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ttening method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19초

Grid method에 의한 3차원 형상의 평면전개를 위한 optimal matrix 표준화 연구 -$18{\sim}24$세 여성 Upper Front Shell을 중심으로- (Optimal Matrix Standardization for Pattern Flattening Using Grid Method -Focused on Young Women's Upper Front Shell-)

  • 최영림;남윤자;최경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242-1252
    • /
    • 2006
  • Many applications in computer graphics require complex, highly detailed models. However, to control processing time, it is often desirable to use approximations in place of excessively detailed models. Therefore, we have developed the notion of an optimal matrix to simplify the model surface which can then rapidly obtain high quality 2D patterns by flattening the 3D surface. Firstly, the woman's 3D body was modeled based on Size Korea data. Secondly, the 3D model was divided by shell and block for the pattern draft. Thirdly, each block was flattened by the grid and bridge method. Finally, we select the optimal matrix and demonstrate it's efficiency and quality. The proposed approach accommodates surfaces with darts, which are commonly utilized in the clothing industry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surface forming and flattening. The resulting optimal matrix could be an initiation of standardization for pattern flattening. This can facilitate much better approximations, in both efficiency and exactness.

AN OPTIMAL CONTROL APPROACH TO CONFORMAL FLATTENING OF TRIANGULATED SURFACES

  • PARK, YESOM;LEE, BYUNGJOON;MIN, CHO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23권4호
    • /
    • pp.351-365
    • /
    • 2019
  • This article presents a new approach for conformal flattening with optimal cone singularity. The algorithm here takes an optimal control for selecting optimal cones and uses the Ricci flow to force the flattening. This work is considered as a modification to the work of Soliman et al. [1] in the sense that they make use of the Yamabe equation for the flattening, which is an approximation of the Ricci flow. We present a numerical algorithm based on the optimal control with the mathematical background. Several numerical results validate that our method is optimal in total cone angle and usage of the Ricci flow ensures the conformal flattening while selecting optimal cones.

개선된 피치검출을 위한 스펙트럼 평탄화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ique of Spectrum Flattening for Improved Pitch Detection)

  • 강은영;배명진;민소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0-314
    • /
    • 2002
  • 음성인식, 합성 및 분석과 같은 음성신호처리 분야에 있어서 기본주파수 즉, 피치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포만트의 영향과 천이진폭의 영향 때문에 음성신호로부터 정확한 피치검출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소의 천이나 변동의 영향이 적은 주파수 영역에서 스펙트럼을 평탄화함으로써 포만트의 영향을 제거한 후 피치를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스펙트럼 평탄화 기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방법인 LPC법, 켐스트럼법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우수성을 보이는지 평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방법을 적용하여 기본주파수 (피치)를 검출한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선형 스펙트럼쌍을 이용한 성문특성이 제거된 성도특성 추출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traction of Vocal Tract Characteristic After Canceling the Vocal Cord Property Using the Line Spectrum Pairs)

  • 민소연;장경아;배명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665-670
    • /
    • 2002
  • 프리엠퍼시스 필터의 일반적인 형태는 y(n)=s(n)-As(n-1)이고, 여기서 A값은 유성음의 경우 0.9∼l.0사이의 값이다. 또한 A값은 프리엠퍼시스의 기울기 값을 반영하고 기존의 방법에서는 자기상관계수 값인 R(1)/R(0)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문특성으로 인해 고주파특성이 약화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새로운 평탄화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포만트 주파수 예측을 위해 LSP 파라미터의 간격정보를 사용하였다. 찾아진 포만트 주파수들간의 선형보간을 통해 기울기와 역기울기 값을 구하여 평탄화 과정을 수행한다. 실험결과에서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평탄화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논문에서는 약화된 고주파 성분을 보상하는 과정에서 평탄화 요소로 LSP의 간격정보를 사용하였다.

LSP를 이용한 성문 스펙트럼 기울기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Glottal Spectrum Slope Using the LSP (Line Spectrum Pairs))

  • 민소연;장경아
    • 음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3-52
    • /
    • 2005
  • The common form of pre-emphasis filter is $H(z)\;=\;1\;- az^{-1}$, where a typically lies between 0.9 and 1.0 in voiced signal. Also, this value reflects the degree of filter and equals R(1)/R(0) in Auto-correlation method. This paper proposes a new flattening algorithm to compensate the weaked high frequency components that occur by vocal cord characteristic. We used interval information of LSP to estimate formant frequency. After obtaining the value of slope and inverse slope using linear interpolation among formant frequency, flattening process is follow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flattened the weaked high frequency components effectively. That is, we could improve the flattened characteristics by using interval information of LSP as flattening factor at the process that compensates weaked high frequency components.

  • PDF

Improvement and Verification of the Wear Volume Calculation

  • 김형규;이용호
    • KSTLE International Journal
    • /
    • 제6권1호
    • /
    • pp.21-27
    • /
    • 2005
  • A technique for a wear volume calculation is improved and verified in this research. The wear profile data measured by a surface roughness tester is used. The present technique uses a data flattening, the FFT and the windowing procedure, which is used for a general signal processing. The measured value of an average roughness of an unworn surfnce is used for the baseline of the integration for the volume calculation. The improvements from the previous technique are the procedures of the data flattening and the determination of a baseline. It is found that the flattening procedure efnciently manipulates the raw data when the levels of it are not horizontal, which enables us to calculate the volume reasonably well and readily. By comparing it with the weight loss method by using artificial dents, the present method reveals more volume by aroung 3~10%. It is attributed to the protruded region of the specimen and the inaccuracy and data averaging during the weght loss measurement. From a thorough investig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present technique can provide an accurate wear volume.

Harmonic 분산값 최소화 알고리즘에 의한 주파수 영역 평탄화 기법 (The Technique of Spectrum Flattening by Algorithm for Minimized Harmonics Variance Value)

  • 민소연;김영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558-3562
    • /
    • 2010
  • 음성신호처리 분야에 있어서 정확한 기본주파수(피치)를 검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포만트의 영향과 천이 진폭의 영향으로 인하여 음성신호로부터 정확한 피치를 검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소의 천이나 변동의 영향이 적은 주파수 영역에서의 하모닉스 분산값 최소화 알고리즘을 통해 스펙트럼을 평탄화 하여 피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인 LPC법, 켑스트럼법과 비교하여 평탄화 특성이 어느 정도의 우수성을 보이는지를 평가하였다. 또한 각각의 방법을 적용하여 기본주파수를 검출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QMF에 의한 음성스펙트럼의 평탄화 알고리즘 (The Flattening Algorithm of Speech Spectrum by Quadrature Mirror Filter)

  • 민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907-912
    • /
    • 2006
  • 음성신호의 프리-엠퍼시스 과정은 고주파 영역의 약화된 성분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프리-엠퍼시스 필터의 일반적인 형태는 y(n)=s(n)-A${\cdot}$s(n-1)이고, A 값은 유성음의 경우$0.9{\sim}1.0$ 사이의 값이다. 그리고, A 값은 프리-엠퍼시스의 기울기 값을 반영하고 기존의 방법에서는 R(1)/R(0)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문특성으로 인해 고주파 특성이 약화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새로운 평탄화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신호 왜곡의 최소화를 위하여 QMF를 사용하였다. QMF를 사용한 후, 각 프레임별 자기상관계수를 사용하여 평탄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서는 제안한 방법이 자기상관 방법보다 약화된 고주파 성분을 효과적으로 보상하는 평탄화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평탄화 알고리즘은 음성 인식, 음성 분석 및 합성 등과 같은 음성 신호 처리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다.

  • PDF

Grid method에 의한 성인 여성 3차원 형상의 상반신 앞판에 대한 평면전개 기준 연구 (Surface Flattening criterion of Female's Upper Front Shell Using Grid Method)

  • 최영림;남윤자;최경미;최명해;한설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825-1836
    • /
    • 2008
  • 3차원 인체 형상에 적합한 의복 패턴을 제작하기 위하여 인체 형상을 평면전개하여 체표패턴을 얻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Grid method를 이용한 여성 상반신 앞면의 평면전개를 위하여 최적 그리드 기준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rid method는 인체 형상의 표면에 커브를 생성하고 각 커브의 길이를 플로팅하는 원리에 의하여 3차원 형상을 평면전개 방법이다. 첫째, Young 모델과 Adult 모델에 해당하는 두 개의 3차원 바디들을 사이즈코리아데이타에 기초하여 모델링하였다. 둘째, 각각의 모델을 3차원 특징점에 의하여 shell과 block으로 세분화하였다. 셋째, 각각의 block은 다양한 그리드수의 조합에 의하여 평면전개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효율적인 조합을 선정하여 평면전개의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상관도 평활화된 Binary CDMA의 BER 개선 (BER Improvement Correlation-Flattened Binary CDMA)

  • 서근종;정민우;김용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C호
    • /
    • pp.9-1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일종의 멀티코드 시스템인 Binary CDMA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관도 값을 평활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DS-CDMA 방식과는 달리, Binary CDMA 에서는 멀티레벨 신호를 이진 클리핑하여 전송하므로 선형성이 떨어지는 전력증폭기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전송신호가 이진 클리핑되는 과정에서 각 채널사이의 직교성이 감소하여 수신부에서의 채널별 상관도 값은 랜덤해지며, 가장 작은 상관도 값을 갖는 채널에 의해 시스템의 평균 BER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신부 상관도 값이 불균형한 분포를 갖지 않고, 전 채널에 대해 고르게 분포하게 하는 상관도 평활화 방법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평균 BER을 개선하였다. 여러 종류의 확산코드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BER은 낮아지고 가용 채널의 수는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