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er extract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31초

흰 무궁화 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골 흡수의 억제 효과 (Effects of White Habiscus syriacus L. Flower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Bone Resorption Inhibition)

  • 이희정;이상원;박춘근;안영섭;김진성;방만석;오충훈;김철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0-197
    • /
    • 2015
  • In this study, we tried to offer the possibility of White Hibiscus syriacus L. (WHS) flower extracts as a preventive and improving agent of osteoporosis that bone mass reduction is induced by an decrease of osteoblast involved in bone formation and increase of bone resorption by osteoclast activity. As a results, it was found to have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ain a flavonoid contents ($47.74 mg/g) of the WHS flower. There was cytotoxicity at more than $250{\mu}g/m{\ell}$ concentration of WHS flower extract of RANKL-induced osteoclast in RAW264.7. There were no significant inhibited TRAP activity in the WHS leaf and stem.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it i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activity of osteoclasts in 50 and $100{\mu}g/m{\ell}$ concentration of cells of stability levels of only WHS flower extracts (p < 0.01). The WHS flower prominently inhibited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ctivity by decreased calcitonin receptor and TRAP mRNA (p < 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f osteoclasts differentiation activity is inhibited by protection of oxidative stress due to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HS flower. Therefore, suggesting the WHS flower may be a presents the possibility as a 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s for osteoporosis.

삼칠화(三七花)의 대식세포로부터 LPS에 의해 유도되는 nitric oxide와 전염중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효과 (Flower MeOH Extract of Panax Notoginseng Attenuates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PS-stimulated RA W264.7 Cells)

  • 주예진;정혜미;서운교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0-162
    • /
    • 2009
  • Objectives: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_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and IL-$1{\beta}$ playa critical role in inflammatory immune response. Therefore, intervention of 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promises therapeutic benefit for treatment of many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allergic asthma, rheumatoid arthritis, multiple sclerosis, septic shock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 this study,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the flower MeOH extract Panax notoginseng (Notoginseng Flos; NF) on inflammation were investigated to address potential therapeutic or toxic effects. Methods: RA W264.7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F methanol (NF-M) extract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PS ($1{\mu}g/m{\ell}$). Results: NF-M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 of NO, $PGE_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and IL-$1{\beta}$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NF-M extract suppressed mRNA expressions and protein levels of iNOS,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LPS-stimulated RA W264.7 cell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NF-M extract inhibits LPS-induced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macrophages and demonstrated that NF-M extract possesse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vitro.

  • PDF

발효 인삼꽃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마우스 사이토카인 IL-6, TNF-α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 from Fermented Flower-buds of Panax ginseng C.A. Meyer on Mouse Cytokine IL-6, TNF-α Production)

  • 정수지;김경희;손화영;육홍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3-49
    • /
    • 2014
  • 생체 내 실험에서 발효 인삼꽃 추출물(FM), 발효하지 않은 인삼꽃 추출물(FD)과 대조군으로 생리식염수를 2주간 마우스 체중 kg 당 100, 200 mg/kg B.W.의 농도로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후 LPS에 의해 활성화된 복강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TNF-${\alpha}$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IL-6는 발효 LPS로 자극한 경우, 두 가지 농도에서 모두 처리한 군에 비해 높은 증식능을 나타내었고, LPS로 자극한 결과, 특히 발효 인삼꽃 추출물 200 mg/kg B.W.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IL-6 분비량을 보였다. TNF-${\alpha}$의 경우, 100 mg/kg B.W.와 200 mg/kg B.W. 두 농도 모두에서 LPS로 자극하지 않은 경우, 낮은 증식 효과를 보여주었고, 자극한 경우, 인삼꽃 시료를 첨가한 군이 대조군보다 낮은 TNF-${\alpha}$ 분비량을 보였으며, FM에서 FD보다 더 TNF-${\alpha}$를 억제하는 효과가 큰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FD의 사이토카인 IL-6, TNF-${\alpha}$ 생성 효과는 200 mg/kg B.W. 농도 투여 시 효과적으로 면역 세포와 면역 기관의 주요 기능을 증진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인삼꽃 발효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개발과 더불어 산업적 측면에서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of Oxypaeoniflorin, Paeoniflorin and Paeonia lactiflora cv. 'Red Charm' Flower Petal Extracts in Macrophage Cells

  • Kim, Soo-Ah;Jang, Eun-Seo;Lee, A-Yeon;Lee, Soo-Jung;Kim, June-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3-162
    • /
    • 2020
  • The root extracts of Paeonia lactiflora cv. 'Red Charm' has been studied by many group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its flower petal. Paeonia is the genus in the Paeoniaceae family. 'Red Charm' Paeonia is a soft-stemmed herbaceous peony hybrid of P. officinalis and P. lactiflora. We previously showed the flower petal extract of Red Charm might ha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however, it was not clear which components might be involved in this activity. Bioinformatics analysis previously indicated these extracts have potential anti-oxidant materials. One of them is identified as paeoniflorin, which is major component in root extract of Red Charm. In this study, we compared paeoniflorin and oxypaeoniflorin using DPPH assays to measure its anti-oxidant activities. Oxypaeoniflorin showed higher levels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milar to ascorbic acid control, whereas paeoniflorin did not. Furthermore, nitric oxide assay showed they have similar anti-inflammatory effect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oxypaeoniflorin may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lower petal and root extracts of Red Charm, compared to paeoniflorin. Further studies may be able to provide a platform to develop potential dual effects therapeutics for oxidant-mediated and inflammation-mediated disease in the near future.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BACE1 Inhibitory Compounds from Cirsium maackii Flower

  • Bhatarrai, Grishma;Seong, Su Hui;Jung, Hyun Ah;Choi, Jae Su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326-333
    • /
    • 2019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anti-AD potential of Cirsium maackii flowers. MeOH extract, CH2Cl2, EtOAc, and n-BuOH fraction of this flower notably inhibited BACE1 (IC50 = 76.47 ± 1.66, 22.98 ± 1.45, 8.65 ± 0.63, and 72.47 ± 3.04 ㎍/mL, respectively). β-amyrenone (49.70 mg) (1), lupeol acetate (1.43 g) (2), lupeol (1.22 g) (3), lupenone (23.70 mg) (4), β-sitosterol (1.01 g) (6), and β-sitosterol glucoside (13.00 mg) (7) from CH2Cl2, apigenin (100.20 mg) (8), luteolin (19.00 mg) (9), apigenin 7-O-glucuronide methyl ester (21.30 mg) (14), and tracheloside (53.70 mg) (5) from EtOAc, apigenin 5-O-glucoside (11.00 mg) (10), luteolin 5-O-glucoside (11.00 mg) (11) and apigenin 7-O-glucuronide (91.00 mg) (12) from n-BuOH, and luteolin 7-O-glucuronide (22.00 mg) (13) from H2O fraction were isolated. HPLC showed high levels of 8, 9 and 12 in MeOH extract (33.07 ± 0.07, 31. 44 ± 0.17 and 16.89 ± 0.33 mg/g, respectively), EtOAc (161.01 ± 1.78, 96.93 ± 0.34 and 73.38 ± 0.06 mg/g, respectively), and n-BuOH fraction (32.18 ± 0.33, 44.31 ± 0.32 and 105.94 ± 0.36 mg/g, respectively). Since, 3 and 9 are well-known BACE1 inhibitors, the anti-AD activity of C. maackii flower might be attributable to their presence.

아까시 꽃 추출물을 첨가한 성게 껍질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Sea Urchin Skeleton Film Containing Robinia pseudoacacia Flower Extract)

  • 양현주;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78-7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는 성게 껍질을 이용한 생분해성 필름소재를 개발하고자 gelatin을 첨가한 복합필름 및 항산화,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아까시 꽃 추출물(RFE)을 첨가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gelatin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성게 껍질 필름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였고 신장률이 감소하였으며, 성게 껍질과 gelatin을 8:2 비율로 첨가하였을 때 최적의 물성을 보였다. 또한, 필름에 RFE를 첨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감소하였으나 신장률과 필름 투습도는 증가하였다. RFE 함유 성게 껍질 필름의 ABTS,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과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균 능력을 측정하였는데, RF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항균 능력이 향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RFE를 첨가한 생분해 성게 껍질 필름은 적절한 물성과 함께 항산화, 항균 능력이 있기에 가공식품의 저장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능성 포장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동백꽃 추출물의 신생혈관생성 및 세포부착 억제 효과 (Anti-Angiogenic and Anti-Cell Adhesion Effect of the Camellia japonica Flower Extract)

  • 허인도;서효진;김종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52-1156
    • /
    • 2007
  • 본 실험은 동백꽃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백꽃을 에틸알콜로써 추출한 후 극성이 다른 다양한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나온 fraction으로 신생혈관생성 억제, cell cytotoxity, 세포부착분자에 대한 기능을 ELISA, westen blot 등으로 조사하였다. 신생혈관생성 억제 효과는 특히butanol 층에서 70.2%로 가장 높았으며, acetone층이 54.2%, 그리고 ethylacetate층이 37.0%, chloroform층이 21.2%로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가 있었다. 특히 동백꽃의 butanol층은 신생혈관생성억제제로서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추출물의 농도별로 cell cytotoxity를 조사한 결과 농도가 200 ug/ml 이하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Cell adhesion 저해율은 추출물의 농도 200 μg/mL 에서 ICAM-1은 52.9%, VCAM-1은 62.5%, 그리고 E-selectin은 35.7%로 나타났으며 동백꽃의 추출물의 성분 증가에 따라 발현이 감소됨으로써 cell adhesion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Westen blot 에서 첨가한 동백꽃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신호전달분자의 발현이 약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호전달 분자는 동백꽃 추출물에 의해서 신호전달이 차단되며, NF-KB를 억제함으로서 신생혈관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동백꽃 추출물은 항암제 및 항비만제제로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Biotransformation of Glycosylated Saponins in Balloon Flower Root Extract into 3-O-β-ᴅ-Glucopyranosyl Platycosides by Deglycosylation of Pectinase from Aspergillus aculeatus

  • Ju, Jung-Hun;Kang, Su-Hwan;Kim, Tae-Hun;Shin, Kyung-Chul;Oh, Deok-K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946-954
    • /
    • 2020
  •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Platycodi radix) saponins, platycosides, have been used as health supplements and food items for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orders and pulmonary diseases. Deglycosylated saponins have been known to exert stronger biological effects than their glycosylated forms. In the present study, glycosylated platycosides in Platycodi radix extract were biotransformed into deglycosylated 3-O-β-ᴅ-glucopyranosyl platycosides, including 3-O-β-ᴅ-glucopyranosyl platycodigenin, 3-O-β-ᴅ-glucopyranosyl polygalacic acid, and 3-O-β-ᴅ-glucopyranosyl platyconic acid, by pectinase from Aspergillus aculeatu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quantitative enzymatic production of 3-O-β-ᴅ-glucopyranosyl platycosides. The chemical structures of 3-O-β-ᴅ-glucopyranosyl platycosides were identified with LC/MS. Moreover, the biotransformation pathways of the three types of platycosides in Platycodi radix into 3-O-β-ᴅ-glucopyranosyl platycosides were established.

분갈화 추출물과 분갈화 유래 Tectorigenin류 3종의 미백 효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s of Pueraria thomsonii Extract and its Three Tectorigenin Derivatives)

  • 안영제;장윤희;이소영;진무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9-56
    • /
    • 2019
  • 분갈(Pueraria thomsonii Benth)은 전통적으로 중국 의학에서 발열, 급성 이질, 설사,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분갈의 꽃인 분갈화의 피부 효능은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어,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세포인 B16F1 세포주와 섬유아세포인 HS68 세포주를 이용하여 분갈화의 피부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갈화의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고, 분갈화 추출물의 효능 성분을 추적하고자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갈화에 함유된 이소플라본류 화합물인 tectorigenin,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3종 성분을 확인하였다. 3종 성분 모두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멜라닌 생합성 감소는 tyrosinase와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합성저해의 또 다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에서 유래되는 멜라닌 합성억제 인자인 DKK-1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분갈화 추출물,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는 DKK-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킨 반면, tectorigenin은 DKK-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분갈화 성분 중 tectorigenin은 멜라닌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 억제와 섬유아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인자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적인 미백 개선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밤꽃(Castanea Crenata Flos.)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stanea Crenata Flos. Methanol Extracts)

  • 최창숙;송은승;김장수;강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216-1220
    • /
    • 2003
  • 밤꽃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밤꽃의 수꽃을 수집하여 메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밤꽃 조추출물의 추출수율은 6.26% 였으며, 총 페놀함량은 0.199 mg/mL 인 것으로 나타났다. DPPH법으로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밤꽃 추출물이 17.22%로 기존의 항산화제에 비해서는 소거능이 다소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은 밤꽃 추출물이 65.10%로 BHT(95.70%)와 quercetin(93.29%)에 비해 낮았지만, ascorbic acid(30.30%) 보다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Lecithin 산화저해율은 밤꽃 추출물이 51.45%, BHT(67.08%), quercetin(63.46%), ascorbic acid(23.60%), chlorogenic acid(48.76%), tannic acid(50.10%)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밤꽃 추출물이 DPPH free radical 소거능에서 기존 항산화제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냈지만, 시간경과에 따른 활성의 지속성과 50% 이상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있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