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escence Lamp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대형 LCD 백라이트용 대출력 인버터 설계 (Design of the backlight inverter for high output)

  • 한재현;임영철;양승학;권기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83-186
    • /
    • 2001
  • 평판 디스플레이의 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그 응용 분야가 다양해지고 평판 모니터용 LCD도 대형화추세를 보이고 있다. LCD는 광변조기능을 가지는 수광소자로서 발광원인 백라이트(backlight)를 필요로 하는데 백라이팅 기술은 냉음극방전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ce Lamp)를 광원으로 사용하며 사용되는 냉음극 방전램프 또한 모니터의 추세에 따라 길어지고 얇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인치의 대형 LCD 모니터의 백라이팅 즉 램프구동을 위한 안정적이면서 대출력을 가지는 인버터를 설계하였다. 일반적으로 CCFL은 같은 제조공정을 거치더라도 점등, 주파수, 전압, 전류 등 여러 가지 특성이 동일하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초기 점등조건이나 점등후에 동일한 휘도를 가지는데 어려움을 준다. 본 연구에 사용된 20인치 LCD 모니터는 내부에 상하 각각 3개씩 6개의 램프를 내장하고 있으며, 제작된 인버터는 입출력 휘도대비 90%의 효율을 얻었으며, 램프간의 출력전류차가 2%로 미소하고, 최대 8개의 램프구동도 가능하다.

  • PDF

PpIX 형광영상을 이용한 피부 기저세포암 자동검출 (Automatic Skin Basal Cell Carcinoma Detection Using Protophorphyrin IX((PpIX) Fluorescence Image)

  • 유홍연;전도영;김민성;홍성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1호
    • /
    • pp.47-54
    • /
    • 2008
  • 본 논문은 PpIX 유도물질인 포르피린 혼합제 methyl 5-aminolaevulinate(MAL)를 환자의 피부 종양부위에 도포하고, 우드램프를 이용하여 획득한 PpIX 형광영상으로부터 기저세포암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형광영상의 밝기값 특징을 분석하여 육안으로 확인이 가한 암이 존재하는 영역, 암이 존재할 수 있는 의심영역 및 암이 없는 정상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암이 존재하는 영역을 포함한 의심영역에 대해 국부적 워터쉐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접화소와 유사한 값을 가지는 소규모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국부적 워터쉐드 알고리즘으로 분할된 소규모 영역들의 평균 밝기값 차이를 병합기준 척도로 사용하는 계층적 큐 기반의 고속 영역병합을 수행하여 정확한 기저세포암을 추출한다. 10명의 기저세포암 환자에게 제안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검출한 암영역에 대해 50개의 조직 샘플을 획득하고, 피부과 전문의가 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했다.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94.1%의 민감도와 82.6%의 정확도로 신뢰성 있는 추출결과를 제공한다.

냉습적(冷濕積)에 따른 은행나무종자내(種子內) 생장조정물질(生長調整物質)의 변화(變化) (Alteration of Endogenous Growth Substances in Cold-moist Stratified Seeds of Ginkgo biloba L.)

  • 이경재;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2
    • /
    • 1978
  • 휴면기간(休眠期間)이 긴 은행나무 종자(種子)의 냉습적처리(冷濕積處理)에 따른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과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의 증감(增減)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本)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하고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처리종자(無處理種子)는 배(胚), 배유(胚乳), 종피(種皮)의 각추출물(各抽出物)에서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을 볼 수 있었으며, 특(特)히 종피(種皮)에서 가장 현저(顯著)하게 나타났다. 2. 냉습적처리종자(冷濕積處理種子)의 배(胚)와 종피(種皮)에서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의 현저(顯著)한 감소(減少)가 있었으나,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은 배부분(胚部分)에서 증가(增加)가 약간 나타났다. 3.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은행나무 종자(種子)의 휴면(休眠)에는 종피(種皮), 배(胚), 배유(胚乳)의 각부분(各部分)이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이 존재(存在)하며 발아(發芽)에 관계하는 것으로 추측(推測)된다. 4. 은행나무 종자(種子)와 발아촉진(發芽促進)과의 관계는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의 증가(增加)보다는, 배(胚)와 종피(種皮)의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의 감소(減少)에 영향된다고 추측(推測)된다. 5. 생장촉진물질(生長促進物質)인 Gibberellin은 자외선형광검사등검정(紫外線螢光檢査燈檢定)에서 Rf 0.26, 에서 나타났고,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인 Abscisic acid는 Rf 0.62, Rf 0.70, Rf 0.78에서 각각(各各) purple, gray, blue의 형광색(螢光色)으로 나타났다.

  • PDF

실리카 나노 입자의 크기에 따른 청색 형광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lue Fluorescence Characteristics of Silica Nanoparticle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 윤지희;김기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6
    • /
    • 2019
  • 유기 염료가 도핑 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바이오 라벨링, 바이오 이미징 및 바이오 센싱에 사용되고 있는 유망한 나노소재이다. 일반적으로 형광 실리카 나노입자는 수정된 스토버 방법($St{\ddot{o}}ber$ Method)으로 합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염료가 첨가되지 않은 형광 실리카 나노입자를 수정된 스토버 합성법인 졸겔 공정으로 합성하였다. 졸겔 공정 중에 기능성 물질인 APTES를 첨가제로 첨가하였다. 졸겔 공정으로 합성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400^{\circ}C$에서 2시간 동안 하소되었다. 합성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표면형상과 크기를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고, 합성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형광 특성은 파장 365 nm의 자외선 램프를 조사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합성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광발광 (PL) 특성을 형광 분석 형광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합성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입자의 크기와 무관하게 모두 청색 형광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리카 나노입자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PL 강도는 감소하였다. 염료가 첨가되지 않은 실리카 나노입자의 청색 형광 특성은 APTES 층의 $NH_2$ 기능기와 실리카 매트릭스 뼈대 내부의 산소관련 결함과의 결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Rhodamine 560을 이용한 rhodamine 6G 색소 레이저의 출력 증가 (Output Enhancement of Rhodamine 6G Dye Laser by Rhodamine 560 Energy Transfer Dye)

  • 장원권;이민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66-271
    • /
    • 1994
  • 형광 스펙트럼이 Rhodamine 6G의 흡수 스펙트럼과 일치하는 Rhodamine 560을 첨가 색소로 하여 Rhodamine 6G 색소 레이저의 에너지 전달에 의한 출력 증가를 조사하였다. 펌핑 광원으로 펄스형의 경우 아르곤 기체를 주입한 동축 섬광관을 실험실에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연속형은 아르곤 레이저를 이용하였다. 펄스형의 경우 주색소인 Rhodamine 6G의 종도가 $1\times10^{-4}mol/l$일 때 첨가 색소인 Rhodamine 560의 농도가 Rhodamine 6G농도의 1% 정도에서 에너지 전달효율이 가장 높았다. 연속형의 경우는 Rhodamine 6G의 종도가 $2\times10^{-3}mol/l$ 일 때 Rhodamine 560의 농도가 Rhodamine 6G 농도의 2.5%에서 에너지 전달효율이 가장 높았다. 아르곤 레이저의 multiline발진에 의한 출력이 3.6W일 때 18% 정도 출력이 증가하였으며 488nm와 514.5nm의 단색광으로 펌핑할 경우 아르곤 레이저의 최대 출력이 1.6W일 때 각각 72%와 88%의 출력 증가율을 보였다.

  • PDF

Evaluation of a Visible Implant Fluorescent Elastomer Tag in the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 Park, In-Seok;Kim, Young Ju;Gil, Hyun Woo;Kim, Do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35-39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visible implant fluorescent elastomer (VIE) tagging in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The experiental fish were anesthetized individually and marked with orange, yellow, red, and green elastomer at the following five body locations, respectively: the adipose eyelid, the surface of the dorsal fin base, the inside surface of the pectoral fin base, the inside surface of the pelvic fin base, and the surface of the anal fin base. Control fish were anesthetized but not marked. During the 20-month trial, fish growth and retention, underwater visibility, and readability of the tags were determined. After 20 months, body length of marked greenling ($43.2{\pm}3.5cm$, mean ${\pm}$ standard deviation [SD]) did not differ from that of the control ($41.4{\pm}3.7cm$). Additionally, the body weight of marked greenling ($527.4{\pm}39.8g$, mean ${\pm}$ SD) did not differ from that of the controls ($505.9{\pm}31.7g$). Greenling retained >90% of the tags at the surface of the dorsal fin base. The anal fin base showed a higher tag retention rate than the inside surfaces of the pectoral fin and the pelvic fin bases (P < 0.05). Red and orange tags were identified more easily underwater than green and yellow tags. Green and yellow tags emitted fluorescence in response to a narrower range of light wavelengths. Thus, the VIE mark was easy to apply to greenling (< 1 min per fish) and was readily visible when viewed under an ultraviolet lamp.

녹색 발광의 $CaZrO_3:\;HO_{3+}$ 축광성 형광체의 합성 및 발광 특성 (Synthesis and luminescent properties of a new green $CaZrO_3:\;HO_{3+}$ long persistent phosphors)

  • 박병석;최종건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09-114
    • /
    • 2008
  • 새로운 녹색의 $CaZrO_3$ : $HO_{3+}$ 축광성 형광체를 고온의 약한 환원 분위기에서 전통적인 고상 반응법으로 합성하였다. $CaZrO_3$ : $HO_{3+}$ 축광성 형광체에 첨가 된 융제 $H_3BO_3$의 역할과 부활제의 적정농도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합성한 축광성 형광체의 형광 분석 및 광 발광 분석을 행하였다. 고온의 질소 분위기에서 합성한 $CaZrO_3$ : $HO_{3+}$ 축광성 형광체는 546nm의 발광 피크가 나타남을 확인 하였으며, 장잔광 스펙트럼 또한 폭이 좁은 546 nm의 발광 피크가 나타남에 따라 순수한 녹색의 발광색을 띄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녹색의 $CaZrO_3$ : $HO_{3+}$ 축광성 형광체의 발광 지속시간은 254 nm UV lamp로 여기 시킨 후 어두운 곳에서 5시간 이상 발광이 유지되었다. 발광 피크는 $HO_{3+}$ 이온의 $^5F_4$, $^5S_2{\to}^5I_3$ 전이에 의한 것이며, 잔광 특성은 $CaZrO_3$ 격자 내에 trap center가 생성됨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LED 혼합광이 표고 '농진고' 자실체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LED light sources on the fruiting body growth of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Nongjingo')

  • 박윤진;오태석;조용구;김창호;김태권;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9-263
    • /
    • 2017
  • 표고 '농진고'를 LED 혼합광에 따른 갓의 색차 및 경도차를 확인한 결과 갓의 명도값은 형광등 처리구 대비 LED혼합광 처리구 모두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적색도는 형광등 처리구에 비해 처리구 모두 높아졌고, 황색도는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광원별 자실체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형광등 대조구 대비 처리구 모두에서 갓직경이 컸으며, 자실체들에 대한 균일도는 형광등 처리구 대비 LED를 사용하였을 경우 낮은 값을 나타내어 형광등을 처리하는 것보다 균일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직경은 처리구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White Green LED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대길이는 형광등 처리구보다 LED처리구 모두에서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갓직경과 대길이의 비를 조사한 결과 White Green LED을 제외한 White LED와 White Blue LED에서 형광등 처리구 대비 높은 값을 나타내어 대길이에 비해 갓의 직경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실체 물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한 결과 형광등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LED 처리는 White LED처리에서 가장 큰 항산화능을 확인하였고 White Green LED, White Blue LED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LED처리는 Vitamin C 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White LED와 White Blue 처리가 표고버섯 자실체의 생육 및 항산화능에 영향을 미치는 광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원의 종류, 주기와 세기의 변화에 따른 '신홍쌈' 배추 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Variation of glucosinolate contents of 'Sinhongssam' grown under various light sources, periods, and light intensities)

  • 이건령;김영진;천진혁;이민기;류동기;박수형;정선옥;박상언;임용표;김선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2호
    • /
    • pp.125-133
    • /
    • 2014
  • The variation of glucosinolates (GSLs) in Chinese cabbage ('Sinhongssam') (Brassica rapa L. spp. pekinensis) cultivated under lights to control plant growth conditions was evaluated at different development stage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in plant factory system, plant growth conditions including light, temperature, and nutrients were designed to enhance GSLs. The variation of glucosinolates (GSLs) in Chinese cabbage ('Sinhongssam') (Brassica rapa L. spp. pekinensis) cultivated under lights to control plant growth conditions was evaluated at different development stage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in plant factory system, plant growth conditions including light, temperature, and nutrients were designed to enhance GSLs. The contents of GSLs were quantified in Chinese cabbage according to different light sources (Red+White, RW; Red+Blue+White, RBW, Fluorescence lamp, FL) at development stages (28, 42, and 56 days after sowing, DAS) using HPLC. Nine GSLs including five aliphatic (progoitrin, sinigrin, glucoalyssin, gluconapin, and glucobrassicanapin) three indolyl (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and neoglucobrassicin), and one aromatic (gluconasturtiin) GSLs were identified based on peak retention time in previous results of our laboratory. GSL contents were higher in RBW (36.55) and lower in FL ($15.24{\mu}mol/g/\;DW$). Results revealed that GSL contents were higher under controlled photoperiods (20/4 h) ($58.35{\mu}mol/g\;DW$) and controlled light intensity ($160{\mu}mol/m^2/s$) ($34.02{\mu}mol/g\;DW$), respectively. Lower amount of progoitrin and comparatively higher amount of glucobrassicin and gluconasturtiin was noted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under FL light (2.38, 9.82, and 2.10) at 42 DAS, photoperiod 20/4 h (3.16, 2.52, and 1.30) at 28 DAS, and light intensity at $130{\mu}mol/m^2/s$ (2.28, 2.24, and $1.51{\mu}mol/g\;DW$) at 42 DAS. Therefore FL light, photoperiod (20/4 h), and light intensity ($130{\mu}mol/m^2/s$) were considered as most suitable for the enhancement of GSLs in Chinese cabbage.

완전제어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광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의 생육과 기능성물질 함량 (Growth and Phytochemical Contents of Ice Plant as Affected by Light Quality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김영진;김혜민;황승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78-885
    • /
    • 2016
  • 본 연구는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아이스플랜트의 생육과 기능성물질에 따른 광질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아이스플랜트 종자를 128구 플러그 트레이에 암면을 이용하여 파종하였고, 묘는 밀폐형 식물생산시스템에서 담액식 수경재배를 이용하여 정식하고 재배하였다(EC $1.5dS{\cdot}m^{-1}$, pH 6.5). 정식 후 2주째부터 아이스플랜트의 블러더 세포 발달을 위해 2mM의 염화나트륨(NaCl)을 첨가하여 공급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다른 광질을 가진 세 개의 인공광원으로는 형광등과 RW LED, RBW LED를 사용하였다. 이때 광주기는 14/10(명기/암기), 광도는 $150{\mu}mol{\cdot}m^{-2}{\cdot}s^{-1}$ PPFD로 설정했다. 결과적으로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형광등 처리에서 아이스플랜트의 생육 증진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SPAD 값은 형광등과 RBW LED 처리에서 각각 29.8과 30.6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염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엽록소 형광은 형광등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총페놀함량과 항산화능은 RBW LED 처리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형광등과 RBW LED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본 결과는 형광등 처리에서 아이스 플랜트의 생육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능성물질은R BW LED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