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ck Siz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초

Variance Components and Genetic Parameters Estimated for Fat and Protein Content in Individual Months of Lactation: The Case of Tsigai Sheep

  • Oravcova, Mar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170-175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variance components and genetic parameters for fat and protein content in Tsigai sheep using multivariate animal models in which fat and protein content in individual months of lactation were treated as different traits, and univariate models in which fat and protein content were treated as repeated measures of the same traits. Test day measurements were taken between the second and the seventh month of lactation. The fixed effects were lactation number, litter size and days in milk. The random effects were animal genetic effect and permanent environmental effect of ewe. The effect of flock-year-month of test day measurement was fitted either as a fixed (FYM) or random (fym) effect. Heritabilities for fat content were estimated between 0.06 and 0.17 (FYM fitted) and between 0.06 and 0.11 (fym fitted). Heritabilities for protein content were estimated between 0.15 and 0.23 (FYM fitted) and between 0.10 and 0.18 (fym fitted). For fat content, variance ratios of permanent environmental effect of ewe were estimated between 0.04 and 0.11 (FYM fitted) and between 0.02 and 0.06 (fym fitted). For protein content, variance ratios of permanent environmental effect of ewe were estimated between 0.13 and 0.20 (FYM fitted) and between 0.08 and 0.12 (fym fitted). The proportion of phenotypic variance explained by fym effect ranged from 0.39 to 0.43 for fat content and from 0.25 to 0.36 for protein content.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 months of lactation ranged from 0.74 to 0.99 (fat content) and from 0.64 to 0.99 (protein content). Fat content heritabilities estimated with univariate animal models roughly corresponded with heritability estimates from multivariate models: 0.13 (FYM fitted) and 0.07 (fym fitted). Protein content heritabilities estimated with univariate animal models also corresponded with heritability estimates from multivariate models: 0.18 (FYM fitted) and 0.13 (fym fitted).

Reproductive Performance of Three Iranian Sheep Breeds

  • Kiyanzad, M.R.;Panandam, J.M.;Emamjomeh Kashan, N.;Jelan, Z.A.;Dahlan, 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11-14
    • /
    • 2003
  • To evaluate the ewe reproductive performances of three Iranian local sheep breeds, namely Moghani, Chal and Zel, 27 rams and 473 ewes were used as the foundation flock in a crossbreeding program. The three breeds were crossed amongst themselves reciprocally. Ram breed and ewe breed showed a two-way interaction on apparent fertility. The Zel ewes showed higher fertility than the Chal and Moghani ewes (94.4 vs 77.3 and 84.6%). Prolificacy among main and individual mating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Zel ewes were 22.3 and 14.8% more reproductive (p<0.05) than Chal and Moghani ewes, respectively. Zel and Moghani ewes showed higher (p<0.05) ewe productivity than Chal ewes. Ram breed had a significant (p<0.05) effect on ewe efficiency. The Zel rams were not completely successful to mate with Chal ewes, this caused a to way-interaction between ram and ewe breeds. The Zel ewes mated with Chal and Moghani rams showed 26.1 and 28.5% more efficiency than those mated with Zel rams. This observation strongly supports the use of crossbreeding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Zel ewes. With decreasing lamb mortality, through supplemented feeding of lambs in pre-weaning period, and increasing litter weight, through crossbreeding, it should be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Zel ewes even better than Chal and Moghani ewes. Small body size of Zel ewes that needs the lower maintenance requirements would be a well advantageous to using Zel ewes as the dam herd to produce commercial lambs in north area of Iran.

닭 전염성 기관지염을 검출하기 위한 합병혈청의 표본크기 (Sample size of pooled sera for detection of chicken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nfection)

  • 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03-607
    • /
    • 2007
  • 계군 수준에서 닭 전염성 기관지염(IBV)을 검출하는데 필요한 표본크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강원도 충북 및 충남 지역의 총 9,980수의 산란계로부터 회수된 총 48회의 혈청시료를 사용하였다. 의뢰된 모든 혈청에 대해서는 개별 시료와 크기가 10인 합병혈청(pool)으로 구분하여 HI 역가를 측정하였다. 적어도 1개의 감염된 pool을 검출하는 것을 95%신뢰하기 위해서는 총 48회의 의뢰건 중 5개 이하의 pool이 요구되는 비율이 72.9%를 차지하였고 90% 신뢰수준에서는 77.1%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필요한 pool의 개수는 양성 pool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개별시료에서 양성판정을 위한 HI 역가의 기준을 9 이상과 10 이상으로 설정할 때 혈청 유병율은 각각 50.1%와 33.4%로 나타났으며, 합병혈청에 대한 양성 판정기준을 8 이상으로 설정할 경우 59.9%로 분석되었다. 매 의뢰된 시료에서 개별시료와 합병혈청 간의 상관계수는 판정기준 9 이상에서 0.592(p<0.001), 10 이상에서 0.561(p<0.001)로 두 상관계수간 차이가 없었고 공통상관계수는 0.576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IBV 감염증을 검출하기 위하여 합병혈청을 사용하는 전략은 조사의 목적이 계군의 감염여부에만 관심을 두는 경우 한가지 대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Dietary crude protein levels during growth phase affects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but not reproductive efficiency of adult male Japanese quails

  • Retes, Pamela Lacombe;Neves, Danusa Gebin das;Bernardes, Laryssa Fernanda;Alves, Victoria Veiga;Goncalves, Natalia de Castro;Lima, Diego de Rezende;Alvarenga, Renata Ribeiro;Pereira, Barbara Azevedo;Seidavi, Alireza;Zangeronimo, Marcio Gilberto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3호
    • /
    • pp.385-398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dietary crude protein (CP) levels during the growth phase on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efficiency as well as the body development of adult male Japanese quail. Methods: Three hundred one-day-old male quails were distributed into five treatments with diets containing different CP levels (18%, 20%, 22%, 24%, and 26%)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six replicates of ten birds each. The CP diets were applied only during the growth phase (1 to 35 days). At 36 days of age, the birds were transferred to 30 laying cages with three males and nine females each, and all birds received the same diet formulated to meet production-phase requirements until 96 days of age. Results: The growth rate of the birds increased linearly (p<0.01) with increasing dietary CP, but the age of maximum growth decreased (p<0.05). At growth maturity, all birds had the same body weight (p>0.05). At 35 days of age, higher weight gain was obtained (p<0.05) with diets containing 22% CP or higher. No effects on feed conversion were observed in this phase. The increase in dietary CP enhanced (p<0.01) nitrogen intake and nitrogen excretion but did not affect (p>0.05) nitrogen retention. Testis size, seminiferous tubular area, number of spermatogonia, and germinal epithelial height at 35 days of age increased linearly (p<0.05) with dietary CP, while the number of Leydig cells decreased (p<0.01). The Sertoli cell number at 60 days of age increased linearly (p<0.01) with dietary CP. Dietary CP levels did not affect cloacal gland size, foam weight, foam protein concentration, semen volume, or flock fertility at 90 days of age. Conclusion: Dietary CP concentration affected body and testicular development in male Japanese quails but did not affect reproductive efficiency.

서식지 교란 및 민간인통제지역 해제에 의한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핵심서식지 변화 (The change of core habitats of the cranes due to release of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and construction disturbance)

  • 유승화;정화영;김경순;유동수;김남신;김화정;허위행;김진한;이기섭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4호
    • /
    • pp.301-316
    • /
    • 2015
  •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인간에 의한 교란에 취약한 조류이다. 본 연구는 두루미류의 월동지인 철원의 민간인통제지역 중 일부 해제지역의 서식밀도 변화를 비교하여 그 중요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사 및 비닐하우스 건설 등 교란에 의해 두루미류 핵심서식지역 범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민간인통제지역 내에서의 공사 및 개간은 두루미류의 핵심서식지를 위축시키고, 원거리의 핵심서식지 면적을 증대시키는 영향이 있었다. 민간인통제지역의 개방은 2011년 3월에 이루어졌는데, 그 이전 이후의 3년간을 비교할 때 비닐하우스의 건립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민간인통제지역에서 해제된 지역은 비닐하우스의 건설이 집중적으로 증가하였고 개별 비닐하우스의 규모도 증가하였으며 이에따라 두루미의 취식영역이 감소하는 영향이 있었다. 하지만 민간인통제지역에서 해제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두루미의 취식밀도는 감소하지 않았고, 재두루미의 취식밀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는데, 이는 인근의 잠자리지역에 먹이를 공급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민간인통제지역이 추가적으로 해제될 경우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조개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관한 연구 IV. 백합(Meretrix lusoria)에서 검출되는 Himasthla kusasigi YAMAGUTI, 1939에 대하여 (Studios on a Trematode Parasitic in Bivalves IV. On the Metacercaria of Himasthla kusasigi YAMAGUTI, 1939(Trematoda) found in the clam, Meretrix lusoria Roding)

  • 김영길;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1-67
    • /
    • 1984
  • 서해안 내초도 및 부안돈지산 백합의 족부 근육내에서 Himasthla kusasigi의 피낭유충을 다량 검출하고, 충체의 형태와 기생률을 조사하였고, 검출된 피낭유충을 괭이갈매기에 먹여 10일, 25일후 충체를 분리함으로써 동흡충의 감염 경로를 규명하였다. 검출된 피낭유충의 크기는 $210{\sim}230{\times}220{\mu}m$, 탈낭된 유충은 $420{\times}160{\mu}m$이며, 두극은 좌우 우극을 포함하여 31본이다. 구흡반은 $52{\times}52{\mu}m$이고, 복흡반은 $112{\times}100{\mu}m$으로서 충체의 후방에 위치하며 식도는 가늘고 길며, 장은 복흡반 상단에서 좌우로 분지되어 중체 후단에 까지 달한다. 내초도산 백합 448개중 441개, 부안산 123개중 118개가 감염되어 각각 $98.43\%,\;95.93\%$의 감염률을 나타낸 반면에 서산산은 동흡충이 검출되지 않았다. 조개의 크기가 클수록 기생충수가 많았고, 최고 99개(각장 6.64cm), 최저 1개(각장 2.05cm)이었다. 조개에서 얻은 피낭유충 120개를 괭이갈매기에 먹여25일후 102개의 성충을 장에서 분리하였다. 이 성충은 크기가 $4.8{\sim}7.5{\times}0.22{\sim}0.24mm$이었고, 구흡반은 $68{\sim}120{\times}70{\sim}120{\mu}m$, 인두는 $80{\times}50{\mu}m$, 복흡반 $630{\sim}680{\times}610{\sim}680{\mu}m$, 두관부는 $48{\sim}75{\times}10{\mu}m$의 두극 31개가 배열되어 있다. 충난은 $92{\sim}95{\times}58{\sim}60{\mu}m$의 크기이다. H. kusasigi의 제이중간숙주는 백합이며 종숙주는 괭이갈매기 및 삑삑도요새이다.

  • PDF

산란계의 전염성 기관지염을 예측하기 위한 인공신경망 모형의 개발 (Development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Predict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nfection in Laying Hen Flocks)

  • 박선일;권혁무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5-110
    • /
    • 2006
  • 2003년 5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산란계의 전염성기관지염(IB) 예찰 프로그램에 등록한 농장에 대한 역학조사에서 얻은 자료에 근거하여 IB 감염을 확인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16개의 입력 뉴런, 3 개의 은닉 뉴런, 1개의 출력 뉴런으로 구성된 3층 인공신경망 모형을 개발하였다. 총 86개의 계군 중 77개는 훈련자료에 할당하고 나머지 9개는 검정자료로 무작위로 할당하여 back-propagation algorithm으로 신경망 훈련을 수행하였다. 입력 뉴런은 산란계군의 특성, 사양관리, 계군의 크기 등 16개의 역학조사 항목을 사용하였으며 출력 뉴런은 IB 감염의 유무로 투입하였다. 훈련된 신경망을 검정자료에 적용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산출하였으며 진단의 정확도는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곡선을 사용하여 곡선 밑의 면적(AUC)을 계산하여 평가하였다. 입력 뉴런의 특성과 훈련모수를 변경하면서 다양한 신경망을 구성하였으며 최적의 신경망으로 확인된 IBV_D1 신경망의 경우 훈련자료에 대하여 77건 중 73건을 올바르게 판단하여 94.8%의 정확도를 보였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95.5% (42/44, 95% CI, 84.5-99.4)와 93.9% (31/33, 95% CI, 79.8-99.3)로 나타났다. 훈련된 신경망을 검정자료에 적용하여 ROC 곡선을 작성한 결과 AUC는 전체의 94.8% (SE=0.086, 95% CI 0.592-0.961)를 차지하는 우수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ROC 곡선에서 기준을 0.7149 이상으로 판단할 때 진단의 정확도가 88.9%로 가장 높았으며 100%의 민감도를 달성하였다. 이러한 민감도와 특이도에서 44%의 IB 유병률을 가정할 때 IBV_D1 모형은 80%의 양성예측도와 100%의 음성예측도를 보였다. 이러한 소견에 근거할 때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신경망 모형은 산란계군에서 IB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 성공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