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control reservoir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4초

저수지 수위 정밀 측정에 의한 댐 유입량 자료 개선 (Improvement of Inflow Estimation Data by Precise Measurement of Water Level in Reservoir)

  • 박지창;김남;류경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9-314
    • /
    • 2009
  • A accurate reservoir inflow is very important as providing information for decision making about the water balance and the flood control, as well as for dam safety. The methods to calculate the inflow were divided by the directed method to measure streamflow from upstream reservoirs and the indirected method to estimate using the correlation of reservoir water level and release. Currently, the inflow of multi-purpose dam is being calculated by the indirect method and the reservoir water level to calculate the storage capacity is being used by centimeters(cm) units.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volume of 1cm according to scale and water level of multi-purpose dam comes up to from several 10 thousand tons to several million tons. If it converts to inflow during 1 hour, and it comes to several hundred $m^3/sec$(CMS). Therefore, the inflow calculated on the hourly is largely deviated along the water level changes and is occurred minus value as the case. In this research, the water level gage has been developed so that it can measure a accurate water level for the improvement for the error and derivation of inflow, even though there might be various hydrology and meteorologic considerations to analyse the water balance of reservoir. Also, it is confirmed that the error and the standard derivation of data observed by the new gage is decreased by 89,6% and 1/3 & 87% and 2/3 compared to that observed by the existing gage of Daecheong and Juam multi-purpose dam.

유역유출 변화에 따른 도암댐 저수지 수질 영향 예측 (Prediction of Water Quality Effect of Watershed Runoff Change in Doam Reservoir)

  • 노희진;김정민;김영도;강부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975-9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도암댐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모형과 호소 및 하천모형의 연계를 통해 통합모델링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국내 기후 특성상 하절기에 집중되는 강우로 인해 댐의 건설은 홍수조절, 용수확보 및 전력생산 등의 목적에 있어서 불가피하다. 특히 이러한 목적의 댐 형태가 하천과 하천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는 연계된 구간을 하나의 유역으로 보고 이를 통합적으로 모의 및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암댐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모형인 SWAT 모형을 구축하고 저수지 및 하천의 수리 및 수질 모의를 위해 EFDC-WASP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현재 도암댐 상부에서 시범가동 중인 수질개선장치 효율이 반영된 시나리오를 모의하여 통합모델링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하천 만곡부를 고려한 GIS 기반 침수지역 레이어 구축 (The Construction of GIS-based Flood Risk Area Layer Considering River Bight)

  • 이근상;유병혁;박진혁;이을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1
    • /
    • 2009
  • 홍수시 댐 방류에 따른 하류하천의 침수지역을 신속하게 가시화하는 것은 댐관리 업무에 매우 중요하다. 하천구간별로 모의된 홍수위를 기반으로 침수지역을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만곡부에서 나타나는 중복영역을 제거해야 된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분석모형 (COSFIM)과 FLDWAV 모델을 연계하여 하천 만곡부를 고려한 침수지역 가시화를 위해 배수강제 알고리듬을 적용하였다. 배수강제 알고리듬은 자동유역추출시 지형상의 함몰점을 제거함으로서 수문학적 처리연구 등에 장점을 주는 보간법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하류구간을 대상으로 하천만곡부를 고려한 침수지역 레이어 제작기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Arcobject 컴포넌트 기반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침수지역레이어 자동추출시스템은 시간측면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홍수범람가시화 업무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었다. 또한 침수지역 레이어는 IKONOS 위성영상과의 연계를 통해 홍수 재해관련 업무에 실감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저수지 수변 식생 건강성 평가 (The Vegetation Health Assessment in Riparian Vegetation of Lake Reservoirs)

  • 김형대;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111-121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iparian vegetation health in the fluctuation area and vicinity of reservoi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 basic data to improve the ecological function and establish green-network of waterside ecosystem. The study site is Daecheong lake reservoirs which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of Geum river and with great number of visitors near metropolitan city. The 6 survey plots of 2 survey area were selected, survey area 1 had 4 survey plots and survey area 2 had 2 survey plots, and to compare the study results 4 control plots were selected in Gyeongcheon reservoir. The main dominant specie of survey sites was Salix koreensis in tree and subtree layer, were Salix koreensis and Salix glandulosa. in shrub layer. 2 survey plots of Samjeongdong and Kyeongcheon reservoir were assessed as 'Good', 2 survey plots of chudong were assessed as 'Fair' in vegetation health assessment. In the fluctuation area from flood water level to low water level, 58 populations of Salix koreensis were found in survey sites and Salix koreensis, Salix glandulosa and Acer tataricum subsp. ginale were found in control sites. The most adequate species at the condition affected by inundation impacts would be Salix koreensis and Salix glandulosa was more healthy at the area less affected by inund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vegetation health assessment on Daecheong reservoir which has been advanced natural succession for more than 30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Further, it should carry continuously out the research on the planting model of the waterside ecosystem for ecological restoration.

Dilemma of a small dam with large basin area under climate change condition

  • Jeong-Hyeok Ma;Chulsang Yoo;Tae-Sup Yun;Dongwhi Jung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33권5호
    • /
    • pp.559-572
    • /
    • 2024
  • Problems of under-sized dams (small dams with large basin area) could get worse under the global warming condition. This study evaluates the possible change of these problems with the Namgang Dam, an under-sized dam in Korea.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simulates the dam inflow data using a rainfall-runoff model, which are then used as input for the reservoir operation. As a result, daily dam storage, dam release, and dam water supply are derived and compared for both past observed period (1973~2022) and future simulated period (2006~2099) based on the global warming scenarios. Summariz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ow rate in the future is expected to b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maximum inflow could be twice of that observed in the past. As a result,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frequency of the water level reaching the high level is increasing. Also, the amount and frequency of dam release are to be increased in the future period. More seriously, this increase is expected to be concentrated on rather extreme cases with large dam release volume. Simply, the condition for flood protection in the downstream of the Namgang Dam is becoming worse and worse. Ironically, the severity of water shortage problem is also expected to become much worse. As the most extreme case, the frequency of no water supply was zero in the observed period, but in the future period, it becomes once every five years. Both the maximum consecutive shortage days and the total shortage volume are expected to become more than twice in the future period. To prevent or mitigate this coming problem of an under-sized dam, the only countermeasure at this moment seems to be its redevelopment. Simply a bigger dam with larger dam reservoir can handle this adverse effect more easily.

시군관리 저수지의 물관리 정보화를 위한 시스템 분석 (System Analysis for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trategy of Agricultural Reservoir managed by City and County)

  • 김대식;김진택;김정대;구희동;임혜지
    • 농촌계획
    • /
    • 제22권2호
    • /
    • pp.165-173
    • /
    • 2016
  •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used by KRC(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operates widely including RIMS, RAWRIS and etc. Other systems are operated by each government department, for example, K-water(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s WAMIS. Even though small scale reservoirs managed by city/country is just about 12% of total water resource, the reservoirs are important for controlling and securing water resource as the reservoirs, including about 14,700 reservoirs nationwide, are located at main subwater shed. So, it is necessary for KRC to execute integrated informatization. In this research, system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rise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the reservoirs controlled by city and country at first. And then, improvement plan for informatization of the reservoirs controlled by city and country was proposed. This study proposed the improvement plan for informatization of the reservoirs managed by the city and country, which was systematically proposed through systemic analysis including from reservoir site to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e objects includes 1. Reservoir (basin, facilities, water depth-area curve, benefiter area), 2. Field supervision organization for the reservoir 3.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4. Center organization 5. Network for information transfer, 6.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s the reservoirs controlled by city and country are important considering managing water and facilities, operated by local government with minimum budget due to budget problem, securing sufficient budget is necessary to form an specialized organization controlling facilities and the water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drought and flood control.

고지도를 활용한 홍수터 복원 구역 선정 및 홍수완충공간의 홍수 저류효과 분석 (Determination of Floodplain Restoration Area Based on Old Maps and Analysis on Flood Storage Effects of Flood Mitigation Sections)

  • 이동진;지운;김상혁;안홍규;장은경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2호
    • /
    • pp.40-49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홍수의 피해를 저감하면서 동시에 자연친화적 수변구역의 홍수완충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제방이 건설되기 이전의 홍수범람 범위와 하천구역을 참조하여 홍수터 복원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상구간에 대해 고지도를 활용하여 홍수터 복원가능 공간의 입지 선정 방법을 제안하고 홍수터를 홍수완충공간으로 활용할 경우 홍수위 저감 효과를 부정류 수치모의를 통해 분석하였다. 고지도를 활용하여 하천구역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19년에 비해 2020년 하천구역 면적이 단계적으로 총 27.8% 감소 (1,059,380 m2)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과거 홍수범람 구역이었던 제내지를 offline 저류지로 복원할 경우 2,200,868 m3의 유효 저류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HEC-RAS 부정류 모의를 통해 분석한 홍수위와 홍수량 조절 효과는 대상구간의 하류 단면에서 16 cm와 219.01 m3/s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수치모의에는 홍수완충공간이 offline 저류지 형식으로 적용되었으며, 제방 후퇴/이설을 통한 홍수터의 확대가 적용될 경우 홍수위 저감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발전용댐 이수능력 평가 연구(I): 북한강수계 개별 댐 및 댐군 용수공급능력 분석 (Evaluation of hydropower dam water supply capacity (I): individual and integrated operation of hydropower dams in Bukhan river)

  • 정기문;최정욱;강두선;안정환;김태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7호
    • /
    • pp.505-513
    • /
    • 2022
  • 최근 기후변화 및 기상이변 등으로 인해 가용 수자원 예측의 불확실성이 점차 커져가고 있다. 홍수 및 가뭄 예방 등 물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 시행된 물관리일원화와 더불어 국내 물관리는 큰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물관리 역량 강화의 일환으로, 과거 수력발전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던 발전용댐을 이·치수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주로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개발된 댐 평가 기법들이 발전용댐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어, 발전용댐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추가적인 평가기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운영모의 방법을 활용하여 이수 측면에서 발전용댐의 운영 특성을 고려한 댐별 용수공급능력 산정 방법을 새롭게 제시하였으며, 여러댐이 상하류에 걸쳐 운영되고 있는 조건에서 연계 댐군의 종합적인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저수지 연결모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은 북한강수계 발전용 댐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개별 댐의 용수공급능력 산정 결과와 댐군 연결모의를 통한 용수공급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향후 발전용댐의 가뭄시 물 공급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본 연구 결과는 발전용댐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국내 물 관리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댐 재개발시의 지반공학적 고려 (Geotechnical considerations for the existing dam rehabilitation)

  • 전제성;신동훈;김기영;조성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89-596
    • /
    • 2005
  • The public has negative understanding about dam construction nowadays although dam plays an important role in water supply to satisfy essential demand for living. Dam rehabilitation, in this actuality, has been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to expedite continuous water policies related to irrigation and flood control. This study focused on dam rehabilitation and included its necessity and discussions on case histories associated with increasing reservoir capacity, spillway modification, overtopping protection, seepage control and improving stability of old dam. This paper, in geotechnical aspects, presents discussions of various rehabilitation methods and factor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dam rehabilitation.

  • PDF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s for sediment level estimation in dam reservoir)

  • 주홍준;김형수;조운기;곽재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호
    • /
    • pp.61-7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댐의 효율적인 계획 및 운영을 위해 댐 저수지의 최적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안전한 설계에 의거하여 댐 저수지 사수위 내의 퇴사위 결정 방법은 비교적 높게 산정되는 수평퇴사법을 주로 적용하고 있지만, 댐 저수지의 퇴사위는 정확하게 계획되어야 하며, 이는 댐 생애주기 평가 차원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을 위해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RMA-2와 연계된 SED-2D의 모형에 의한 방법, 수평퇴사법, 면적증분법(area increment method), 경험적면적감소법(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 퇴사위 결정을 위해 이를 산정하여 2007년 기준 실측 퇴사위와 비교하였다. 또한, 현재 및 미래 퇴사위를 예측하여 각 방법별로 경향과 추이를 분석하였다. 실측 퇴사위와 산정된 퇴사위를 비교한 결과, 경험적면적감소법이 실측값과 가장 근사하게 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현재 및 미래의 퇴사위는 전반적으로 과거 퇴사위의 경향과 추이를 따라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경험적 면적감소법의 이용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고, 모형에 의해 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