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nol glycosid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8초

참느릅나무의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Ulmus parvifolia)

  • 문영희;임기룡
    • 생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
    • /
    • 1995
  • The bark of Ulmus parvifolia Jacq. (Ulmaceae)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gonorhea, edema, scabies and eczema marginatum. Previous investigations conducted with the heartwood and leaves have demonstrated it to contain sesquiterpenes as well as fat acids from the heartwood and flavonol glycosides from leaves. However, no phytochemical work has been done on the bark parts of this plant. Investigation of the phytochemical constituents in the barks of U. parvifolia has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sterols, sterol glucoside and a catechin glycoside, $(+)-catechin\;7-O-{\alpha}-{_L}-rhamnopyranoside$, all of which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Sterols were consisted of the three components, ${\beta}-sitosterol$, stigmasterol and campesterol in a ratio of 92.1:4.1:3.8, and sterol glucoside was identified as ${\beta}-sitosterol\;3-O-{\beta}-{_D}-glucoside$. The structure of the catechin $7-O-{\alpha}-{_L}-rhamnoside$ was established primarily by analysis of $^1H-and$ COSY-45 NMR, HMQC and HMBC and EI mass spectra of the heptaacetate. Especially, HMBC spectrum provides effective way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point of attachment of the rhamnosyl group to catechin moiety.

  • PDF

지리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식물화학적 변이 양상 - 분류학적, 생태학적 의미 - (Phytochemical variat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uercus serrata Murray (Fagaceae) in Mt. Jiri, Korea - Their taxonomical and ecological implications -)

  • 박진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74-58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와 졸참나무(Q. serrata Murray) 두 종의 수직분포 양상을 관찰하고, 지리산 지역을 중심으로 두 종간의 교잡이입 및 유전자 전달 가능성을 식물화학적 분석을 통해 추론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수직분포는 위도에 따라 지역 간 차이가 난다. 중부지방에서는 신갈나무가 해발 100~200m의 낮은 고도에서부터 고재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나 남부지방의 경우 일반적으로 해발 300m 이하 저지대에서는 거의 분포하지 않으며, 졸참나무는 중부지방의 경우 저지대에서 주로 관찰되며 해발 500~700m이상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으나 남부지방의 경우 해발 1,000m이상에서도 관찰된다. 두 종은 분포대가 달라 신갈나무는 주로 높은 해발고도에서 졸참나무는 주로 낮은 해발고도에서 생육하나, 상당한 범위의 고도 구간에서 두 종은 혼생한다. 지리산 지역을 위주로 설악산, 소백산, 마니산 등에서 채집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잎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 2종 37개체로부터 총 23종류의 서로 다른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다. 이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flavonol인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및 isorhamnetin에 당이 결합된 flavonol glycoside이었으며, 4 종류의 acylated flavonoid compound가 동정되었다. 이들 중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와 quercetin 3-O-galactoside 및 이들의 acylated compounds가 주요 성분으로 두 종의 모든 개체에서 나타났다. 신갈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졸참나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diglycoside인 quercetin 3-O-arabinosylglucoside가 분포하며, acylated compound인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acylated quercetin 3-O-galactoside 및 acylated quercetin 3-O-glucoside가 다량 분포한다는 점에서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과 구분된다.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은 3개의 rhamnosyl flavonol compounds가 전체 졸참나무 개체에 걸쳐서 나타나며 또한 신갈나무에 비해 다량으로 나타나고, diglycoside인 kaempferol 3-O-rhamnosylglucoside를 함유하는 특징을 갖는다. 두 종 개체들의 flavonoid 조성은 고도에 따라 종내 개체 간 변이가 있었으며, 동소적으로 분포하는 두 종의 개체들은 대체로 상대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을 정량적으로 또는 정성적으로 닮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지리산 지역에서 두 종간에 교잡이입을 통한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이와 같은 상호 교배 및 교잡이입 가능성으로 볼 때, 형태적으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중간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물참나무는 두 종을 부모종으로 하는 교잡에 의해 생긴 잡종분류군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설악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과 분류학적, 생태학적 의미 (Flavonoid Profiles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Q. serrata Murray (Fagaceae) in Mt. Seorak, Korea: Taxonomical and Ecological Implications)

  • 박진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092-110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설악산 지역을 중심으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두 종의 수직분포 양상을 관찰하고, 두 종간의 교잡이입 및 유전자 전달 가능성을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통해 추론하고자 하였다. 중부지방인 설악산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수직분포는 남부지방인 지리산에서와는 차이가 난다. 설악산의 경우, 해발 100 m 이상 거의 전 고도에서 신갈나무가 나타나나 졸참나무는 해발 500 m 이상에서는 드물게 나타나며 500 m 이하에서 신갈나무와 혼생한다. 지리산의 경우, 졸참나무의 수직 분포 범위는 해발 0-1,200 m로 설악산에 비해 훨씬 넓으며, 신갈나무는 높은 해발고도에서는 순림을 이루지만 해발 1,000 m 이하에서는 고도가 낮아질수록 빈도가 낮아지고 해발 300 m 이하에서는 거의 분포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신갈나무는 높은 고도에서, 졸참나무는 낮은 고도에서 생육하나 상당한 범위의 고도 구간에서 두 종은 혼생한다. 설악산 지역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32개체와 지리산 고지대 및 저지대에 분포하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각 1개체 등 총 34개체를 대상으로 잎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이들로부터 총 24종류의 서로 다른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다. 이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모두 flavonol인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및 isorhamnetin에 당이 결합된 flavonol glycoside이었으며, 이 중 5개는 acylated flavonoid compound이다. 이들 중 kaempferol 3-O-glucoside, quercetin 3-O-glucoside와 quercetin 3-O-galactoside 및 이들의 acylated compounds가 주요 성분으로 두 종의 모든 개체에서 나타났다. 신갈나무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acylated kaempferol 3-O-glucoside, acylated quercetin 3-O-galactoside 및 acylated quercetin 3-O-glucoside가 다량 나타나고, 졸참나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diglycoside인 quercetin 3-O-arabinosylglucoside가 분포하는 특징을 가진다. 졸참나무의 flavonoid 조성은 3개의 rhamnosyl flavonol compounds가 전체 졸참나무 개체에 걸쳐서 나타나고 또한 이들 compound가 신갈나무에 비해 다량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갖는다. 신갈나무와 졸참나무 두 종간에는 이러한 정량 정성적인 플라보노이드 조성 차이와 함께 소량으로 분포하는 몇몇 compound들에 있어서 정성적인 차이도 나타나 두 종은 플라보노이드 조성에 있어 뚜렷이 구분된다. 한편, 두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고도에 따라 종내 개체 간 변이가 있으며, 동소적으로 분포하는 두 종 개체들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은 대체로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상대 종의 플라보노이드 조성을 닮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두 종간에 교잡이입을 통한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고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은행(Ginkgo biloba L.)의 잎 유래 캘러스의 항산화능력 및 플로보놀 배당체 검정 (Antioxidative Activity and Flavonol Glycosides Analysis in Callus Derived from Leaf Tissue of Ginkgo biloba L.)

  • 김정숙;박혜정;박현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61-47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조직배양을 통해 은행나무 잎으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였고, 최대 생장량과 항산화능이 우수한 배양조건을 확립하였다. 즉, 은행잎을 이용하여 조직배양한 결과 암과 광조건에서 모두 NAA 첨가 조건이 2,4-D 첨가 조건에 비교하여 양호한 캘러스 생장을 나타냈다. 가장 우수한 캘러스 생장을 나타낸 배양조건은 광조건의 10 ${\mu}M$ NAA와 5 ${\mu}M$ kinetin의 조합 처리시였다. 따라서 현탁배양에서 캘러스의 지속적인 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생장조절제는 10 ${\mu}M$ NAA/0.5 ${\mu}M$ BA, 10 ${\mu}M$ NAA/0.5 ${\mu}M$ kinetin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행잎 유래 캘러스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광조건에서 10 ${\mu}M$ NAA가 처리된 기본 MS배지에 캘러스를 현탁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HPLC를 통한 flavonol glycosides를 분석한 결과 10 ${\mu}M$ NAA가 처리된 조건에서 현탁 배양된 녹색 캘러스에서 quercetin dehydrate와 keamperol이 각각 0.556, 0.157 ${\mu}g$/20 ${\mu}l$ 검출되었다. 잎 추출물에 비해 표적물질을 제외한 불순물이 적어 표적물질의 순수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keamperol의 경우 기존의 연구보고에 비해 약 7배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Rutin 및 GABA 첨식이 누에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berry Leaf Sprayed with Rutin and GABA on Silkworm Growth)

  • 방해선;이완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8-112
    • /
    • 1996
  • Flavonol glycoside의 일종인 Rutin과 free amino acid의 일종인 GABA(${\gamma}$-aminobutyric acid)가 누에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기 위해 뽕잎에 각각 0.1%의 수용액을 분무하여 3령 기잠부터 상족까지 누에를 사육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rutin과 GABA(0.1%를 분무한 뽕잎의 rutin과 GABA 함량은 대조구 86mg/100g FW, 16mg/100g FW에 비해 2, 2.8배 높았다. 2. rutin 및 GABA를 첨식한 뽕잎으로 사육한 누에의 잠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최구 25%까지 감소하였으며 5령 5일에 대조구 대비 각각 7%, 15%의 감소를 보여 rutin보다는 GABA가 잠체중 증가에 더 큰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처리간에 식하량, 배분량, 소화량 등은 거의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rutin 처리구에서 소화량이 대조구 대비 6%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rutin 및 GABA 처리는 유충의 경과일수를 연장시켜 상족의 개시가 대조구에 비해 3일 정도 늦었으며, 상족기간도 대조구에 비해 1일이 길었으며, 상족마리수도 대조구 대비 각각 15.4%, 9.1%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Quercetin-3-O-β-D-Glucuronide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Induced JNK and ERK Phosphorylation in LPS-Challenged RAW264.7 Cells

  • Park, Jin-Young;Lim, Man-Sup;Kim, Song-In;Lee, Hee Jae;Kim, Sung-Soo;Kwon, Yong-Soo;Chun, Wanj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6호
    • /
    • pp.610-615
    • /
    • 2016
  • Quercetin, a flavonol,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a wide range of bi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However,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quercetin-3-O-${\beta}$-D-glucuronide (QG), a glycoside derivative of quercetin, have not been extensively examin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anti-inflammatory property and underlying mechanism of QG in lipopolysaccharide (LPS)-challenged RAW264.7 macrophage cells in comparison with quercetin. QG significantly suppressed LPS-induced extracellular secre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and $PGE_2$, and pro-inflammatory protein expressions of iNOS and COX-2. To elucidate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he anti-inflammatory property of QG, involvement of MAPK signaling pathways was examined. QG significantly attenuated LPS-induced activation of JNK and ERK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s with a negligible effect on p38.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QG exerts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the suppression of JNK and ERK signaling pathways in LPS-challenged RAW264.7 macrophage cells.

Anticancer Properties of Icariside II in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 Kim, In-Ryoung;Kim, Young-Seok;Yu, Su-Bin;Kang, Hae-Mi;Kwak, Hyun-Ho;Park, Bong-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1권1호
    • /
    • pp.1-8
    • /
    • 2016
  • OSCC is currently the most common malignancy of the head and neck, affecting tens of thousands of patients per year worldwide. Natural flavonoids from plants are potential sources for novel anti-cancer drugs. Icariin is the active ingredient of flavonol glycoside, which is derived from the medical plant Herba Epimedii. A metabolite of icariin, icariside II exhibits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ctions, including anti-rheumatic, anti-depressant, cardiovascular protective, and immunomodulatory functions. However, the exact mechanism causing the apoptosis-inducing effect of icariside II in OSCC is still not ful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anti-cancer effect of icariside II in OSCC cell lines by measuring its effect on cell viability, cell proliferation, and mitochondria membrane potential (MMP). Icariside II treatment of OSCC cells resulted in a dose- and time-dependent decrease in cell viability. Hoechst staining indicated apoptosis in icariside II-treated HSC cells. Icariside II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d apoptosis in HSC cells, with significant increases in all present parameters in HSC-4 cells. The results clearly suggested that icariside II induced apoptosis via activation of intrinsic pathways and caspase cascades in HSC-4 cell lines. The collectiv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Icariside II is a potential treatment for OSCC; in addition, the data could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novel anti-cancer strategy.

홍화의 성분 분리 및 항산화 활성 (Constituents of Flowers of Carthamus tinctorius L.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 최현규;강연복;박성희;손애량;나민균;이승호
    • 생약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0-116
    • /
    • 2011
  • As part of our ongoing study focused on the discovery of antioxidants from natural products by measuring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thanol extract of flowers of Carthamus tinctorius L. was found to show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 extract lead to the isolation of twenty compounds including two flavonol glycosides, quercertin-3-O-${\beta}$-D-glucopyranoside (12) and kaempferol-3-O-${\alpha}$-L-rhamnopyranosyl-${\beta}$-D-glucopyranoside (18), two flavanone glycosides, (2S)-4',5,6,7-tetrahydroxyflavanone 6-O-${\beta}$-D-glucopyranoside (15) and (2R)-5,7,8',4-tetrahydroxyflavanone 8-O-${\beta}$-D-glucopyranoside (16), and two acetylenic glycosides, 8Z-decaene-4,6-diyne-1-O-${\beta}$-D-glucopyranoside (13) and 4,6-decadiyne-1-O-${\beta}$-D-glucopyranoside (14).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using spectroscopic analysis. Among them, compounds 12-18 were tested in DPPH assay. Compounds 13-16 were first reported to their antioxidant activity. Quercertin-3-O-${\beta}$-D-glucopyranoside (12) showed the most potent inhibitory effect on DPPH with $IC_{50}$ value of 56.7 ${\mu}M$.

Neuroprotective Effects of Ginkgo biloba extract, GBB, in the Transient Ischemic Rat Model

  • Oh, Jin-Kyung;Jung, Ji-Wook;Oh, Hye-Rim;Han, Yong-Nam;Ryu, Jong-H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5권3호
    • /
    • pp.169-174
    • /
    • 2007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standardized Ginkgo biloba extract (GBB) (total terpene trilactones, 13 ${\pm}$ 3%; biflavone, 4.5 ${\pm}$ 1.5%; flavonol glycoside, < 8%; proanthocyanidine, under detection limit) on ischemia-reperfusion-induced brain injury in the rats. Ischemia was induced by the intraluminal occlusion of the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for 2 h and reperfusion was continued for 22 h. GBB was orally administered, promptly prior to reperfusion and 2 h after. Total infarction volume in the ipsilateral hemispheres of ischemia-reperfusion ra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reatment with GBB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The therapeutic time window of GBB was 3 h in this ischemia-reperfusion rat model. Furthermore, GBB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increased neutrophil infiltration of ischemic brain tissue, as estimated by myeloperoxidase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BB plays a crucial protective role in ischemia-induced brain injury, in part, via inhibition of neutrophil infiltration, and suggest that this GBB could serve as a neuroprotective agent following transient focal ischemic brain inj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