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xible endoscopy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2초

개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경위장관 담낭절제술 1예 : 자연개구부 내시경수술 (Transgastric Endoscopic Cholecystectomy in a Dog :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 정성목;김영일;이재연;지현철;박지영;박종헌;김지연;이상일;김명철;신상태;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5-319
    • /
    • 2007
  • 1년령, 암컷, 15 kg의 잡종견에서 위내시경을 이용한 경위장관 담낭절제술을 최소한의 복강경 도움아래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내시경용 바늘 절개도를 이용하여 배쪽 유문부에서 위절개를 실시하였다. 위절개부를 통하여 내시경을 복강내로 진입한 다음 뒤쪽으로 돌려서 담낭쪽 시야를 확보하였다. 술야의 확보를 위해 복강경용 겸자를 이용하여 담낭의 바닥부위를 부드럽게 들어올렸다. 담낭관과 동맥을 내시경용 endoclip을 이용하여 3중 결찰하였다. 담낭관과 동맥을 절단한 후 내시경용 소작겸자와 바늘 절개도를 이용하여 담낭을 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담낭은 내시경을 이용해 입을 통하여 제거하고, 위절개부위는 내시경용 endoclip을 이용하여 봉합하였다. 술후 3일째 방사선검사 및 혈청화학검사를 통해 위봉합부위의 천공이 없음과 담즙의 누출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술후 16일째 위내시경과 복강경 검사를 실시하였다. 위내시경검사 결과 봉합부위가 완전히 유합 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복강경 검사를 통해 담낭절제부위와 위절개부의 장막에 대망막이 유착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개에서 자연개구부 내시경수술(NOTES)을 이용한 담낭절제술의 최초 보고로써 새로운 방법에 의한 담낭절제술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성인 수도관 폐쇄증에 대한 내시경적 제3뇌실 누공술 : 이중개창술 - 증례보고 및 수술수기 - (Endoscopic Third Ventriculostomy for Adult Aqueduct Stenosis : Double Fenestration - A Case Report and Technical Note -)

  • 심용진;하호균;정호;김용석;박문선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8호
    • /
    • pp.1019-1023
    • /
    • 2000
  • Objective : Endoscopic third ventriculostomy is gaining popularity as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option for certain types of hydrocephalus as an alternative to shunting. The authors have tried to fenestrate down to the subdural space passing through the prepontine cistern to lessen or avoid the chance of redoing due to healing. Materials and Method : A 48-year-old male patient with several years of intractable headache was presented. Magnetic Resonance Image(MRI) of the brain revealed marked ventricular dilatation with stenotic cerebral aqueduct. A 2.3mm flexible steerable endoscope($Neuroview^{(R)}$) was introduced via precoronal route and accessed to the third ventricular floor. Using 3-French Fogarty balloon catheter, thin third ventricular floor and the arachnoid membrane of the prepontine cistern were fenestrated, so called "double fenestration". To confirm the fenestration, subdural compa-rtment of the left abducens nerve was identified during the procedure. Forceful pulsating flow through the orifice convinced the patency of the opening. Results :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the third postoperative day without an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postoperative follow-up MRI of the brain, at second and sixth months, clearly demonstrated the flow void through the third ventricular floor. Conclusions : Endoscopic third ventriculostomy was successfully performed on an adult hydrocephalus patient with aqueduct stenosis. The third ventricular floor and arachnoid membrane of the prepontine cistern were fenestrated to achieve double fenestration to minimize the chance for failure. The details of this procedure and results are described.

  • PDF

Transanal Tube Drainage as a Conservative Treatment for Anastomotic Leakage Following a Rectal Resection

  • Shalaby, Mostafa;Thabet, Waleed;Buonomo, Oreste;Di Lorenzo, Nicola;Morshed, Mosaad;Petrella, Giuseppe;Farid, Mohamed;Sileri, Pierpaolo
    • Annals of Coloproctology
    • /
    • 제34권6호
    • /
    • pp.317-321
    • /
    • 2018
  • Purpose: We evaluate the role of transanal tube drainage (TD) as a conserv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anastomotic leakage (AL). Methods: Patients treated for AL who had undergone a low or an ultralow anterior resection with colorectal or coloanal anastomosis for the treatment of rectal cancer between January 2013 and January 2017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prospectively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rimary outcomes were the diagnosis and the management of AL. Results: Two hundred thirteen consecutive patients, 122 males and 91 females, were included. The mean age was $66.91{\pm}11.15years$, and the median body mass index was $24kg/m^2$ (range, $20-35kg/m^2$). The median tumor distance from the anal verge was 8 cm (range, 4-12 cm). Ninety-three patients (44%) received neoadjuvant therapy for nodal disease and/or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Only 13 patients (6%) developed AL. Six patients developed subclinical AL as they had a defunctioning ileostomy at the time of the initial procedure. They were treated conservatively with TD under endoscopic guidance in the endoscopy unit and received intravenous antibiotics. Six weeks after discharge, these 6 patients underwent follow-up flexible sigmoidoscopy which showed a completely healed anastomotic defect with no residual stenosis. Seven patients developed a clinically significant AL and required reoperation with pelvic abscess drainage and Hartmann colostomy form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D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L is safe, cheap, and effective. Salvaging the anastomosis will help decrease the need for Hartmann colostomy formation. Proper patient selection is important.

소아의 위장관 이물에 대한 고찰 (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Review of 96 Cases)

  • 이민혜;강기수;정혜성;서지현;임재영;박찬후;최명범;우향옥;윤희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2호
    • /
    • pp.136-142
    • /
    • 2002
  • 목 적: 위 이하의 소화관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이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자연 배출을 기다리거나 제거를 요하는 치료를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15년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상부 소화관 이물로 진단 받은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있었던 경우를 자연 배출이 되었던 경우와 내시경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의 이물의 위치, 임상 증상, 방사선 소견, 이물을 삼킨 후 내원까지 걸린 시간,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방 법: 1987년 2월부터 2002년 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이불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0~15세 소아 환아 220명 소아 중 이물이 위 이하의 소화관에 위치했던 경우 96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이물연하를 주소로 내원한 220명 중 내원당시 위나 소장 이하의 부위에 이물이 있었던 경우는 96례였다. 호발 연령은 2~5세였으며, 남아 60명, 여아 36명이었다(남 : 녀=1.66 : 1) 무증상이였던 경우가 62례(64.5%)였고 나머지에서는 구토, 이물감, 복통, 흉통, 보챔 등의 증상이 있었다. 방사선 검사로 이물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경우는 81례(86%)였고, 이물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여 바륨 조영술을 시행한 경우가 1례, 내시경적으로 위치를 확인한 경우가 37례였다. 이물이 발견된 위치로는 위가 71례로 가장 많았으며, 소장 및 대장에서 발견되었던 경우는 25례였다. 이물의 종류는 동전(40%)이 가장 많았고, 핀과 같은 날카로운 물질이 27례 있었다 치료로 상부 소화관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가 37례(38.5%)였으며, 4례에서는 전신마취 하에 수술로 제거하였다. 55례에서 자연 배출을 기다렸다. 자연 배출을 지켜본 경우 55례 중 37례가 이불 연하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내원한 경우로 가장 많았다. 24시간 이후에서 2주 사이에 내원한 경우 위내에 이물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면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이물을 제거하였다 이물 연하의 합병증으로는 출혈, 미란, 궤양, 미세천공, 장폐색이 있었으나 빈도는 적었다. 결 론: 본 저자들은 15년 간의 위 이하의 소화관 이불 96례에 대한 고찰한 결과 소아용 위장관 내시경의 발전으로 상부 위장관 이물의 진단과 치료가 용이해졌음을 알 수 있었으나 자연배출을 기다려볼 수 있는 상황에서도 내시경을 이용한 제거가 증가하였는데 이에 대한 타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