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3초

음식물류 폐기물의 혐기성 수소 발효 시 열처리에 따른 성능 및 미생물 특성 평가 (Performance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Bio-hydrogen Production from Food Waste with Thermal Pre-treatment)

  • 이채영;최재민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1-1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rmal pre-treatment on bio-hydrogen from food waste. Two continuous reactors operated and VFAs(volatile fatty acids) production and microbial communities were analyzed. The average hydrogen yield was 0.50 and 0.33mol $H_2/mol$ $hexose_{added}$ in thermally treated food added reactor(R1) and control(R2), respectively. Butyrate concentration was similarly 7,500mg/L in both reactors, but two times higher lactate concentration was observed in R2(3,800mg/L). The results of 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showed that the relative microorganism to hydrogen producing bacteria was 78 and 27% in R1 and R2, respectively.

Karyotype Analyses of a Rice Cultivar 'Nakdong' and its Four Genetically Modified Events by Conventional Staining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 Jeon, Eun Jin;Ryu, Kwang Bok;Kim, Hyun Hee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52-259
    • /
    • 2011
  • Conventional staining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karyotypes of the non-genetically modified (GM) parental rice line, 'Nakdong' (Oryza sativa L. japonica), and its four GM rice lines, LS28 (event LS30-32-20-1), Cry1Ac1 (event C7-1-9-1), and LS28 ${\times}$ Cry1Ac1 (events L/C1-1-3-1 and L/C1-3-1-1) were analyzed using 5S and 45S rDNAs as probes. Both parental and transgenic lines were diploids (2n=24) with one satellite chromosome pair. The lengths of the prometaphase chromosomes ranged from 1.50 to $6.30{\mu}m$. Four submetacentric and eight metacentric pairs comprised the karyotype of 'Nakdong' and its four GM lines. One pair of 5S rDNA signals was detected near the centromeric region of chromosome g in both the parental and transgenic lines. The 45S rDNA signals were detected on the secondary constrictions of the satellite chromosome pair in both the parental and transgenic lin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romosome size, length, and composition between 'Nakdong' and its four GM lin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study for chromosomal detection of transgenes in GM rice lines and would be useful for their breeding programs.

난배양성 미생물의 기능 분석 방법 (Deciphering Functions of Uncultured Microorganisms)

  • 김정명;송새미;전체옥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9
    • /
    • 2009
  • 미생물 군집 내의 미생물은 순수하게 배양된 미생물과는 다른 생리적 특징을 갖는다. 전통적으로 미생물 연구는 순수배양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져 왔고 실제 생태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미생물들이 난배양성 미생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복잡한 미생물 군집에서 미생물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실질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그러나 stable isotope probing (SIP),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와 microautoradiography (MAR)의 조합, isotope micrarray, 메타게노믹스 등의 새로운 분석방법들은 미생물 군집 내에서 난배양성 미생물의 기능 분석을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방법 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한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FISH기법 적용을 위한 Y 염색체 특이 DNA Probe의 개발

  • 조은정;류란숙;류은경;손시환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24-24
    • /
    • 2003
  •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FISH)는 특정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염색체나 염색체상의 DNA위치를 확인하는 기술로서, 면역세포화학 기술과 결합되어져 현미경으로 이들의 유전적 활성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금까지의 radioisotopes 대신 non-radioactive labeling 방법으로서 fluorescence을 이용한 분자세포유전학적 검정 방법이다. 따라서 특정 염색체의 FISH probe의 개발은 FISH 기법을 이용하여 조직 또는 세포내 특정 염색체나 DNA의 존재나 이상 유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와 사람을 대상으로 Y-염색체 특이 DNA probe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FISH를 시행함으로서 본 probe의 신뢰성을 확인하고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 PDF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Monitoring of Granular Sludge During Start-up of Thermophilic UASB Reactor

  • Ahn, Yeong-Hee;Park, Su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378-384
    • /
    • 2003
  • Mesophilically-grown granular sludge seeded in thermophilic UASB reactor was monitored to better understand the start-up process of the reactor. The reactor was fed with a synthetic wastewater containing glucose. As COD loading rate increased stepwise, methane production rate increased. Maximum values of COD removal efficiency (95%) and methane production rate (5.3 l/day) were achieved by approximately day-80 and remained constant afterward. However,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granules kept changing even after day-80. Specific methanogenic activity (SMA) was initially negligible, and increased continuously until day-153 and remained constant afterward, showing the maximum value of $1.51{\pm}0.13\;g\;CH_4-COD/g$ VSS/day. Deteriorated settling ability of granules recovered the initial value by day-98 and was maintained afterward, as determined by sludge volume index. Initially reduced granule size increased until day-126, reaching a plateau of 1.1 mm. Combined use of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allowed to localize families of Methanosaetaceae and Merhanosarcinaceae in granules with time Quantitative analyses of CLSM images of granule sections showed abundance patterns of the methanogens and numerical dominance of Methanosaeta spp. throughout the start-up period. The trend of SMA agreed well with abundance patterns of the methanogens.

GISH와 FISH를 이용한 양파와 파간 종간교잡계통의 염색체 분석 (Chromosome Analysis Using GISH and FISH of Interspecific Hybrids between Allium cepa L. and A. fistulosum L.)

  • 김철우;이을태;김화영;최인후;방진기;구달회;방재욱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68-47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양파와 파간 종간교잡 F1의 불임성의 한 요인으로 여겨지는 염색체 이상과 교잡식물체의 염색체의 조성을 밝혀 향후 종간교잡을 이용한 양파의 형질개량과정에 종간교잡 육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종간교잡식물체의 감수분열 염색체를 관찰한 결과 중기에 7쌍의 2가염색체와 2개의 1가염색체가 관찰되었다. 체세포 염색체수는 16개로 양파, 파의 염색체 수와 같았으며 GISH한 결과 파와 양파의 염색체가 각각 8개씩 확인되었다. 5S, 45S, TSD DNA를 probe로 하여 양파, 파, 종간잡종의 염색체의 signal을 관찰한 결과 5S와 45S rDNA는 는 3종 모두에서 1쌍의 염색체에서 나타났는데 5S의 경우 염색체의 subcentromeric 에서 45S는 부수체 염색체에서 관찰되었다. TSD DNA는 염색체의 telomeric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나 양파의 경우 2쌍은 염색체의 말단부와 중심체 부분에서 signal이 관찰되었고 종간교잡 세포에서도 2쌍이 관찰되어 양파에서 유래된 염색체임이 확인되었다.

Rapid Sex Identification of Chicken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Using a W Chromosome-specific DNA Probe

  • Sohn, S.H.;Lee, C.Y.;Ryu, E.K.;Han, J.Y.;Multani, A.S.;Pathak,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1호
    • /
    • pp.1531-1535
    • /
    • 2002
  • It has been known that the sex of chicken cells can be most accurately identified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However, the presently available FISH has not been widely used for sex identification, because the procedures for cell preparation and FISH itself are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test a rapid FISH procedure for sexing chicken. A FISH probe was simultaneously synthesized and labeled with digoxigenin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argeting a 416 bp segment of the 717 bp XhoI family fragment which is repeated over 10 thousand times exclusively in the W chromosome. Sexing by FISH was performed on cytological preparations of early embryos, adult lymphocytes and feather pulps of newly hatched chicks. The DNA probe hybridized to all types of uncultured interphase as well as metaphase female but not male cells that had been examined. Moreover, consistent with the known site of the XhoI family, the hybridization signal was localized to the pericentromeric region of the W chromosome. We, therefore, conclude that the present PCR-based FISH can be used as a rapid and reliable sex identification procedure for chicken.

Genome-wide Examination of Chromosomal Aberrations in Neuroblastoma SH-SY5Y Cells by Array-based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 Do, Jin Hwan;Kim, In Su;Park, Tae-Kyu;Choi, Dong-Ku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1호
    • /
    • pp.105-112
    • /
    • 2007
  • Most neuroblastoma cells have chromosomal aberrations such as gains, losses, amplifications and deletions of DNA. Conventional approaches lik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or metaphase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CGH) can detect chromosomal aberrations, but their resolution is low. In this study we used array-based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to identify the chromosomal aberrations i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The DNA microarray consisting of 4000 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BAC) clones was able to detect chromosomal regions with aberrations. The SH-SY5Y cells showed chromosomal gains in 1q12~ q44 (Chr1:142188905-246084832), 7 (over the whole chro-mosome), 2p25.3~p16.3 (Chr2:18179-47899074), and 17q 21.32~q25.3 (Chr17:42153031-78607159), while chromosomal losses detected were the distal deletion of 1p36.33 (Chr1:552910-563807), 14q21.1~q21.3 (Chr14:37666271-47282550), and 22q13.1~q13.2 (Chr22:36885764-4190 7123). Except for the gain in 17q21 and the loss in 1p36, the other regions of gain or loss in SH-SY5Y cells were newly identified.

막/생물반응기에서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한 질산화 미생물 분포특성 및 질소제거 연구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Distribution of Nitrifiers and Nitrogen Removal in Membrane Bioreactor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 임경조;김선희;김동진;차기철;유익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57-264
    • /
    • 2006
  • 침지형 막/생물반응기에 암모니움 합성폐수를 공급하여 약 350일 동안 운전하면서 질산화 특성 및 미생물의 분포 변화를 살펴보았다. 원수의 암모니움 농도는 500-1000 $mgNH_4-N/L$, 질소 부하는 $1-2\;kgN/m^3{\cdot}d$로 공급하였고, 용존산소(DO)농도, 슬러지 체류시간(SRT), 온도 변화에 따른 질산화 효율, 아질산성 질소의 비율, 슬러지 농도, sludge volume index(SVI)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DO 농도, 온도, SRT 증가에 따라 암모니움 산화율은 증가하였으며, 이와 같은 암모니움 산화율의 감소로 MBR 내에서 free ammonia($NH_3-N$)농도가 증가할 경우 처리수에서 아질산성 질소의 비율이 높아졌다. 운전 기간 중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질산화 효율의 급격한 감소가 관찰되었는데, 이때 슬러지 벌킹 및 SVI 값의 증가가 동시에 수반되었다. 운전 후반부에 질산화균이 우점된 MBR에 추가로 유기물을 공급하면, SVI 값이 2배로 증가하였고 암모니움 산화율은 감소하였다. FISH 분석에서 나타난 MBR내의 미생물 분포는 암모니아 산화균의 경우 Nitrosomonas가 우점하였으나 운전 후반부로 갈수록 Nitrosospira의 비율이 Nitrosomonas와 비슷할 정도로 증가하였다. 아질산 산화균은 Nitrospira가 우점하였지만 Nitrobacter 역시 운전기간 내내 관찰되었는데, 이는 MBR 내에서 높게 유지된 아질산성 질소가 Nitrobacter의 성장에 도움을 준 것으로 보인다.

방사선에 의한 염색체이상과 DNA 함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DNA content of human chromosome and their contribution to radiation-induced chromosome aberration analysed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FISH))

  • 정해원;김수영;하성환;김태환;조철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01-111
    • /
    • 2001
  • 본 연구는 염색체 1, 2, 4, 7, 8, 9 및 21번 염색체의 DNA probe를 이용하여 2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DNA 양을 감안한 기대치와 관찰치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서 각 염색체의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을 평가하여 궁극적으로 방사선 피폭시 생물학적 선량계로서 FISH기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1번 및 4번 염색체의 경우 상호전좌와 이동원 염색체의 관찰치가 기대치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2, 7, 8 및 9번 염색체의 경우 상호전좌와 이동원염색체의 관찰치 모두 기대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2번 및 4번 염색체의 경우 1번 염색체보다 더 많은 acentric fragment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1, 2, 및 4번 염색체 3종을 조합했을 때 상호전좌의 경우 관찰치와 기대치는 세포 100개당 25.5 및 25.40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이동원염색체의 경우 13.25 및 13.2로 역시 거의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방사선 피폭시 발생하는 염색체이상 빈도는 염색체마다 DNA 양에 비례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어 각 염색체마다 방사선 감수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방사선 피폭시 생물학적 선량계로서 1, 2 및 4번을 동시에 관찰 할 경우 염색체 FISH 법을 활용하기 위하여 적절한 염색체 조합이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