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ent 모형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8초

연속 뜸의 열 자극에 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Study on the Thermal Stimulation of Continuous Moxibustion)

  • 양소라;강호영;전병진;최형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9호
    • /
    • pp.915-9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연속 뜸의 열자극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복합대류 열전달 간이 모형을 만들어 ANSYS-FLUENT 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연속 뜸의 주기가 열자극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여러 장의 뜸을 다양한 주기로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뜸의 장수가 증가할수록 유효자극영역의 깊이가 증가하기 위해서는 교체온도가 체온과 같거나 체온보다 커야 함을 확인하였고, 뜸의 적용 수가 증가함에 따른 유효자극 영역 깊이의 증가율은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유효자극의 지속시간이 최대가 되는 연속 뜸의 최적의 교체 주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풍력발전용 모형터빈에 관한 기초적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Wind Turbine Model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 김정환;남청도;김윤해;이영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D
    • /
    • pp.1014-1019
    • /
    • 2001
  • A numer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irfoil on the optimum flap height using NACA 00XX and 44XX airfoils. The six flaps which have 0.5% chord height difference were selected. A Navier-Stokes code, FLUENT, was used to calculate the flow field of the airfoil. The code was first tested as a benchmark by modelling flow around a NACA 4412 airfoil. Predictions of local pressure coefficients a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result. For every NACA 00XX and 44XX airfoil, flap heights ranging from 0.0% to 2.5% chord were changed by 0.5% chord interval and their effects were also studied. Representative results from each case are presented graphically and discussed. It is concluded that this initial approach gives an ide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wind turbine optimum design.

  • PDF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콘크리트와 부착된 FRP 판의 부착강도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Bond Strength Model for FRP Plates Using Back-Propagation Algorithm)

  • 박도경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33-144
    • /
    • 2006
  • FRP 판은 외부 부착된 보강 판의 효과적인 부착강도의 증진으로 실질적으로 부착강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선행연구자들은 이러한 부착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여 실험을 통하여 FRP 판의 부착강도를 규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부착강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은 장비구축의 비용과 시간 소비가 많이 되고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국한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자들의 부착실험 데이터를 다양한 신경망 모형과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의 인공신경망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공신경망 모형의 출력층은 부착강도, 입력층은 FRP 판의 두께, 폭, 부착 길이, 탄성계수, 인장강도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인장강도, 폭을 변수로 선정하여 학습을 수행하였다. 개발된 인공신경망 모형은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였으며, 오차는 0.001범위에 수렴되도록 학습을 하였다. 또한, 일반화 과정은 Bayesian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보다 일반화된 방법으로 과대적합의 문제를 해소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은 학습에 이용되지 않은 다른 선행연구자들의 부착강도 결과 값과 비교함으로서 실시하였다.

LNG 운반선에 대한 수치해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Elements Giving Effects on the Numerical Analysis for the LNG Carrier)

  • 김희택;김형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656-666
    • /
    • 2006
  • Numerical analysis using the FLUENT is performed for the 138K LNG carrier of the MOERI. In this study, results according to the number and also the type of the grid, different turbulent models, variations of y+ are compared with experiments and computational results from the WAVIS. RSM model gives good result in comparison with other models, and the more the number of grid increase, the better the resistance converges to the constant value. Addition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resistance and wake distributions vary with the change of y+, and O-O type grid yields better wake distributions than that of O-H type. Average velocity distributions and velocity profiles are mainly in accord with experiments and computational results of the WAVIS, however, present results in the region of transom and tip of leading edge of the rudder are poor for the lower velocity components comparing with that of the WAVIS.

Reynolds 수가 다른 컨테이너선 모형 주위의 유동 계산 (Calculation of Flows around Container Ship Models with Different Reynolds Numbers)

  • 김병남;박종환;김우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4권3호
    • /
    • pp.258-266
    • /
    • 2007
  • CFD calculations are performed for KRISO 3600TEU container ship(KCS) models with different Reynolds numbers. Numerical calculations of the turbulent flows with the free surface around KCS have been carried out at $Re=0.791{\times}106\;and\;Re=1.4{\times}107$ using a standard Fluent package. In both cases, Froude number is fixed with 0.26 and wave elevation is simulated by using the VOF method. The calculated results at $Re=1.4{\times}107\;and\;Re=0.791{\times}106$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 data of KRISO towing tank test and RIMS CWC test, respectively. Boundary layer thickness and wake field shows Reynolds number differences. There are some changes in wave pattern behind transom stern.

다른 축척비를 가진 KLNG 선형주위 유동장 시뮬레이션 (Numerical Simulation of Turbulent Flow around KLNG Hull Form with Different Scale Ratio)

  • 하윤진;이영길;강봉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1권1호
    • /
    • pp.8-15
    • /
    • 2014
  • In this study,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hull form of KLNG are investigated by numerical simulations. The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turbulent flows with the free surface around KLNG have been carried out at Froude number 0.1964 using the FLUENT 6.3 solver with Reynolds stress turbulence model. Several GEOSIM models are adopted to consider the scale effect attendant on Reynolds number. Furthermore, a full scale ship is calculated and the result is compared with the numerical results of GEOSIM models. The calculated results of GEOSIM models and the full scale ship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 data of MOERI towing tank test and Inha university towing tank test. Moreover, wake distribution on the propeller plane of the full scale ship is estimated using the numerical results of GEOSIM models. The prediction result is directly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result in full scale.

원유운반선 프로펠러의 모형 및 실선 축척 반류에서의 공동현상과 실선에서 관측된 공동현상의 비교 (Comparison of Cavitation Patterns between Model Scale Observations using Model and Full-Scale Wakes and Full Scale Observations for a Propeller of Crude Oil Carrier)

  • 최길환;장봉준;허재욱;조대승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8권1호
    • /
    • pp.15-22
    • /
    • 2011
  • In this paper, cavitation patterns of model tes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full-scale measurement for a propeller of crude oil carrier which was suffered from erosions on suction side of blade tip region. Cavitation tests were performed at design and ballast draft using model and full scale nominal wakes. A model ship and wire mesh method was used for the simulation of wake patterns of model nominal wakes. For the prediction of full-scale wake patterns, a RANS solver(Fluent 6.3) was used and wire mesh method was used for the simulation of the full scale wakes.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cavitation patterns using predicted full-scale wake patterns are closer to cavitation patterns of full-scale measurement at ballast draft condition. Also, cloud cavitations were observed on the position of eroded area at both full-scale measurement and cavitation tests using simulated full-scale wake patterns.

CFD를 이용한 모형선과 실선 스케일의 반류 비교 (Wake Comparison between Model and Full Scale Ships Using CFD)

  • 양해욱;김병남;유재훈;김우전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150-162
    • /
    • 2010
  • Assessment of hydrodynamic performance of a ship hull has been focused on a model ship rather than a full-scale ship. In order to design the propeller of a ship, model-scale wake is often extended to full-scale based upon an empirical method or designer's experience, since wake measurement data for a full-scale ship is very rare. Recently modern CFD tools made some success in reproducing wake field of a model ship, which implicates that there are some possibilities of the accurate prediction of full-scale wakes. In this paper firstly the evaluation of model-scale wake obtained by Fluent package was performed. It was found that CFD calculation with the Reynolds-stress model (RSM) provided much better agreement with wake measurement in the towing tank than with the realizable k-$\varepsilon$ model (RKE). In the next full-scale wake was calculated using the same package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model and full-scale wakes. Three hull forms of KLNG, KCS, KVLCC2 having measurement data open for the public, were chosen for the comparison of resistance, form factor, and propeller plane wake between model ships and full-scale ships.

과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맨홀에서의 에너지 손실 저감을 위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Reduction of Energy losses at Surcharged Four-way Combining Square Manhole)

  • 김정수;김채린;윤세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311-324
    • /
    • 2017
  • 과부하 맨홀에서의 에너지 손실은 도심지의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과부하 4방향 합류맨홀에서 에너지 손실의 저감을 위한 흐름특성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황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수리실험 장치를 제작하였으며, 사각형 맨홀 및 연결관은 하수도시설 기준을 준용하여 1/5로 축소 제작하였다. 또한 과부하 4방향 사각형 합류맨홀에서 에너지 손실을 저감 시킬 수 있는 인버트 형상 조건을 도출하기 위하여 Fluent 6.3모형으로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선정된 수리실험 조건인 유출유량($Q_{out}$)에 대한 측면 유입유량($Q_{lar}$)의 비($Q_{lat}/Q_{out}$)와 유출유량(2.0, 3.0, 4.0, 4.8 l/sec) 및 인버트 형상 변화 조건(십자형, 개선형)을 변화시키며 수리실험을 실시하였다. 십자형 인버트는 과부하 4방향 합류 맨홀의 배수능력 향상에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개선된 직사각 개거형 인버트와 정사각 개거형 인버트는 각각 평균적으로 약 7%, 28%의 손실계수가 감소하여 배수능력을 개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도시 관거 시설의 배수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개선형 인버트의 설치 및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격자, 난류모형 및 이산화 방법이 유동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id, Turbulence Modeling and Discretization on the Solution of CFD)

  • 박동우;윤현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19-425
    • /
    • 2014
  • 본 연구는 격자수, 첫 번째 격자까지의 거리($Y_P+$), 난류모델 그리고 이산화 방법에 따른 해의 변화량을 조사하였다. 대상선박은 KVLCC이며, 격자구성과 유동해석은 상용코드인 Gridgen V15와 FLUENT를 사용하였다. 검토는 2가지 파트로 나누어서 수행하였다. 첫 번째 파트는 격자수, 난류모델 그리고 이산화 방법의 조합에 따른 해의 영향성을 평가하였다. 두 번째 파트는 적합한 $Y_P+$ 선정에 초점을 두었다. 격자수와 이산화 방법이 동일한 경우 마찰저항은 난류모델에 따라 약 1 % 내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압력저항은 약 9 %의 큰 차이를 보였다. $Y_P+$와 이산화 방법이 동일한 경우 $Y_P+$를 30과 50으로 설정하였을 때 마찰저항은 난류모델에 따라 약 1 % 내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100에서는 약 3 % 차이를 보였다. 반면, 압력저항은 $Y_P+$값에 무관하게 난류모델에 따라 약 10 % 차이를 보였다. 난류모델과 이산화 방법이 동일한 경우 격자 수 변화 따라 마찰저항, 압력저항 그리고 전 저항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류모델과 이산화 방법이 동일한 경우 $Y_P+$의 변화에 따라 마찰저항은 5~8 %의 큰 차이를 보였고, 압력저항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