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r-related component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8초

품종별 쇠고기의 풍미특성과 기호성 비교 (Comparison of Flavor Characteristics and Palatability of Beef Obtained from Various Breeds)

  • 박형일;이무하;정명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00-506
    • /
    • 1994
  • 한우육(1등급), 유우육, 교잡종우육 및 호주산 수입우육의 등심부위를 구입하여 각종의 쇠고기 품질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연도, 다즙성 및 풍미에 관련되는 성분을 분석함과 아울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풍미에 관련되는 화학적 성분들로서는 비단백태질소, 핵산물질,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등을 분석하였고 쇠고기의 연도 측정을 위해 Hydroxyproline, 보수력, 근내지방함량 분석 및 Instron을 이용한 연도측정을 하였다. 또한 쇠고기의 기호성 및 풍미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주관적 평가방법인 삼점검사와 정량적 묘사분석을 수행하였다. 풍미에 관련되는 비단백태질소, 핵산물질, 지방산, 유리아미노산 등을 분석한 결과, 비단백태질소는 한우육이 가장 낮아 도살후 저장기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판단되며, 핵산물질은 한우육이 가장 높았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한우육이 가장 낮았으나 염기성 아미노산과 방향족 아미노산의 상대적 비율은 가장 높았던 반면, 황함유 아미노산의 함량은 수입육이 가장 높았다. TBA가(價)는 한우육이 가장 낮았고, 지방산의 구성을 볼 때 한우육의 불포화지방산 비율은 수입우육이나 유우육보다 높았으나 교잡종우육과는 비슷하였다. 연도는 Instron을 이용한 경도측정에서 수입우육과 교잡종우육이 한우육과 유우육보다 질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콜라젠 함량은 유우육이 가장 높았고 한우육이 가장 낮았다. 다즙성을 부분적으로 반영하는 보수력은 한우육이 가장 높았고 아울러 pH도 가상 높았다. 근내지방함량도 한우육이 가장 높아 다즙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triangle test에서는 한우육과 수입우육, 한우육과 교잡종우육, 수입우육과 교잡종우육간의 차이를 관능검사요원들이 구별하였다. 그러나 정량적 묘사분석 결과 다즙성을 제외하고는 냄새, 풍미, 연도에서 품종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우의 비휘발성 풍미성분은 다른 쇠고기 시료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음에도 불구하고 주관적 기호성 평가에서는 유의차를 나타내지 못했다. 이것은 한국인들이 아직 쇠고기 품질 특성에 대한 객관적 평가기준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 여러가지 쇠고기간의 비교평가는 할 수 있지만, 개별 쇠고기에 대한 절대평가는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식품소재로서 굴통조림 가공부산액의 성분 특성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anned Oyster Processing Waste Water as a Food Resource)

  • 김진수;허민수;염동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9-306
    • /
    • 2001
  • As a part of basic investigation for utilization of canned food processing by-products, a food components of the canned oyster processing waste water such as boiled and released water(BRW), wash water(WW)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hot-water extracts from oyster. From the results of measuring heavy metal conte수, viable cells and coliform group, the canned oyster processing waste waters might not invoke health risk in using food resource. The contents of taste compounds (free amino acids, ATP related compounds, TMA (O) and total creatinine) of BRW and WW accounted for about 254% and 95%,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ose of control (hot-water extract from oyster). The BRW showed a very high content of salt in comparing to the WW and control. In descending order, the values of whiteness index was WW, control and BRW. Sensory scores for color, oyster flavor intensity and saline tas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WW and control. But, BRW had the highest score in oyster flavor intensity, while had the lowest score in color and saline taste. But, the color and saline taste of BRW might be able to control by some pretreatment (concentration and drying in mild condition, desalination and recipe control etc).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BRW and WW generated from various step during canned oyster processing could be a potential food resource by controlling of saline taste and color intensity.

  • PDF

감귤과피분말 및 건 표고버섯을 첨가한 돈육 소시지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Sausages with Added Citrus Peel and Dried Lentinus edodes Powders)

  • 김정현;최주락;김민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623-1630
    • /
    • 2011
  • 감귤과피 및 건 표고버섯을 첨가하지 않은 소시지를 대조군으로, 감귤과피분말 0.5%(C1), 1.0%(C2), 2.0%(C3), 건표고버섯 0.5%(L1), 1.0%(L2), 2.0%(L3) 그리고 감귤과피분말 및 건표고버섯 혼합군 0.5%(CL1), 1.0%(CL2), 2.0%(CL3)를 첨가하여 소시지의 품질 및 관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수분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회분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pH와 색도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특성을 이용한 조직감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소시지 관능특성 중 8개의 특성들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제1주성분(PC1)과 제2주성분(PC2)의 변동은 58.96%와 23.08%로 총 변동의 82.04%가 설명되었다. 관능적 특성에 따른 제1주성분은 향미 특성인 짠맛, 신맛, 감귤향과 부서짐성, 돼지고기향, 단맛 그리고 부패취 3부분으로 관찰되었다. 제2주성분은 향미와 부패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분석(PCA)결과 소시지 제조 시 0.5~1% 건 표고버섯 첨가는 단맛과 돼지고기향과 관련되어 있으며, 감귤과 피분말 첨가는 신맛과 짠맛을 만드는 주요한 성분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적 특성과 기계적 물성 강도 간 부분최소평방회귀분석(PLSR) 수행 결과, 제1주성분(T1)과 제2주성분(T2)이 각각 총 변동의 46.98%와 14.75%를 설명하여 총 변동의 61.73%를 설명되었으며 관능적 특성인 감귤향과 신맛, 짠맛, 색상이 양의 방향으로 높게 부하되어 있고, 감귤과피 분말 2.0%(C3) 및 감귤과피 분말 및 건표고버섯 혼합군 2.0%(CL3) 또한 T1에 대하여 양의 방향으로 부하되어 있었다.

자연치즈와 치즈향 농축물의 화학적, 관능적 분석에 의한 향미 비교 (Comparison of GC Profile and Sensory Properties of Fermented Cheese Flavor Concentrates and Cheese Varieties)

  • 한영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25-931
    • /
    • 1995
  • Cheddar, Emmentaler, Parmesan 그리고 Roquefort 치즈 등 자연 숙성 치즈와 지방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뒤 치즈향 농축물의 휘발성 향기 성분을 GC 및 관능적 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저급지방산이 그 특유의 향미를 나타내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성분으로 알려진 Parmesan 치즈향 농축물과 향미와 주성분으로 알려진 Cheddar 치즈향 농축물은 그 함량이 다른 시료 보다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따. 또한 메틸 케톤이 그 독특한 풍미의 결정적 온도가 되는 Roquefort 치즈의 경우는 제조시 lipase 및 P. roqueforti의 첨가로 메틸 케톤의 생성을 촉진시켜준 Roquefort 향 농축물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관능적 특성 차이를 비교한 결과 Cheddar, Emmentaler 그리고 Parmesan 치즈향 농축물이 sharpness, rancidity, soapy의 강도가 자연치즈 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 반면, Roquefort 향 농축물에 있어서는 acidity, fruitness 등이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GC profile과 관능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는 free fatty acid와 sharpness, rancidity, soap는 각각 0.8239, 0.8918, 0.7503 그리고 methyl ketone과 acidity, fruitness는 각기 0.9284, 09659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 PDF

청갓 김치의 휘발성 성분과 발효 숙성시의 변화 (Volatile Compounds of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Kimchi and Their Changes during Fermentation)

  • 표영희;김정수;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6-61
    • /
    • 2000
  • 청갓으로 만든 갓김치의 휘발성 화합물의 종류를 GC/FID와 GC/MSD를 사용하여 분리 동정하고, 발효 숙성 중 isothiocyanates와 그 유도체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청갓 김치의 수증기 증류물로부터 14종의 휘발성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그 중 hexadecanoic acid를 비롯한 acid와 nitromethane등의 hydrocarbons류가 전체의 63%이상을 차지하였다. 갓의 특징적인 자극성 성분으로 알려진 isothiocyanates와 유도체들의 함량은 전체화합물의 30%로, 2-phenylethyl isothiocyanate가 주요성분이었고, 그밖에 benzothiazole 2-methylbenzothiazole, 2-(3H)-benzothiazolone 등이 동정되었다. 청갓 김치의 발효숙성 중 isothiocyanates와 그 유도체들의 상대적 함량 변화는 저장4일 이후부터 뚜렷하게 감소되었으며, 그 중 2-phenylethyl isothiocyanate경우 저장 7일째에 50%이상, 저장 14일째에는 80%이상 소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roma Characteristics of Raw and Cooked Tenebrio molitor Larvae (Mealworms)

  • Seo, Hojun;Kim, Haeng Ran;Cho, In H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49-658
    • /
    • 2020
  • This study compared aroma compositions and sensory aroma attributes of raw and cooked Tenebrio molitor larvae (mealworms). Main sensory aroma attributes of raw mealworms were strong wet-soil-like, and less-intense oily, shrimp-like and sweet-corn-like. Quantitatively, the major aroma components of raw mealworms were hydrocarbons and aldehydes. As cooking proceeded, sweet-corn-like, roasted, and fried-oil-like sensory attributes were increasingly perceived with steaming, roasting, and frying, respectively. Some pyrazines, pyrrolidines, and carbonyls increased or appeared in roasted and fried mealworms.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also showed differences in raw and cooked mealworms based on aroma components and their sensory attributes. Unlike raw mealworms, steamed mealworms had a relatively strong sweet-corn-like aroma attribute, which was related to 2,4,6-trimethyl-heptane, 2,4-dimethyl-dodecane, and 3,5-dihydroxy-6-methyl-2,3-dihydropyran-4-one. In comparison, roasted and fried mealworms exhibited roasted, shrimp-like, and fried-oil-like aroma attributes, which were associated with intermediates of the Maillard reaction and lipid oxidation, such as pyrazines, alcohols, and aldehydes. This result during thermal reactions was very similar to those of meat and/or seafood. The use of mealworms as a savory-type flavor enhancer can be expected.

Limonene and Its Oxyfunctionalized Compounds: Biotransformation by Microorganisms and Their Role as Functional Bioactive Compounds

  • Junior, Mario Roberto Marostica;Pastore, Glaucia Mari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833-841
    • /
    • 2009
  • Monoterpenes, in special limonene and its derivatives, are well studied in the literature due to their several properties. They are well recognized as major components of essential oils; some of them, are important industry residues, and others present some important biological activities. In this review, the biotransformation of the inexpensive limonene into flavor compounds was briefly reviewed and the main pathways for limonene biotransformation are presented. Furthermore, some important biological properties of these compounds were also considered, like bactericidal activity, induction of immune response, and role in disease prevention, with a little emphasis on some possibilities related to the mechanisms of anticancer action.

가열시간별 가물치육 엑스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변화 (Effect of Heating Time on Contents of Amino Acids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Muscle Extract of Snakehead)

  • 한영실;김경진;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1-146
    • /
    • 1986
  • 엑스성분에 대하여 비교적 알려진 것이 적은 담수어 중 가물치를 시료로 하여 가열 시간별로 육액스분중의 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의 함량변화를 분석 검토하였다. 가물치의 생육중에는 glycine, taurine, glutamic acid, histidine이 특히 많은 함량을 보였고, 요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도 특기할 점이었다. 전술한 4 가지 성분이 전체아미노산 및 그 관련화합물중 약$53\%$를 차지하였다. 가열시간에 따른 전질소엑스분의 양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대체로 가열 120분까지는 대폭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관계를 보였다. 120분간의 가열에서 특히 현저한 증가를 보인 성분은 요소를 비롯하여 taurine, glycine, alanine, hydroxyproline, ${\beta}$-aminoisobutyric acid 등이었다. 엑스분을 가수분해한 결과, 일부의 성분은 증가하였으며, ethanolamine, lysine, 1-methylhistidine, phenylalanine, glutamic acid, taurine 등은 현저한 증가경향을 보였다.

  • PDF

α-amylase를 이용하여 제조한 쌀 페이스트의 품종에 따른 휘발성비휘발성 향미성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volatile and non-volatile flavor compounds in rice paste made by α-amylase according to cultivars)

  • 손은영;김혜원;김선아;이상미;백세희;김선희;서용기;박혜영;오세관;김영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83-291
    • /
    • 2017
  • 쌀은 전세계 인구의 절반이 주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 아시아에서 생산되고 소비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식생활이 다양해지면서 쌀 소비량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pha}$-amylase로 처리된 9종의 서로 다른 품종의 쌀 페이스트를 고체상 미세추출법과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프로파일링하고, 아미노산, 당류 및 당알콜 등의 비휘발성 향미성분들은 유도체화 처리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시간 비행형-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총 46종의 휘발성 성분들이 검출되었으며, 이에는 6종의 알콜류, 6 종의 알데히드류, 4종의 에스터류, 4종의 퓨란류, 4종의 케톤류, 1 종의 산, 1종의 황 함유 성분, 7종의 탄화수소류, 5종의 벤젠류 및 8종의 터핀류 등을 포함되어 있다. 비휘발성 향미성분들에는 12종의 아미노산, 6종의 당, 4종의 당알콜이 동정되었다. 휘발성 및 비휘발성 향미성분 분석에 근거한 주성분분석에 의해 서로 다른 쌀 페이스트 시료들을 구분할 수 있었다. 휘발성 성분의 경우 pentanal과 4,7-dimethylundecane는 서농 17호 백미와 서농 17호 현미를 구분 짓는 성분이었으며, 이에 비해 일품은 다른 품종들과 달리 ethanol, 6-methylhep-5-en-2-one, tridecane과 같은 성분에서 차이를 보였다. 비휘발성 성분의 경우 glycine, serine, ${\gamma}$-aminobutyric acid 같은 아미노산들과 sucrose, fructose 같은 당류가 다른 품종들과 단미를 구분 짓는데 기여하는 성분이었다. 한편, galactose, arabitol, mannose는 서농 17호 현미에 비해 서농 17호 백미와 관련이 높은 성분들이었다.

전자혀 및 다변량 분석법을 활용한 먹는물의 구별 방법 (Discrimination of the drinking water taste by potentiometric electronic tongue and multivariate analysis)

  • 김은주;황태문;구재욱;송재용;박홍경;남숙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25-435
    • /
    • 2023
  • Organoleptic parameters such as color, odor, and flavor influence consumer perception of drinking water quality.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taste of the selected bottled and tap water samples using an electronic tongue (E-tongue) instead of a sensory test. Bottled and tap water's mineral components are related to the overall preference for water taste. Contrary to the sensory test, the potentiometric E-tongu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distinguishes taste by measuring the mineral components in water, and the data obtained can be statistically analyzed. Eleven bottled water products from various brands and one tap water from I city in Korea were evaluated. The E-tongu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ools such as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H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PLS-DA). The results show that the E-tongue method can clearly distinguish taste discrimination in drinking water differing in water quality based on the ion-related water quality parameters.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that affect taste discrimination were found to be total dissolved solids (TDS), sodium (Na+), calcium (Ca2+), magnesium (Mg2+), sulfate (SO42-), chloride (Cl-), potassium (K+) and pH. The distance calculation of HCA was used to qua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12 different types of drinking water. The proposed E-tongue method is a practical tool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samples in water quality items related to the ionic components. It can be helpful in quality control of drinking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