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escent Protein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26초

피브로인 H-chain 재조합 단백질 발현시스템을 이용한 녹색형광실크 생산 (Production of fluorescent green silk using fibroin H-chain expression system)

  • 김성완;윤은영;최광호;김성렬;박승원;강석우;구태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3-15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누에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하여 녹색형광실크를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실험에서는 피브로인 H-chain의 N-말단과 C-말단을 이용하여 피브로인 재조합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제작하였고, 종결코돈이 없는 EGFP 유전자를 위의 발현 시스템에 클로닝하여 녹색형광실크를 제작하였다. 누에형질전환체 선발을 위해서는 3xP3 promoter와 DsRed2를 이용하여 선발하였고, 1200 개의 누에알에 microinjection 하여 F1 세대에서 8 bloods의 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누에형질전환체는 초기배 단계의 눈과 신경조직, 유충과 번데기 그리고 성충의 눈에서 DsRed2 형광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실크의 피브로인에서 EGFP 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F2세대의 누에형질전환체 중에서 5령 3일 유충을 해부하여 견사선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중부와 후부 견사선에서 형광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F2 세대의 고치와 저온에서 정련한 실크에서도 녹색형광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고, Western blot 분석에서도 EGFP 재조합 단백질이 피브로인 H-chain과 융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녹색형광실크를 생산하는 누에형질전환체가 성공적으로 제작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산업소재로서 실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북동태평양(KODOS 해역)의 영양염 및 형광 유기물에 관한 환경특성 연구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and Fluorescent Organic Hatters in the Northeast Pacific Ocean(KODOS))

  • 손승규;박용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595-604
    • /
    • 1997
  •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biogeochemical environment of the Korea Deep Ocean Study(KODOSI area in the northeast Pacific Ocean, we preferentially measured Inorganic nutrients and fluorescent organic matters. Typically. the permanent thermocline was well developed at the depth of 200~1000m In the study area.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were low In the surface mixed layer and Increased with depth. N/P and N/Si showed 15 and 0.2 respectively In the deeper layer. Two fluorophores, biomacromolecule(protein-like) and geomacromolecule (humid-like) , were observed by three dimensional fluorescence excltatlon/ emission spectra matrix. Biomacromolecule(maximum fluorescence at $Ex_{280m}/Em_{330nm}$) ranged from 41.9 to 147.0 TU with its maximum In the surface mixed layer and minimum in deeper water, This is a same trend that has been reported for DOC in the equatorial Pacific. This suggests that biomacromolecule might be labile and converted to refractory humic substance after bacterial degradation In the deeper layer. On the contrary, geomacromolecule(maximum fluorescence at $Ex_{330m}/Em_{430m}$), ranged from 7.6 to 46.5 QSU, showed minimum in the surface nixed layer(euphotic zone) Implying photodegradation and then increased with depth at all stations. In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profiles, the relationship between biomacromolecule and geomacromolecul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Such trend can be attributed to biochemical regeneration or formation of fluorescent materials accompanying oxidation and rennnerallzation of settling organic matter.

  • PDF

형광펩타이드를 이용한 Oligosaccharyltransferase Assay 방법 연구 (Comparison of Oligosaccharyltransferase Assay Methods Using a Fluorescent Peptide)

  • 김성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6-103
    • /
    • 2010
  • 단백질의 N-글리코실화는 대표적인 번역 후 변형 중의 하나로 진핵생물 뿐 아니라 원핵생물에서도 발견된다. N-글리코실화는 단백질 상의 N-글리코실 서열인 N-x-S/T 위치에 지질과 연결된 올리고당(lipid-linked oligosaccharide, LLO)으로부터 올리고당 전이효소(oligosaccharyltransferase, OTase) 활성에 의해 글리칸(glycan)이 전달되어 당단백질의 합성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OTase의 세포내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5/6-carboxyltetramethylrhodamine (TAMRA)이 도입된 형광펩타이드 TAMRA-DA$\underline{N}$Y$\underline{T}$K-$NH_2$를 이용하였다. OTase활성 측정은 단일 서브유닛으로 효소의 활성을 갖는 운동핵 편모충류인 Leishmania major Stt3p와 병원성 미생물인 Campylobacter jejuni PglB를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의 모델 효소로 각각 사용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와 C. jejuni 유래 LLO와 형광 펩타이드를 반응시켜 당-펩타이드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당-펩타이드를 미반응한 형광펩타이드와 분리 및 당-펩타이드의 정량 분석을 위하여 Tricine SDS-PAGE, ConA 렉틴 컬럼 및 fluorospectrophotometer, HPLC를 사용하였으며, 당-펩타이드 분석을 통해 각 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Tricine SDS-PAGE를 이용한 형광 이미지 분석과, 렉틴 컬럼을 통해 분리된 당-펩타이드의 fluorospectrophotometer 정량법에 비해, HPLC를 이용한 방법이 OTase에 의해 생성된 당-펩타이드를 분석하는데 더 정확하고 정량적인 값을 제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Respons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to Ethanol Stress Involves Actions of Protein Asr1p

  • Ding, Junmei;Huang, Xiaowei;Zhao, Na;Gao, Feng;Lu, Qian;Zhang, Ke-Q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2호
    • /
    • pp.1630-1636
    • /
    • 2010
  •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yeast cells must rapidly respond to a wide variety of external stresses in order to survive the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including ethanol stress. The accumulation of ethanol can severely inhibit cell growth activity and productivity. Thus, the response to changing ethanol concentratio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ess reactions in S. cerevisiae and worthy of thorough investig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thanol tolerance in S. cerevisiae and a unique protein called alcohol sensitive RING/PHD finger 1 protein (Asr1p). A real-time PCR showed that upon exposure to 8% ethanol, the expression of Asr1 was continuously enhanced, reaching a peak 2 h after stimulation. This result was confirmed by monitoring the fluorescence levels using a strain with a green fluorescent protein tagged to the C-terminal of Asr1p. The fluorescent microscopy also revealed a change in the subcellular localization before and after stimulation. Furthermore, the disruption of the Asr1 gene resulted in hypersensitivity on the medium containing ethanol, when compared with the wild-type strain. Thus, when taken together,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Asr1 is involved in the response to ethanol stress in the yeast S. cerevisi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