리구(E) 및 데치기+세척제 처리구(F)로 처리한 다음 주정추출후 농축 및 진공동결건조하여 양파껍질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양파껍질추출물의 수율 및 지표물질인 quercetin의 수율을 고려하면 과산화수소처리+세척제 처리구(E)가 B처리구에 비해 각각 89.04% 및 96.84%로 추출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든 시료에서 총 177종의 농약성분 중 cyhalothirn, fluquinconazole 및 procymidone, 3종만이 검출되었는데, cyhalothirn (생양파 허용기준; 0.5 mg/kg), fluquinconazole (0.2 mg/kg)은 각각 0.37-0.68 mg/kg 및 0.35-3.28 mg/kg으로 농축도(27-60배)를 고려하면 허용기준에 안정하였으나 procymidone은 함량이 128.01~133.67 mg/kg으로 높았다. 따라서 양파껍질추출물의 표준화공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물리적 전처리 공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국내 재배.유통 중인 화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Floricultural Crops Collected from Floral Farms and Markets in Korea)

  • 이경희;김성수;박홍열;지광용;김종걸;허건양;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16-222
    • /
    • 2009
  • 화훼작물은 주로 시설재배로 연중 생산 및 출하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연작 및 고온 다습한 환경으로 인해 병해충 발생이 용이하고 주로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산 유통 중인 화훼작물 중의 잔류농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성분 분석을 통한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화훼작물은 생산량과 소비량이 가장 많은 장미, 국화, 백합을 대상으로 경기도 화성, 고양, 강원도 인제군 화훼재배단지에서 1회 채취하였고, 서울의 대형 화훼유통단지(남대문 도매시장, 양재 꽃 시장, 강남 꽃 시장)에서 3회 시료를 채취하여 GC/ECD, NPD, HPLC/UVD, FLD로 분석하였다. 화훼작물 중 잔류농약의 모니터링 실험결과 생산 중인 화훼작물에서 살균제 12종, 살충제 11종, 살비제 1종 등 총 24종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빈도는 carbaryl 15%, boscalid, fluacrypyrim, fluquinconazole, methomyl, pyraclostrobin, trifloxystrobin 10% 순으로 나타났으며, 잔류량은 $0.01\;mg\;kg^{-1}\;{\sim}\;27.23\;mg\;kg^{-1}$이었다. 유통 중인 화훼작물에서는 살균제 25종, 살충제 36종, 살비제 1종, 제초제 2종 등 총 64종의 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빈도는 carbaryl, fluquinconazole, kresoxim-methyl 19%, methomyl 17%, methiocarb, thiacloprid 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잔류량은 $0.01\;mg\;kg^{-1}\;{\sim}\;53.5\;mg\;kg^{-1}$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꽃보다 잎에서 잔류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생산 중인 장미, 국화, 백합에서 각각 55%, 60%, 63%이었고, 유통 중인 장미, 국화, 백합에서 각각 47%, 60%, 89%는 해당 작물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미등록 농약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훼작물 중 지속적인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사용가능한 농약 품목 등록의 확대 및 농약 사용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