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w control disc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CFD 해석을 통한 인공호흡기 유량조절디스크의 압력 강하 성능개선 (Improvement on Pressure Drop Performance of Flow Control Disk in Portable Resuscitator)

  • 김영수;김민욱;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1-5
    • /
    • 2016
  • 최근 심장 혈관 질환 등으로 인한 심정지 발생이 증대됨에 따라, 응급 시 수동 작동 장치나 전기적 구동 장치 없이, 공급 산소의 압력만으로 자동으로 작동되는 휴대용 인공호흡기가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공호흡기의 구체적인 압력강하 특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진 바가 없어 본 논문에서는 호흡저항과 관련하여 핵심부품인 유량조절디스크의 다양한 홀 크기에 대한 압력강하 특성을 CFD 시뮬레이션 해석을 통하여 규명하고 압력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홀 형상의 최적설계 안을 제시하였다.

In vitro study of Streptococcus mutans adhesion on composite resin coated with three surface sealants

  • Kim, Da Hye;Kwon, Tae-Yub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2권1호
    • /
    • pp.39-47
    • /
    • 2017
  • Objectives: Although the coating of surface sealants to dental composite resin may potentially reduce bacterial adhesion, there seems to be little information regarding this issue. This preliminary in vitro study investigated the adhesion of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on the dental composite resins coated with three commercial surface sealants. Materials and Methods: Composite resin (Filtek Z250) discs (8 mm in diameter, 1 mm in thickness) were fabricated in a mold covered with a Mylar strip (control). In group PoGo, the surfaces were polished with PoGo. In groups PS, OG, and FP, the surfaces polished with PoGo were coated with the corresponding surface sealants (PermaSeal, PS; OptiGuard, OG; Fortify Plus, FP). The surfaces of the materials and S. mutans cells were characterized by various methods. S. mutans adhesion to the surfaces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using flow cytometry (n = 9). Results: Group OG achieved the lowest water contact angle among all groups tested (p < 0.001). The cell surface of S. mutans tested showed hydrophobic characteristics. Group PoGo exhibited the greatest bacterial adhesion among all groups tested (p < 0.001). The sealant-coated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milar (groups PS and FP, p > 0.05) or significantly lower (group OG, p < 0.001) bacterial adhesion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the surface sealants significantly reduced S. mutans adhesion to the composite resin polished with the PoGo.

유동성 복합레진의 마모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AR RESISTANCE OF FLOWABLE COMPOSITE RESINS)

  • 윤연희;김정욱;이상훈;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7-225
    • /
    • 2002
  • 시술시간을 줄이는데 유리한 재료인 유동성 복합레진을 유구치부에 사용하려고 고려할 때 중요한 물성 중 하나는 마모저항성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동성 복합레진의 마모저항성을 일반복합레진의 마모저항성과 비교하는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유동성 복합레진으로 1군에서는 Arabesk flow (VOCO, Germany) 2군에서는 Tetric flow (Vivadent, Liechtenstein) 3군에서는 Aeliteflow (Bisco, U.S.A.), 4군에서는 Filtek flow (3M Dental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사용한 5군의 복합레진은 Z100 (3M Dental Co, U.S.A)이었다. 시편들(n=10)은 두께 2mm, 지름 5mm의 원통모양으로 제작하여 마모시험 전 $37^{\circ}C$의 증류수에서 7일 동안 담가 놓았다. 제1소구치와 레진시편을 MTS 시스템에서 2Hz로 50,000회 접촉, 마모시켰다. 마모시험시 lateral excursion은 0.4mm, 교합력은 2-100N의 조건이었다. 마모시험후 마모된 부피, 최대마모깊이, 재료자체의 표면경도를 측정하였고 마모 되지 않은 표면과 마모가 일어난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마모된 부피는 3군에서 가장 적었고 4군에서 가장 많았으며 3군<1군<2군<5군<4군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2. 3군, 1군, 2군은 5군이나 4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마모부피가 적었다(p<0.05). 그러나, 3군, 1군, 2군 사이에서와 5군, 4군 사이에서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최대마모깊이는 1군에서 가장 낮았고, 4군에서 가장 깊었으며 1군<3군<5군<2군<4군의 순서로 증가 하였다. 4. 5군의 표면경도는 다른 유동성 복합레진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마모부피나 최대마모깊이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5. 마모되지 않은 표면과 마모가 일어난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유동성 복합레진군과 5군 사이에 마모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참오동나무의 열처리가 기체투과성, 흡음율과 음향투과손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Gas Permeability,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nd Sound Transmission Loss of Paulownia tomentosa Wood)

  • KANG, Chun-Won;JANG, Eun-Suk;JANG, Sang-Sik;Cho, Jae-Ik;KIM, Nam-Hu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644-654
    • /
    • 2019
  • 참오동나무의 섬유방향기체투과성(gas permeability), 횡단방향 흡음율(sound absorption coefficient)과 음향투과손실(sound transmission loss)을 평가하고 열처리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참오동나무 원반을 100, 160, $200^{\circ}C$로 열처리하고 기체투과성, 흡음율, 음향투과손실을 각각 측정하여 무처리 원반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께 20 mm 참오동나무 원반의 섬유방향 기체투과성(specific permeability)은 무처리, 100, 160, $200^{\circ}C$ 열처리의 경우 각각 0.254, 0.279, 0.314, 0.452로 열처리에 의해 기체투과성이 약간 증가하였다. 두께 20 mm 무처리 참오동나무 원반의 50-6400 Hz 평균흡음율은 0.101이었으며 온도 100, 160, $200^{\circ}C$로 열처리한 목재의 50-6400 Hz 평균흡음율은 0.109, 0.096 그리고 0.106이었다. NRC (noise reduction coefficient) 는 각각 0.060, 0.067, 0.062 그리고 0.071 이었다. 두께 20 mm 무처리 참오동나무 원반의 50-6400 Hz 주파수범위에서 음향투과손실은 평균 36.93 dB이었다. 열처리에 의해 참오동나무 원반의 기체투과성과 흡음율은 열처리에 의해 그리고 열처리 온도 증가에 의해 약간 증가하였으나 증가정도는 미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