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ood discharge

검색결과 651건 처리시간 0.021초

낙동강 하류부의 감조구간에 대한 홍수해석 (Flood Analysis in the Tidal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 이주헌;이은태;이도훈;김남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235-24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하류부의 감조구간에 대하여 실시간 홍수예보를 위한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홍수시 감조구간내의 주요 홍수 예보지점에 대한 조위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모형의검증을 위하여 부정류 해석법에 의하여 하도구간별, 유량규모별 최적 조도계수를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최적 조도계수를 적용한 부정류 해석 결과가 관측 수위수문곡선의 전반적인 형태를 매우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ssessment of Human Impact on Mekong River Flood by Using Satellite Nightlight Image

  • Try, Sophal;Lee, Giha;Lee, Daeeop;Thuy, HoangThu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7-187
    • /
    • 2016
  • High intensity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deltaic setting especially in Asia tends to have increased and causes coastal flood risk due to lower elevations and significant subsidence. Maximum or peak discharge of flood always causes numerous deaths and huge economic losses. New technology of spatial satellite image has been applied to analyze flood damage. In this research, the relationship of nightlight intensity associated with flood damages has been determined during 1992-2013 with spatial resolution of 30 arc sec ($0.0083^{\circ}$) which is nearly one kilometer at the equator in whole six countries along the Mekong River (i.e., China, Myanmar, Lao PDR, Thailand, Cambodia and Vietnam). ArcGIS Hydrological Flow Length Tool has been used to determine the distance of each pixel areas from the rivers and streams.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highligh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R = 0.47 between nightlight digital number and economic damages per unit area (US$/km2) and R = 0.62 for number of affected people for unit area ($people/km^2$). The areas near by the Mekong River and its tributaries correspond to high flood damage. This spatial analysis result is going to be prestigious key information to the regions and all related stakeholders for decisions and mitigation strategies.

  • PDF

우리나라 홍수량(洪水量) 공식(公式)들의 비교연구(比較硏究)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Flood Discharge Formulas in Korean Rivers)

  • 고재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13-125
    • /
    • 1988
  • 우리 나라의 하천종합개발계획(河川綜合開發計劃) 수립의 기준이 되는 계획홍수량(計劃洪水量) 결정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던 홍수량공식(洪水量公式) 들을 조사하였다. 이들 가운데 11종(種)의 홍수량(洪水量) 공식(公式)을 선정하여 유역규모(流域規模)에 따른 계획비홍수량(計劃比洪水量)을 계산 비교하였다. 강우조건과 유역조건이 가능한 범위까지 같은 경우가 될 수 있게 하여 검토한 바 같은 유역에서 극치들의 변동폭이 400%나 되는 편차를 가지며 이런 범위안에서 각공식 별로 서로 많은 차이를 보여 주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지금 쓰이고 있는 홍수량(洪水量) 산정의 절차는 무척 복잡하고 많은 노력(努力)을 거쳐서 어렵게 결정하고 있으나 성과(成果)는 사용된 수문자료(水文資料)의 기간(期間)이나 정도(精度)에 좌우되어 공학적(工學的)인 판단(判斷)의 타당성이 결여된 경우가 많았음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보다 단순하면서 합리적(合理的)인 수단의 개발을 기왕의 홍수량(洪水量) 공식(公式) 비교에서 얻을 수 있었다.

  • PDF

미계측 중소하천의 계획홍수량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the Design Flood of Ungauged Small River Basins)

  • 침순보;안보훈
    • 물과 미래
    • /
    • 제9권2호
    • /
    • pp.101-114
    • /
    • 1976
  • 본 논문은 미 계측 중심하천의 재현기간별 계획홍수량을 산정 하는 수 문학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수위유량자료가 전무한 중소하천 유역의 지상학적 특성분석을 시행하여 제상관관계로부터 하천의 유출율을 결정하고 사용 가능한 인근 항우관측소로부터 빈도처리된 량량자료를 사용하므로서 합리식의 안전한 사용을 시도하였으며 유역특성이 비슷한 인근유역의 기 유도된 단위도의 관계식을 활용하므로서 첨두유량을 산정 상호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금강의 제2지유이며 유역면적 $192.2\textrm{km}^2$로써 유역의 종합개발을 위한 기초수문자료가 시급한 무심천을 선정하여 하천 소구간별로 재현기간별 계획홍수량과 첨두홍수량을 산정하여 인근유역인 미호천유역의 실측자료로 구한 첨두유출량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검정해 본 결과 상관계수 r=0.93을 나타내므로 계산한 계획홍수량의 실용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

침수 시뮬레이션을 통한 침수예방사업의 성과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flood prevention projects through flood simulation)

  • 신정섭;정석현;조병옥;강선홍;박병만;윤준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9-181
    • /
    • 2018
  • For performance analysis of flood prevention projects, this study performed simulation (SWMM) for the five sites where the projects have been completed. The models were constructed using watershed and sewer information of the project sites and were verified using flood records in the past to improve accuracy. In this simulation, the design rainfall data (probability 30~50 years) and the rainfall data in the summer of 2017 were applied. When the design rainfall data was applied to the models, simulation results presented that all the sites were flooded before the projects, but after the projects all the sites were not flooded due to improve discharge capacity. And when the rainfall data in the summer of 2017 was applied to the models, simulation results presented that all the sites were flooded before the projects, but after the projects any sites did not occur flooding in this summer. So if the projects had not been completed, all the sites might be flooded in the summer of 2017. These effects were analyzed as the improvement of discharge capacity due to rehabilitation of sewer, construction of underground tunnel and pumping station, etc. As the results, ratio of sewer that water depth exceed diameter reduced from 52.3~75.8% to 17.1~39.8%.

한강하류부(漢江下流部)의 홍수추적(洪水追跡) 수치모형개발(數値模型開發) (A Numerical Flood Routing Model at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 이원환;박상덕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63-70
    • /
    • 1989
  • 한강하류부(漢江下流部) 팔당댐으로부터 인도교 지점에 이른 구간의 홍수추적(洪水追跡) 수치모형(數値模型)이 Preissmann의 선형(線型) 4점(點) Implicit 유한차분법(有限差分法)을 적용하여 수립되었다. 본(本) 모형(模型)을 선정된 4개의 홍수사상(洪水事象)에 적용한 결과 모형(模型)의 상류단(上流端) 경계조건(境界條件)으로서 팔당댐의 방류량(放流量) 수문곡선(水文曲線)을 사용하는 것이 고안의 유량수문곡선(流量水文曲線)을 사용하는 것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났으며, 이는 고안 수위표(水位標) 지점(地點)의 수위(水位)-유량관계곡선(流量關係曲線)의 신뢰성(信賴性)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本) 모형(模型)을 통하여 고안 수위표 지점의 수위(水位)-유량(流量) 관계곡선(關係曲線)을 새로이 제시(提示)하였다. 본(本) 모형(模型)의 적용에 있어서 조도계수변동(粗度係數變動)이 홍수추적(洪水追跡)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미소(微小)하였다.

  • PDF

화순 홍수조절지의 유입유출 구조물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ow and Outflow Structures of Hwasun Flood Control Reservoir)

  • 이상화;진광호;류종현;김수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7호
    • /
    • pp.675-684
    • /
    • 2012
  • 최근 기상변화에 의한 집중호우는 하천의 통수능력을 초과하는 홍수를 발생시키고 있다. 하천의 폭이 제한된 상태에서 이러한 초과 홍수에 대비할 수 있는 관리방법은 제방증고, 저류지 및 방수로 건설, 하상 준설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천변저류지인 화순홍수조절지는 저류지와 수위조절을 위한 제수문이 설계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저류지 운영시간동안 일정 홍수량만을 배제해야 할 상황에 대해 설계의 적정성을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저류지 유입부의 횡월류위어 월류량은 설계상의 월류량을 초과하였고, 제수문 1.1m 개방시 설계유량($326m^3/s$)을 방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계유량 방류시 제수문 직하류에 7.19m/s의 고유속은 baffle block을 설치할 경우 3.3m/s까지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홍수조절능력 분석 (Analysis of Flood Control Capacity of Agricultural Reservoir Based on SSP Climate Change Scenario)

  • 김지혜;곽지혜;황순호;전상민;이성학;이재남;강문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5호
    • /
    • pp.49-62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lood control capacity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based on state-of-the-art climate change scenario -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18 agricultural reservoir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ites, and future rainfall data based on SSP scenario provided by CMIP6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6) was applied to analyz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analysis module, the rainfall-runoff module, the reservoir operation module, and their linkage system were built and applied to simulate probable rainfall, maximum inflow, maximum outflow, and maximum water level of the reservoirs. And the maximum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design values, such as design flood of reservoirs, design flood of direct downstream, and top of dam elev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aximum values exceed each design value, cases were divided into eight categories; I-O-H, I-O, I-H, I, O-H, O, H, X. Probable rainfall (200-yr frequency, 12-h duration) for observed data (1973~2020) was a maximum of 445.2 mm and increased to 619.1~1,359.7 mm in the future (2011~2100). For the present, 61.1% of the reservoirs corresponded to I-O, which means the reservoirs have sufficient capacity to discharge large inflow; however, there is a risk of overflowing downstream due to excessive outflow. For the future, six reservoirs (Idong, Baekgok, Yedang, Tapjung, Naju, Jangsung) were changed from I-O to I-O-H, which means inflow increases beyond the discharge capacity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re is a risk of collapse due to dam overflow.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보 방류조건에 따른 하도 내 홍수도달시간 예측 (Forecasting of flood travel time depending on weir discharge condition using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in the channel)

  • 이해광;오지환;장석환;송만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6호
    • /
    • pp.397-409
    • /
    • 2019
  • 우리나라는 지형적인 특성과 강우 발생 특성에 따라 댐이나 다기능보 등 수리구조물의 수문 운영이 하천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도달시간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고, 금강하류부의 금강하굿둑~백제보 구간을 대상으로 1차원과 2차원의 연계해석이 가능한 HEC-RAS 모형을 활용하여 홍수도달시간을 홍수파도달시간과 수위상승도달시간으로 구분하고 보의 방류조건에 따라 홍수도달시간을 분석 예측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방류량이 증가하는 시점에 하도를 범람하여 하천 폭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도달시간이 증가하는 형태가 나타났으며, 홍수파 도달시간이 수위상승 도달시간보다 약 2배정도 빠르게 나타나 실제 도달하는 유수의 양보다 수파가 빨리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하천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Utilizing Concept of Vegetation Freeboard Equivalence in River Restoration

  • Lee, Jong-Seok;Julien, Pierre Y.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3호
    • /
    • pp.34-41
    • /
    • 2012
  • The concept of vegetation freeboard equivalence (VFE) is presented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rise in stage with/without vegetation and the freeboard height under design discharge conditions. In South Korea, the freeboard height of large, medium and small rivers is defined as a function of river discharge. Two models are used for this analysis of flood stage with and without vegetation: the 1-D model HEC-RAS and the 2-D model RMA-2. Both models are applied to three river study sites of the Geum River in South Korea as representative sites for a large, a medium and a small river. The analysis shows that without vegetation, both models provide comparable results and the calculated results are in very good agreement with the design configuration. The vegetation effects on the medium river are less significant, and the freeboard is adequate to contain the rise in stage from the added floodplain vegetation in large rivers. The concept of vegetation freeboard equivalence is therefore useful for the analysis of flood river stages after the restoration of channels with increased floodplain veg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