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discharge

검색결과 651건 처리시간 0.022초

하천 만곡부에서의 세굴심 산정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our Depth Equation in Bight River)

  • 최한규;박제완;박수진
    • 산업기술연구
    • /
    • 제32권A호
    • /
    • pp.47-55
    • /
    • 2012
  • Currently, we only estimate the average flood water level by the cross-sections of the river using on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hen establishing the basic plans. However, the reliability decreases when it comes to the river bend. In river bend, the difference of water-level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river arises by centrifugal force. And it is estimated less than what it could be estimated when establishing the plan with average estimate of flood level. It is apprehended that the exterior of the river will be under-constructed when establishing the scour depth only with the mean depth. In the case of local scour of the abutment, it is difficult to estimate its depth precisely, and it tends to be over-estimated in the case of the empirical formulas. Therefore, the modification considering the deviation of the water depth of the exterior of the river bend is needed. In observing the deviation of each formula in river bend, it is found: Andru's formula for 58%, followed by the Laursen's for 26%, and the C.S.U's for 17% in pier, while it is 44% for Froehlich's formula in abutment. Under the 500CMS of the flood discharge, the deviation of the scour depth between pier and abutment was about 10 %. However, in further flood discharge, it shows 24~58% the biggest in deviation of piers. It is concluded that the scour depth estimate should be done with 2-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 PDF

동역학적 수치모형을 이용한 합류부 홍수위 분석 (Analysis of Flood Stage in a Confluence using the Dynamic Numerical Model)

  • 김지성;김극수;김원;김상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B호
    • /
    • pp.453-46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강와 평창강이 만나는 합류부 상류, 특히 영월지점에서 발생하는 홍수위의 배수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홍수사상들에 대한 적절한 경계조건을 사용하고 조도계수를 보정함으로써 동역학적 흐름해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사용하여 본류 및 지류의 다양한 유입량 조건이 발생할 경우, 영월지점에서 발생 가능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변화를 살펴보고, 지류 유입에 따른 홍수위의 영향범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월지역에서는 지류유입 조건에 따라 매우 다른 수위-유량관계곡선들이 작성되었고, 지류 유입으로 인하여 동일한 유량에서 약 4.0 m정도 수위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영월 지점과 같이 지류 합류에 의한 배수영향을 크게 받는 지점에서는 단일 수위-유량관계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움을 보였고, 지류 유입으로 인한 홍수위 변화는 합류점 상류 약 8.0 km까지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합류부 배수영향을 크게 받는 지점의 홍수위 예측을 위해서는 기존 수문학적 모형보다 잘 보정되고 검증된 완전한 동역학적 모형이 활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홍수재난 대응을 위한 국가위기경보 4단계 설정기준 개선 (Improvement of National Risk Alarm 4-Stage Criteria for Flood Disaster)

  • 이수경;박재우;오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69-377
    • /
    • 2018
  • 홍수 발생 시 제공되는 적절한 비상대처방안(EAP) 정보는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필수요소이며, 상습 침수지역과 예상지역의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EAP는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의 위기경보 4단계를 근간으로 해당 시설물에 대한 단계별 대응업무를 규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홍수통제소는 수위표 또는 해발고도를 기준으로 하천지점별 홍수주의보와 홍수경보를 계획홍수량의 50%와 70%를 기준으로 발현하고 있으나, 위기경보 각 단계별 설정기준과의 명확한 연관관계를 제시하고 있지 않다. 반면, 일본과 미국의 경우 수재해 대응단계를 구분하는데 있어 하천수위를 가장 중요한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국내보다는 높은 계획홍수위 설정기준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하천홍수 대응 수재해 위기경보 4단계 설정기준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 규정 및 적용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실무자 관점에서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위기경보단계별 설정기준을 상향조정하고 수위표 기준으로 표기방식을 개선하도록 제안하였다. 적용성 및 실효성 검증을 위하여 개선된 설정기준(안)을 수변구조물 재난대응 의사결정시스템에 적용하고 테스트베드에 대한 모의훈련을 실시하였다.

레이더 정량강우와 연계한 홍수유출 및 범람해석 시스템 확립 III. 2차원 홍수범람 모의 (Development of a Flood Runoff and Inundation Analysis System Associated With 2-D Rainfall Data Generated Using Radar III. 2-D Flood Inundation Simulation)

  • 최규현;한건연;김상호;이창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4호
    • /
    • pp.347-36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붕괴로 인한 제내지에서의 범람홍수의 전파양상을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2차원 범람홍수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범람모의를 위한 기본 입력자료 구축을 위해서 레이더 자료와 연계하였으며, 레이더 정량강우-홍수유출-범람해석에 대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서 태풍 루사로 인한 감천 유역의 실제 제방붕괴 사례에 대한 적용을 실시하였으며, 범람모의를 위한 기본자료인 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레이더 자료와 연계하였고, 지상의 강우관측자료와 최적으로 조합하기 위한 cokrig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레이더와 연계한 2차원 정량강우량은 유역에서의 홍수량 산정을 위해 이용되었으며, 유역에서의 홍수량은 하도 및 제내지에서의 홍수범람모의를 위해 이용되었다. 모의결과는 실제 홍수흔적과 하천에서의 홍수위 자료 등과 비교하여 잘 일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iver streamflow prediction using a deep neural network: a case study on the Red River, Vietnam

  • Le, Xuan-Hien;Ho, Hung Viet;Lee, Giha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843-856
    • /
    • 2019
  • Real-time flood prediction has an important role in significantly reducing potential damage caused by floods for urban residential areas located downstream of river basins. This paper presents an effective approach for flood forecasting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a deep neural network (DNN) model. In addition, this research depends closely on the open-source software library, TensorFlow, which was developed by Google for machine and deep learning applications and research.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to forecast the flowrate one, two, and three days in advance at the Son Tay hydrological station on the Red River, Vietnam. The input data of the model was a series of discharge data observed at five gauge stations on the Red River system, without requiring rainfall data, water levels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DNN model achieved a high performance for flood forecasting even though only a modest amount of data is required. When forecasting one and two days in advance, th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reached 0.993 and 0.938,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NN model can be used to construct a real-time flood warning system on the Red River and for other river basins in Vietnam.

논 지구의 배수로 부정류 흐름 모의를 위한 모델링 시스템 (Modeling System for Unsteady Flow Simulations in Drainage Channel Networks of Paddy Field Districts)

  • 강민구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2호
    • /
    • pp.1-9
    • /
    • 2014
  • A modeling system is constructed by integrating an one-dimensional unsteady flow simulation model and a hydrologic model to simulate flood flows in drainage channel networks of paddy field districts. The modeling system's applicability is validated by simulating flood discharges from a paddy field district, which consists of nine paddy fields and one drainage channel. The simulation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Particularly, in the verification stage, the relative errors of peak flows and peak depths between the observed and simulated hydrographs range 8.96 to 10.26 % and -10.26 to 2.97 %, respectively. The modeling system's capability is compared with that of a water balance equation-based model; it is revealed that the modeling system's accuracy is superior to the other model. In addition, the simulations of flood discharges from large-sized paddy fields through drainage channels show that the flood discharge patterns are affected by drainage outlet management for paddy field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rainage channels.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to efficiently design drainage channel network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sults from simulating flood discharges of the drainage channel networks according to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connectivities.

강우량 증가에 따른 홍수량 변동 및 홍수범람 분석 (Analysis of Flooding Variation and Flood Inundation According to Increasing Rainfall)

  • 강보성;양성기;정우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5-424
    • /
    • 2015
  • As global warming has accelerated to weather in recent years, and The frequent floods are creating heavy rains and typhoons followed by considerable damage in Jeju. This study estimated design flood discharges and flood stage in Jeju,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connection with RCP scenario, the 5th IPCC Report recently published. It also analyzed the period which might be subject to the risk of flooding in downstream of Oedo Stream. As a result, it has analyzed that there might be a risk of flooding when there were 80 years or more rainfall events in 35 years that rainfall would have increased by 10%, 69 years that 100 years or more heavy rain and rainfall would have increased by 20%, and 104 years that 100 years or more heavy rain and rainfall would have increased by 20%.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results of rainfall increasing trend caused by climate change will be helpful to minimize the damage of floods which will secure the future of Jeju.

재난감시용 하천 CCTV를 활용한 홍수유출량 산정 (Flood Runoff Calculation using Disaster Monitoring CCTV System)

  • 김용석;양성기;류권규;김동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71-584
    • /
    • 2014
  • The present study aims to apply a surface image velocimetry(SIV) system to video images captured with CCTV and estimate the flood discharge. The CCTV was installed at the Hancheon Bridge of the Han Cheon in Jeju Island for disaster surveillance, and seven flood events occurred in 2012 were used. During the image analyses, input parameters, interrogation areas and searching areas were determined with proper calibration procedures. To check for accuracy and applicability of SIV, the velocities and flood discharges estimated by SIV we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ones by an electromagnetic surface velocimeter, Kalisto.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fairly good agreements. The RMSE(Root Mean Square Error) values between two instruments showed a range of 4.13 and 14.2, and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s reached 0.75 through 0.85. It means that the SIV could be used as a good alternative method for other traditional velocity measuring instruments in measuring flood discharges.

드론을 이용한 홍수기 유량측정방법 개발(II) - 전자파표면유속계 적용 (Development of flow measurement method using drones in flood season (II) - application of surface velocity doppler radar)

  • 이태희;강종완;이기성;이신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11호
    • /
    • pp.903-913
    • /
    • 2021
  • 홍수기 하천에서 유량측정은 예산, 인력, 안전 및 측정 시 편의성 등의 이유로 측정에 제한이 많다. 특히, 태풍 등으로 인한 호우사상 발생 시 위와 같은 문제로 홍수량 측정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드론(Drone)과 전자파표면유속계(Surface velocity doppler radar)의 기능을 조합하여 최소 인력으로 짧은 시간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홍수기에 하천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존 드론을 이용한 유량측정 연구에서 도출된 바람, 강우 등 기상 요인에 의한 드론의 기계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P56 등급의 방진·방수 성능, 최대 36 km/h의 풍속에서 안정적인 비행능력과 최대 10 kg을 탑재할 수 있는 드론을 개발하였다. 또한 전자파표면유속계 측정에 있어서 주요 제약 요소인 진동을 제거하기 위해 드론과 전자파표면유속계를 결합하는 댐퍼플레이트를 개발하였다. 이들 비행장비와 유속계를 결합시킨 유속계 DSVM (Dron and Surface Veloctity Meter using doppler radar)을 제작하였으며, 봉황천(금강 제1지류)에 위치한 금산군(황풍교)지점에서 DSVM을 운용하여 홍수량을 측정한 결과 ±3.5%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또한 측정된 표면유속으로부터 평균유속을 산정할 때 정확도 향상을 위해 ADCP를 이용하여 동시 측정하고, 평균유속을 비교하여 평균유속환산계수(0.92)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과 전자파표면유속계를 결합해 측정한 유량과 ADCP 및 봉부자를 이용해 측정한 유량을 비교하고, DSVM의 적용 및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리구조물 하류에서 어류의 피난처 해석을 위한 수치모의 (구미보를 중심으로) (Numerical Simulation for Estimating Fish Shelter at the Downstream of Gumi Weir)

  • 조형진;장창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권1호
    • /
    • pp.8-1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수공구조물 하류에서의 하천흐름 특성을 3차원 수치모형인 Delft3D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하천흐름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홍수시에 어류의 피난처를 예측하였다. 수공구조물은 통수단면적을 변화시키고 유속과 수심을 변화시켜서 어류활동에 영향을 준다. 대상유역인 구미보 직하류에서는 흐름의 중심이 되는 저수로가 좌안으로 집중되면서 우안에서 수심이 낮고, 유속이 느리게 나타나서 어류의 피난처 형성은 우안을 중심으로 발생하였다. 어류의 활동범위를 분석하기 위해 수직방향 유속을 비교한 결과, 30년 빈도와 50년 빈도 경우 우안에서 최대 0.0043 m/s, 0.0052 m/s로 나타났고, 80년 빈도와 100년 빈도는 좌안에서 최대 0.0046 m/s, 0.0039 m/s로 나타났다. 또한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심이 깊어지고 난류에너지가 상승하여 어류의 피난처가 감소되었다. 30년 빈도 홍수량와 100년 빈도 홍수량에 대하여 어류의 피난처를 비교하면 우안에 형성되는 어류의 피난처 예상 면적이 61.5%에서 39.0%으로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