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t Area

검색결과 1,139건 처리시간 0.029초

곰소만 조간대의 현생 유공충과 표층 최적물의 특성: 고환경 해석에 적용 가능성 (Characteristics of Recent Foraminifera and Surface Sediments in Gomso- Bay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Potential for Paleoenvironmental Interpretations)

  • 우한준;장진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4-196
    • /
    • 1995
  • 한국 서해안 곰소만(길이 20 km, 폭 5~8 km) 입구에 위치한 측선-SW 에는 사질 조간대, 니질 조간대, 조간대 사주, 쉐니어(chenier)등이 잘 발달되어 있다. 만내 각 소환경에서의 물리적, 지질적 및 지형적 요인의 차이는 아마도 특징적인 유공충 분포를 나타내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곰소만 조간대에서 지형적인 고도차에 의해 세분될 수 있는 5개의 지역적인 소환경이 유공충의 전 체 군집에 의하여 서로 구분될 수 있는 가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지역에서 채 취된 10개의 표층 퇴적물에서 총 74종(저서 유공충:67종; 부유성 유공충:7종)의 유공충이 확인되었다. 연구지역에는 Ammonia beccarii tepida, Discorbis candeiana, Elphidium etigoense 및 Eponides nipponicus의 4종이 살아있는 군집 과 전체군집내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다. 살아있는 개체의 상대적인 비율(%)은 상부조간대에서 높게 나타나며 하부조간대로 하부조간대로 갈수록 감소한다. 중부조간대와하부조간대에서 살아있는 개체의 비율이 낮은 이유는 물리적인 에너지가 외해쪽으로 증가하여유공충의 생산성이 감소하며,또한 외해로 부터 죽은 개체가 유입되어 죽은 개체수가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중부와 하부 조간대에서 발견되는 부유성 유공충의 존재는 (5.3-6.6%)외해에서 태풍이나 조류에 의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부조간대 하부 조간대에서 상대적으로 종의 수가 많은 것으로\ulcorner아마도 이 지역의 종들이 서로 혼합되어진 결과일 것이다. 시료 50ml당 전체 개체수가 상부조간대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은 쉐니어가 파랑과 조류를 막아주어 이 지역이 상대적으로 안정된 환경을 유지하여 유공충의 생산성이 높기 때문이다. 곰소만 조간대(Line-SW)에서 풍부하게 나타나는 유공충(전체군집에서 20% 이상이 어느 한 지점에서 나오는 종)을 기준으로 하여 5개의 생물상(biofacies)이 분리되었다. 5개의 생물상은 제4기 후반의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고환경을 해석하는데 잠재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자유곡면으로 이루어진 3차원 곡면의 고속 가공시스템

  • 이희관;김준형;양균의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2-787
    • /
    • 1997
  • This paper proposes methods for pencil machining and uncut area machining. Based on Z-map represented by triangular facets, self-intersection-free offset surface is generated with K-offset method in case of ball mill and flat mill Pencil machining can elliminate overload area before main machining rough, semi-finish and finish cutting,preventing fluctuations of cutting forces in concave regions form causing bad machining condition. Low productivity is caused by uncut area which has excessive or irreguar finishing allowance. Uncut area machining has the finishing allowance keep uniformly on part surface. This paper deals with two types of uncaut area, machining detection of excessive area and user-defined area.

  • PDF

연안생태환경공간 조성지의 생물-화학적 복원지수 평가 (Evaluation of Bio-Chemical Restoration Index at the Creation Site of Ecological Environmental Zone in Coastal Area)

  • 이인철;이병호;박소영;류청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B호
    • /
    • pp.161-168
    • /
    • 2008
  • 대규모 연안개발에 따른 매립사업으로 연안역의 갯벌 또는 염습지 등의 연안생태환경공간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안역 자연환경의 완화조치(Mitigation)의 일환으로 인공갯벌 및 염습지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인공 연안공간 조성시 복원정도의 정량적 평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안생태환경공간 조성지의 복원정도 평가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준설토 배합비에 따라 구분되는 인공갯벌(Zone. P1) 및 염습지(Zone. P2) 현장시험구를 조성하여 생물-화학적 환경인자인 시험구 내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생물다양성과 개체수 및 생체량/식생(갈대)의 정착률/종속영양세균수/이화학적 특성(COD, IL, TN, TP, pH)에 대한 환경성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각 환경인자들의 복원정도를 나타내는 복원지수를 제안하여 연안생태환경공간 조성에 따른 복원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발 뒤축 내·외측 경사진 안창이 족부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r-Foot Wedged Insoles on the Foot Pressure in Walking)

  • 유태범;채병기;임완수;최화순;정민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0-97
    • /
    • 2008
  • Wedged insoles are frequently used to reduce the pains caused by the knee arthritis or the foot overuse syndrome.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wedged rear-foot insoles on the foot pressure in walking. Three medially wedged insoles with three angles (5, 8 and 15") and three laterally wedged insoles with the same angles were made, and a flat insole were prepared. Ten healthy males in twenties walked in a specified line with each insole. Center of pressure (COP), relative vertical force and maximum force on anatomical areas were analyzed from the measured foot pressure data. At heel contact, medially wedged insol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essure of the medial foot side (COP moved medially by 2-5 mm and maximum pressure of 1st metatarsal head increased by 110-120% relative to the flat insole), In contrast, laterally wedged insol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ateral side pressure (COP moved laterally by 1-5 mm and the ratio of $2^{nd}$ metatarsal head pressure to $1^{st}$ metatarsal head increased by 0.5-2.0 relative to the flat insole). At toe off, both wedged insol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ressure of the medial foot side (COP moved medially by 0.5-10 mm and the ratio of $1^{st}$ metatarsal head pressure to $5^{th}$ metatarsal head increased by 2.0 relative to the flat insole). Especially, the laterally wedged insole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lative vertical force (6-12%) of the rear-foot more than the flat insole.

A Research on Curved Display Comparing to Flat Display Regarding Posture, Tilt Angle, Focusing Area and Satisfaction

  • Ahn, Sung Hee;Jin, Byungki;Kwon, Sanghyun;Yun, Myung Hwa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1-202
    • /
    • 2014
  • Objective: This study is conduct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flat and curved displays with respect to location of focused points, postur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preferred tilt angles. Background: In order to avoid physical and eye fatigue caused by misplayed sitting posture, many studies have asserted that the display requires appropriate location, size and tilt angle as well as curvature. Howe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results are varied in the extent. Method: Eye height data in sitting posture were collected from 30 participants. Participants selected the most comfortable viewing angle within the range from $0^{\circ}$ to $12^{\circ}$ while watching videos for both curved and flat display. Then, physical and eye fatigue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subjectively evaluated. Lateral diagram describing viewing display condition was set and used to develop linear models for expecting the preferred tilt angle. Results: Due to sitting in the natural viewing posture rather than upright, the eye height is lowered to about 4.6 centimeters, on average, for both display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rast, preferred angles for the two display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curvature vary the points focused. Two linear models as functions of sitting eye height are developed to expect preferred tilt angle for each display. Based on the result of overall satisfaction evaluation, curved display is statistically better than flat display.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flat and curved display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expect for the viewing posture. However, reasons for preferring curved display are not accurately factorized and the linear models are limited in the experiment condition such as size of display, distance between display and viewer and other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Further studies on curved displays under more various conditions are required. Applica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use of the curved display in various way.

평판에 충돌하는 초음속 이중 동축제트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Supersonic, Dual, Coaxial Jets Impinging on a Flat Plate)

  • 김중배;이준희;김희동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739-742
    • /
    • 2002
  • The supersonic, dual, coaxial jet impinging upon a vertical flat plate has recently been applied to a variety of indust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ince it has several advantages over a conventional supersonic impinging jet. In the present study, experimentation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mpinging angle of the annular flow and the design Mach number on the flow field formed over the vertical flat plate. A convergent-divergent nozzle is used to obtain the inner jet flow, its design Mach number being changed between $1.0\;and\;2.0$. The outer annular nozzle has a constant area of the Mach number of 1.0, and its impinging angle of $0^{\circ}\;and\;20^{\circ}$. The primary jet pressure ratio is changed in the range from 6.0 to 10.0 and for the annular flow, the assistant jet pressure ratio is changed from 1.0 to 4.0. The distance between the dual, coaxial nozzle and flat plate is also changed. Detailed pressure measurements are conducted along the axis of the jet and on the flat plate as well. The impinging coaxial Jet flows are visualized using the Schlieren and Shadow optical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the flow field on the plate is not strongly dependent only on the primary and assistant pressure ratios but also the impinging angle of the annular nozzle.

  • PDF

금형 냉각이 Al-Mn계 다중압출 평판관의 압출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 cooling on change of extrusion characteristics of Al-Mn-based thin-walled flat multi-port tube)

  • 신영철;하성호;강태훈;이기안;이승철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7권4호
    • /
    • pp.63-71
    • /
    • 2023
  • In order to increase the extrusion production speed of aluminum, extrusion die cooling technology using liquid nitrogen has recentl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Increasing the extrusion speed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bearing area of extrusion dies and the extrusion profile, which may cause defects on the surface of extruded profile. Extrusion die cooling technology is to directly inject liquid nitrogen through a cooling channel formed between the die and the backer inside the die-set. The liquid nitrogen removes heat from the die-set, and gaseous nitrogen at the exit of the channel, covers the extrusion profile of an inert atmosphere reducing the oxidation and the profile tempera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oling capacity by applying die cooling to extrusion of Al-Mn-based aluminum alloy flat tub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 cooling on the change in extrusion characteristics of flat tubes. Cooling capacity was confirmed by observ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extrusion profil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die cooling is applied. To observe changes in material characteristics due to die cooling, surface observation is conducted and microstructure and precipitate analysis are performed by FE-SEM on the surface and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extruded flat tubes.

침수 취약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을 사례로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Baramarae Intertidal Area in Anmyeondo, Korea)

  • 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9-39
    • /
    • 2010
  • 기후변화는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에서 해수면의 급격한 상승을 야기하며,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다중시기 위성영상과 GIS기법을 이용하여 먼저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의 DEM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IPCC SERS 시나리오별 조간대 침수지역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해수면이 20cm 상승하면 약 68ha의 간석지가 침수되고, 30cm 상승하면 85ha, 40cm가 상승하면 103ha, 50cm 상승 시 121ha, 60cm 상승 시 139ha의 간석지가 침수됨을 분석할 수 있었다.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지역은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 가경주 마을 전면에 위치한 간석지로, 상대적으로 간석지의 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이다. 침수 예상지역의 간석지는 현재 주민들이 굴과 바지락 등을 양식하고 있어서, 향후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멸종위기 개리 (Anser cygnoides)의 월동기 서식지 이용과 먹이원 (Habitat Use and Food Materials of the Endangered Swan Goose (Anser cygnoides) during the Wintering Season)

  • 최유성;주성배;김면식;한동욱;정길상
    • 생태와환경
    • /
    • 제50권2호
    • /
    • pp.266-274
    • /
    • 2017
  • 멸종위기종 개리(Anser cygnoides)의 월동기 서식지 이용과 먹이원에 대해 연구하였다. 개리는 서천갯벌에 10월에 도래하여 약 6개월간 월동한 후, 다음해 4월초에 월동지를 떠나 번식지로 이동하였다. 서천갯벌에서 월동하는 동안 개리는 뚜렷한 지역 간 이동, 서식지 이용 패턴을 보였다. 즉 도래초기인 10월에는 주로 송림리 갯벌의 매자기류 (Bolboschoenus sp.) 군락지를 집중하여 이용하였으나, 11월부터는 장구만 지역으로 이동하여 연안 갯벌에 일부 존재하는 매자기류 군락지와 인근 농경지에서 섭식활동을 하였다. 배설물에서 추출한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개리가 사초과의 매자기류 식물을 월동기간 동안 주먹이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포와 섭식지 이용에 변화를 보이는 시기에 사초과 식물 외에도 콩과 식물의 검출양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리가 월동기간 동안 섭식하는 먹이원의 이용가능성 변화에 반응하여 서식지를 이용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서천갯벌은 개리의 월동지로서 가치가 있으며, 특히 송림리와 장구만 지역에 분포하는 매자기류 군락지는 월동기간 동안 개리가 이용하는 핵심지역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고인성 시멘트 복합재를 활용한 플랫플레이트 구조의 슬래브-기둥 접합부 구조성능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Slab-column Joint at Flat Plate Structure Using ECC)

  • 최광호;박병천;최성우;류득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209-216
    • /
    • 2017
  • 플랫플레이트 구조설계 시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는 슬래브-기둥 접합부가 축하중에 의한 뚫림전단에 대한 저항성과 지진 발생 시 건물전체의 수평변형에 추종할 수 있는 연성능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플랫플레이트 구조형식의 슬래브-기둥 접합부를 대상으로 연성 증진을 위해 ECC를 접합부 뚫림전단의 위험단면 구역에 타설하고, 이 구역 주변 전단보강 구역에는 스터드의 설치와 강섬유 콘크리트를 사용한 상세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실험체에 대해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ECC에 혼입한 섬유 종류, 전단보강 구역의 스터드 설치와 강섬유 콘크리트 타설 여부였으며, 실험체의 파괴양상, 접합부 내력 및 변위와 변형률을 비교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ECC를 적용한 실험체의 내력과 연성이 그렇지 않은 실험체보다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전단보강 구역에서는 스터드의 전단보강 효과와 강섬유 콘크리트의 연성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