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ide-ion concentration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3초

차체용 알루미늄합금의 인산염피막 처리액의 특성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sphating solution for automobile-aluminum-body sheets)

  • 이규환;노병호;김만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07-214
    • /
    • 1994
  • In consideration of global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fuel saving, aluminum alloy sheets for auto body panels such as hood, fender etc., are expected one of the most promising materials for weight saving of cars. The chemical conversion coating is required to prevent the filiform corrosion occurring on painted aluminum. However the conventional process for the composited material mixed with aluminum and steel is complexs; aluminum part is chromated and assembled to the body, and then the steel body undergoes Zn phosphating. In order to overcome the low productivity due to the complex process and the environmental problem with a conventional process, a simultaneous zinc phosphating process for alsuminum and steel in an assembled condition is demanded. Newly developed phosphate solution has been investigated to characterize the phosphating behavior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optimum conditions of the phosphating solu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e paint treatment derived as follows : about 0.3 for the ratio of Zn to $PO_4$, , 200~500 ppm for the concentration of fluoride ion, and 2.5~4.0 for pH.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aluminum ion must be kept below 2--ppm and suitable accelerator is found to be a mixture of 1g/$\ell$ $NO_2\;^-$, and 6g/$\ell$ $NO_3\;^-$.

  • PDF

붕소 착물 음이온의 이온쌍 추출 (제2보). $F^-$$HF_2^-$-이온의 영향 (Ion-Pair Extraction of Boron Complex Anions (Ⅱ). Effect of Fluoride and Bifluoride Ions)

  • 송형수;김해동;김강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11-418
    • /
    • 1983
  • HF용액 또는 ${KHF}_2$용액에서 methylene blue의 양이온과 ${BF}_4^-$음이온이 이루는 착물을 1,2-dichloroethane으로 용매추출할 때, 용액 중에 존재하는 $F^-$${HF}_2^-$음이온이 미치는 영향을 분광광도법으로 조사하였다.$F^-$ 이온은 $10^{-2}$의 비교적 진한 농도로 존재하더라도 methylene blue와 이온쌍을 이루지 않으므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HF}_2^-$이온은 ${BF}_4^-$이온과 경쟁적으로 methylene blue와 이온쌍을 이루어 BF4-이온과 함께 추출되는 것으로 보이고 25$^{\circ}C$ 에서 methylene blue-${HF}_2$ 이온쌍의 1,2-dichloroethane용매에 대한 추출상수, $K_{ext}$=8.5를 얻었다.

  • PDF

칼슘 침전법에 의한 불소 처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alcium Precipitation Treatment of Fluoride)

  • 김영임;김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1-376
    • /
    • 2007
  • The features of precipitating reaction of fluorine have been examined under several aquatic conditions by employing calcium ion as a precipitant. Based on MINTEQ program, fluorine was found to exist in the forms of $H_2F_2$ and HF in strong acidic environment and change into $F^-$ with increasing pH.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the precipitating reaction of fluorine progressed rapidly within a few minutes after the reaction started and reached its equilibrium in 10 minutes. As the addition of precipitant was increased, removal of fluorine by the formation of precipitate was promoted and its was also enhanced by the rise of pH. The precipitating reaction of fluorine was impeded when its initial concentration was low and X-ray analysis showed that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precipitate was mainly $CaF_2$ with partly NaF. Coexisting phosphate in solution influenced the fluorine removal by impeding the precipitate formation and similar effect was found when metallic ion such as $Zn^{2+}$ was present with fluorine.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음이온 동시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Inorganic Acids by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

  • 박성우;진광호;유재훈;김동환;서배석;김영상
    • 분석과학
    • /
    • 제11권3호
    • /
    • pp.213-221
    • /
    • 1998
  • Bromide, chloride, fluoride, nitrite, nitrate, sulfite, sulfate, perchlorate, chlorate 및 chlorite가 포함된 시료를 capillary zone electrophoresis(CZE)와 indirect UV detection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음이온류의 분리는 running buffer로 5 mM ammonium dichromate, 10 mM ammonium acetate, 20 mM diethylenetriamine, 10% methanol(pH 9.3)을 사용하였으며 전압은 cathode에 15 kV를 공급하였다. 또한 최초로 CZE에서 음이온의 정량이 가능하도록 각 이온들에 대한 regression과 detection limit를 결정하였고, 이 분석방법은 톨루엔을 흡입한 사람의 뇨, 부검 혈액, 폐수 및 폭약 등 시료에 적용하였으며, 음이온의 함량을 ion chromatograph(IC)와 비교 검토하였다.

  • PDF

불화수소 누출사고 사례를 통한 주변 농작물의 환경피해 (Environmental Damage to Nearby Crops by Hydrogen Fluoride Accident)

  • 김재영;이은별;이명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4-60
    • /
    • 2019
  • 본 연구는 실제 불화수소 누출 사고에 대한 OCA(Off-site consequence analysis) 분석을 통해 최악 및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사고영향범위 예측치를 평가하고, 사고 반경 내 농작물의 잔류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화학사고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환경 피해영향범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KOR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고영향범위를 분석한 결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는 사고 발생지점으로부터 10 km 이상,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는 1,968 m의 영향범위가 산정되었고, ALOHA 소프트웨어 구동 결과는 약 1.9 km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실제 사고 지역 내 농작물의 불소화물 잔류 여부를 측정한 결과, 피해지역 내 불소화물 농도는 4.96~276.82 mg/kg 범위로 사고 발생지점 인근이(E-1) 가장 높았고(276.82 mg/kg), 동쪽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잔류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북동 방향 2지점과 남동 방향 4지점은 사고 발생지점 인근보다는 낮은 경향이었다(4.96~28.98 mg/kg). 이러한 결과를 비추어 2 km 내외 지점의 불소화물 농도가 5 mg/kg 이하의 미미한 수준과 대안의 사고시나리오 예측 영향범위인 약 1.9 km를 고려했을 때 피해영향범위는 약 2 km 내외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OCA 평가는 누출조건, 기상조건, 시간경과에 따른 물리화학적 변수 등을 사고현장과 동일하게 입력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피해영향범위와 다른 경향은 있지만 농작물 중 불소화물 잔류오염 여부를 동시에 평가함에 따라 화학사고로부터 화학물질의 확산범위를 산정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음향파 화학센서를 이용한 수용액 중 시안화이온의 선택적인 고감도 검출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detection of cyanide in aqueous solutions using a surface acoustic wave chemical sensor)

  • 이수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73-479
    • /
    • 2016
  • 본 연구는 센서 표면에 고정된 티오에스터 분자와 금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수용액 중의 시안화이온(cyanide)을 선택적이고, 고민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200 MHz 표면음향파(Surface Acoustic Wave, SAW) 센서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SAW 센서표면에 형성된 티오에스터 단분자막은 시안화이온의 친핵성 첨가반응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티올(thiol)이 만들어지고, 티올 분자는 다시 금 나노입자와 반응에 의해 티올-금 나노입자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후 신호증폭을 위해, gold(III) chloride trihydrate와 hydroxylamine hydrochloride 조합에 의한 금 나노입자의 사이즈 확대반응을 수행하였다. SAW 센서는 수용액 중에서 시안화이온에 대한 검출 능력이 17.7 uM이었으며, 공진주파수 변화량은 시안화이온의 농도가 커지면서 포화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한편, 제작된 SAW 센서는 시안화이온 이외의 플루오라이드(fluoride), 아세테이트(acetate), 그리고 설페이트(sulfate) 이온 등의 다른 음이온에는 전혀 반응성이 없었으며, 다른 음이온에 의한 간섭현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모든 실험은 재현성 있는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서 자체 제작한 유체제어 모듈과 센서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Tobermolite를 이용한 폐수내 인산염제거 (Phosphate Removal in Wastewater by Tobermolite)

  • 임봉수;김대현;이태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51-759
    • /
    • 2013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get the basic design parameters for phospate removal facilites from wastewater by Tobermolite. The phosphate removal by the apatite formation on the surface was affected by several important factors, temperature, ions present in wastewater stream, contact time, recirculation rate, and etc. In case of the temperature,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the apatite formation was accelerated. When temperature increased from $15^{\circ}C$ to $35^{\circ}C$, removal efficiency of phosphate increased from 83 % to 93 %. An increase of calcium and fluoride ion content increase the apatite formation, however, bicarbonate and magnesium ion inhibited the crystallization of apatite. As expected, when the recirculation rate was increased from 1 Q to 3 Q, at EBCT (Empty Bed Contact Time) 60min enhanced removal efficiency was observed. The more the recirculation rate increased, the more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lumn experiment using an actual wastewater with low and high phosphate concentration (5 mg/L and 50 mg/L-P), the removal efficiency was 77 % at EBCT of 45 min, and 80 % at 60 min. It was suggested that optimum EBCT was 45 min.

La(III) Selective Membrane Sensor Based on a New N-N Schiff's Base

  • Ganjali, Mohammad Reza;Matloobi, Parisa;Ghorbani, Maryam;Norouzi, Parviz;Salavati-Niasari, Masoud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38-42
    • /
    • 2005
  • Bis(2-methylbenzaldehyde)butane-2,3-dihydrazone(TDSB) was used as new N-N Schiff's base which plays the role of an excellent ion carrier in the construction of a La(III) membrane sensor. The best performance was obtained with a membrane containing, 30% poly(vinyl chloride), 60% benzyl acetate, 6% TDSB and 4% sodium tetraphenyl borate. This sensor reveals a very good selectivity towards La(III) ions over a wide variety of cations, including alkali, alkaline earth, transition and heavy metal ions. The proposed electrode exhibits a Nernstian behavior (with slope of 19.8 mV per decade) over a wide concentration range (1.0 ${\times}$ 10$^{-5}$-1.0 ${\times}$ 10$^{-1}$ M). The detection limit of the sensor is 7.0 ${\times}$ 10$^{-6}$ M. It has a very short response time, in the whole concentration range ($\sim$5 s), and can be used for at least twelve weeks in the pH range of 3.0-9.4. The proposed sensor was successfully applied as an indicator electrode for the potentiometric titration of a La(III) solution, with EDTA. It was also successfully applied in the determination of fluoride ions in three mouth wash preparations.

PEMFC 고분자 막의 전기화학적 가속 열화에 미치는 평가조건들의 영향 (Effect of Evaluation Conditions on Electrochemical Accelerated Degradation of PEMFC Polymer Membrane)

  • 오소형;유동근;배석주;채선규;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356-361
    • /
    • 2023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내구성 향상을 위해서 고분자 막의 내구성을 짧은 시간에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고분자 막의 화학적 가속 내구 평가 시험 조건은 고전압, 고온, 저가습, 고가스압이다. 이들 조건들을 변화시키며 프로토콜을 개발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시험 조건이 고분자 막을 열화시키는데 상대적으로 얼마나 많은 영향을 주는지 연구되지 않았다. 고분자 막 화학적 가속 열화 실험에서 4가지 인자(조건)들의 영향력을 요인실험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가속 열화 후 고분자 막 열화 정도는 수소투과도와 불소 이온 유출 농도 측정으로 알 수 있었고, 불소 이온 농도 차이에 의해 8 조건의 고분자 막 열화 순위를 결정할 수 있었다. 고분자 막 열화 인자의 영향력은 전압> 온도 > 산소압 > 습도 순임을 보였다. 고분자 막 화학적 열화에 전극 촉매 열화가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다.

망간침출액에서 불화칼슘화에 의한 高純度 망간酸化物의 製造 (Production of High purity $Mn_3O_4$Powder by Precipitation of Calcium fluoride in the Manganese Leaching Solution)

  • 한기천;이계승;최재석;신강호;조동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1호
    • /
    • pp.3-8
    • /
    • 2002
  • 고탄소페로망간을 중저탄소페로망간으로 제조하는 AOD공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약 90%가 $Mn_3$$O_4$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soft ferrite의 원료인 고순도 $Mn_3$$O_4$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침출한 액의 Mn을 더욱 정제하여야 한다. 분진을 활성탄으로 배소하여 MnO로 환원시키고, 상온의 4N 염산수용액에 180g/L의 환원된 분진을 첨가하면 용액의 pH가 5이상이 되고 Fe와 Si가 침전으로 제거된 약 10%의 망간침출액이 얻어진다. Mn의 농도가 약 15000 ppm이 되도록 희석한 $70^{\circ}C$의 침출액에 F의 농도가 3000ppm이 되도록 $NH_4$F를 첨가하면 Ca가 침전하여 약14 ppm이하로 제거된다. Ca를 침전시킨 상징액에(NH$ 1.5M_4$)$_2$$CO_3$수용액을 2L/min으로 Mn의 당량만큼 첨가하면 미립의 고순도 $MnCO_3$가 침전한다. 침전을 여과하고 건조한 후에 $1000^{\circ}C$에서 2 시간 소성하면 median size가 $8.2mu$m인$ Mn_3$O$_4$를 얻을 수 있다. 제조된 산물은 99%이상의 순도로 soft ferrite용 Mn$O_3$$_4$분말의 규격을 만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