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xor tend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5초

Frequency analysis of the tonic vibration reflex of the hand flexor muscles

  • 박희석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9-51
    • /
    • 1994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firs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vibration displacement amplitude $(200{\mu}m, 300{\mu}m peak-to-peak)$ at selected frequencies (40-200Hz) on a commonly observed but often undesired motor response elicited bylocal vibratory stimulation, the Tonic Vibration Reflex (TVR). Second, to determine the degree of synchronization of motor unit (MU) activity with vibratory stimuli. Vibration was applied to the distal tendons of the hand flexor muscles. Changes in root- mean-squar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of the finger and wrist flexor muscles were analyzed both as a function of their initial contraction level (0%, 10%, 20% of the maximal voluntarycontraction: MVC) and as a function of the vibration paramet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VR increased with the initial muscle contraction up to 10% MVC: The TVR increased with vibration frequency up to 100-150 Hz and decreases beyond; A significant increase of the TVR with vibration displacement amplitude was observed only for the wrist flexor muscle; MU synchronization at vibration frequency (VF) was found more often in the low frequency range $(f{\leq}100 Hz)$ and tended todecrease beyond; In the high frequency range $(f{\geq}120 Hz)$, MU activity at subharmonic frequency was predominant; The "cut-off" frequency of the synchronization with VF was neither affected by the vibration displacement amplitude nor initial muscle contraction level. The surface EMG turned out to be a useful means to analyze MU synchronization since it is noninvasive, and it can be easily used for analysis of different muscle contraction levels, while single MU technique might have some difficulties at high muscle contraction levels. Furtherm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gh frequencyvibration (f>150 Hz) tends to induce less muscle/tendon stress and MU synchronization. Such remarks are of importance for the design of hand-held vibrating tools.ing tools.

  • PDF

고전압맥동전류자극에 의한 생검 건의 세포 이동 및 증식 증진 (Enhance of Migration and Proliferation of Cells from Tendon Biopsies by High Voltage Pulsed Current Stimulation)

  • 이재형;제갈승주;박래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2호
    • /
    • pp.162-171
    • /
    • 2002
  • 본 연구는 고전압맥동전류자극이 생검 건의 세포 이동 및 증식의 증진 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닭의 심지굴근건을 적출하고 직경 2mm의 생검하여 배양하였다. 생검 건에 100 pps, 50V로 30분간 음극으로 고전압맥동전류자극한 후 생검 건을 피브린로 피복하고 6일간 배양한 후 세포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고 7일 후 세포증식능을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고전압맥동전류자극군의 세포 이동 거리 및 흡광도를 t-검정한 결과 고전압맥동전류자극군의 세포 이동 거리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2.675, p<0.05), 흡광도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2.136, p<0.05). 이러한 결과는 고전압맥동 전류자극이 생검 건 섬유모세포의 성장과 증식을 유발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고전압맥동전류자극이 섬유모세포의 세포반응을 활성화시켰음을 시사하고 있어 고전압맥동전류자극의 건손상 치유 기전의 일부를 제시하였다.

  • PDF

사람에 있어 족소음경근의 해부학적 고찰 (Anatomical Study on the Foot Soeum Meridian Muscle in Human)

  • 박경식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9권2호
    • /
    • pp.239-249
    • /
    • 2012
  • 본 연구는 족소음경근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문헌 해석과 인체의 층별 해부를 통하여 해부학적 관점에서 관찰해 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본 연구 결과 족소음경근의 구성요소와 분석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와 다소 차이를 보여준다. 2. 족소음경근의 경로와 병증 증상 등을 고려할 때 족소음경근은 근육, 근막, 인대, 그리고 관련 신경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보인다. 3. 족소음경근의 분포는 경락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나 일치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치골부위 이상의 부위에선 그러할 것으로 사료된다. 4. 이론적으로 MPS와 Anatomy train 같은 가설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 보이며 굳이 관련시켜 생각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Ultrasonographic Evaluation of Canine Tarsus

  • Soomin Park;Sang-hwa Ryu;Jae-gwan Heo;Eun-jee Kim;Jihye Choi;Junghee Yoo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9-87
    • /
    • 2024
  • The tarsus in dogs has a complex structure that makes its evaluation relatively challenging. Because an accurate diagnosis of the tarsus is difficult through basic examinations alone, imaging tests are essential.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the anatom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of the canine tarsus using several imaging modalities. However, the imaging utility of the tarsus across different modalities has not been thoroughly evaluated. This study aimed to visualize the tarsal structure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ultrasonography, compare their utility, and propose suitable imaging modalities and conditions for evaluating specific tarsal structures.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ultrasound scans of the tarsus of four healthy dogs were performed, and two observers rated the utility of each image on a five-point scale. Although MRI is more beneficial for assessing the tarsal structures than ultrasound, ultrasound also appears clinically useful for evaluating the cranial tibialis muscle, deep digital flexor tendon, subcutaneous fat, joint space, and superficial digital flexor tendon. In addition, each structure of interest can be evaluated for optimal visibility using specific ultrasound sections, MRI sequences, and planes. In veterinary clinical practice, an initial assessment using ultrasound imaging with optimal visibility is required and if further evaluation is necessary, MRI examinations with optimal MRI sequences and planes can be performed.

자가 슬건을 이용한 재건술: 장점, 단점, 슬건의 재생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Autograft : Advantage, Disadvantage, Hamstring Regeneration)

  • 김진구;최정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2-101
    • /
    • 2010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자가 슬건과 자가 슬개건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자가 슬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높은 최대 인장 강도, 낮은 공여부 이환률, 이식건의 고정 방법의 발전과 같은 장점 때문으로 보인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위해 슬건을 채취 후 슬건이 실제로 재생된다는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장점을 크게 부각시켰다. 그러나 내 회전력의 약화와 굴곡력의 감소와 같은 단점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러한 굴곡력의 감소에 대해서 논쟁이 있으며, 과연 슬건의 재생 후에 굴곡력을 회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종설에서는 자가슬건의 장점과 단점, 슬건의 재생에 관한 최근의 연구를 고찰하고 저자들의 연구와 경험을 정리하여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였다.

  • PDF

양측 손목의 힘줄에 생긴 미만형의 건활막거대세포종 (Diffuse-Type Tenosynovial Giant Cell Tumor of the Tendon Sheath in Both Wrists)

  • 허선아;박선영;서진원;고성혜;이인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250-254
    • /
    • 2021
  • 건활막거대세포종은 이전에 색소성융모결절성 활막염으로 불리던 질환으로, 활막, 점액낭, 힘줄 등에 생기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미만형의 건활막거대세포종은 국소형에 비해 드물고 그중에서도 관절 외에 발생하는 것은 더 드물다. 또한 대부분은 하나의 관절을 침범하기 때문에 양측을 대칭적으로 침범한 것도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64세 여자 환자에서 양측 손목의 신전건과 굴곡건을 모두 침범한 관절 외 미만형의 건활막거대세포종의 증례에 대해 초음파와 자기공명영상검사 소견을 중심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건수초섬유종에 의해 유발된 손목터널증후군: 비전형적인 임상 소견에 대한 증례 보고 (A Fibroma of Tendon Sheath Causing Carpal Tunnel Syndrome: A Case Report of an Atypical Clinical Presentation)

  • 고아라;이근영;김수진;이재성;황혜원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600-1605
    • /
    • 2021
  • 힘줄의 섬유종은 천천히 자라는 양성 종양이다. 드물지만, 상지에 생길 수 있고 특히 손가락 굽힘 힘줄에 잘 생긴다. 섬유종은 대부분 경계가 좋은 원형 혹은 타원형의 종괴로 보이며, 풍부한 섬유조직에 의해 자기공명영상의 모든 영상에서 어둡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의 섬유종은 무증상의 종괴로서 나타나지만, 드물게 증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우리는 손목의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해 손목터널증후군을 유발하는 힘줄의 섬유종과, 그와 관련된 영상 소견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수부에서 발생한 건초의 거대 세포종 (Giant Cell Tumor of Tendon Sheath in Hand)

  • 강호정;김기학;신규호;한수봉;강응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0-27
    • /
    • 2001
  • 목적 : 건초에서 생긴 거대세포종은 수부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 두 번째로 흔하나 절제술 후에 재발이 드물지 않으며 국내에서의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완관절부를 포함한 수부에 생기는 건초의 거대세포종의 임상적 특성과 수술적 치료후 결과를 분석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8년까지 수부에서 발생한 종물로 절제생검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조직병리학적으로 건초의 거대세포종으로 진단받은 총 38명, 41예에 대해 성별, 나이, 증상, 증상발현기, 종양이 발생한 부위, 발생한 건, 크기, 다발성 여부, 양측성 여부, 방사선학적 소견 및 골 침범, 재발여부 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추시기간은 평균 13.1개월(5~40개월)이었다. 결과 : 38명 중 여자에서 29명으로 빈발하였고, 발생연령은 6세에서 66세까지 다양하였으나 50대에서 12례로 가장 호발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0.1세였다. 지배수지와 비지배수지의 발생경향은 비슷하였고(17례:21례), 모두 일측성이었다. 신전건(17례)보다 굴곡건(24례)에서 더 호발하였으며 증상발현기는 2개월에서 120개월(평균 23.4개월)이었다. 증상으로 대부분 무통성 종물을 호소하였으나, 5례에서 압통, 36례에서 운동장애, 5례에서 압박에 의한 신경증상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재발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가 3례였다. 부위별 발생빈도는 수지에서 36례, 수장부에서 3례, 완관절부위 장측에서 2례 순으로 빈발하였으며, 수지별 발생빈도는 인지에서 14례(34%)로 가장 많았고, 엄지가 10례(24%), 중지는 9례, 환지는 5례, 소지는 3례의 빈도순을 보였다. 수지상 발생부위는 원위지골간 관절부 및 중위지골부에서 20례(48.8%), 근위지골 및 근위지골간 관절부가 9례, 중수지절관절부가 7례 순으로 호발하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상 연부조직에 방사선 비투과적인 균일한 연부조직 음영을 보이고 있었고 3명에서 피질골 미란을 보였다. 37명에서 종양은 단발성 병변이었으나 이 중 4명에서 다엽상으로 넓게 분포하였고, 1명에서 다발성 병변을 보였다. 변연부 절제술후 재발된 경우가 2명으로 재발율은 5.1%였다. 결론 : 수부에서 발생한 건초의 거대 세포종은 호발조건으로 50대, 여성, 인지, 굴곡건, 수지 원위부를 추정해 볼 수 있었으며, 불완전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거나, 수술 후 재발한 경우, 다발성, 다엽상 소견을 보인 경우 재발이 잘 되므로 이 경우 광범위 절제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무지의 대능형중수간 관절의 아탈구에 대한 인대 재건술 (Ligament Reconstruction for Subluxation of the Trapeziometacarpal Joint of the Thumb)

  • 박진수;정영기;유정한;나경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4-140
    • /
    • 2004
  • 목적: 불안정성 무지수근중수관절의 손상을 가진 환자에서 전방사상 인대의 재건술을 권장하고 있다. 전방사상 인대손상을 요측수근굴근건을 이용해 치료받은 2명의 환자들의 기능적 결과를 후향적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사상인대 파열로 대능형중수관절의 불안정성을 지닌 2명의 환자가 요측수근굴건이식을 통해 재건술을 시행받았고 이환자들을 2년간 추시 분석하였다. 결과: 2년후의 추시 결과는 이들 모두 상당한 통증과 증상의 완화를 보였다. 건측에 비해 악력은 90$\%$로 회복되었다. 환자들은 주관적인 호전을 보였으며 "만약 이처럼 다친다면 다시 이러한 수술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결론: 이러한 손상에 대한 향상된 지식 을 통해 조기 진단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 환자가 적절히 처치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손과 발에 생긴 석회화 건염: 4예 보고 (Calcific Tendinitis of the Hand and Foot: A Report of Four Cases)

  • 이형욱;이영환;문성희;강웅래;이채경;서경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6권2호
    • /
    • pp.177-183
    • /
    • 2012
  • 손과 발의 석회화 건염은 드문 질환으로, 임상 양상이 감염 등의 다른 질환과 유사하기 때문에 흔히 오진할 수 있다. 병변의 특징적 위치와 영상 소견을 잘 이해하는 것이 병의 정확한 진단에 중요하다, 저자들은 단족무지굴근, 소지외전근, 그리고 단무지외전근에 생긴 4예의 석회화 건염을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