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pper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초

초소형 날갯짓 비행체의 최적 날갯짓 속도 분포 연구 (Velocity Profile Optimization of Flapping Wing Micro Air Vehicle)

  • 조선규;이준희;김종암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11호
    • /
    • pp.837-84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20g급 날갯짓 초소형 비행체의 정지 비행 시의 날갯짓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날갯짓 속도 분포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비원형 기어를 이용하여 다양한 날갯짓 속도 분포를 나타내는 메커니즘을 설계하였으며, 실증 기체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날갯짓 속도 분포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최적화 모델은 노이즈를 포함한 Kriging을 사용하였으며 불확실성에 의한 오차를 반영하였다. 날갯짓 속도 분포를 네 개의 파라미터로 나타내어 각 파라미터에 대한 최적화를 진행하였고. 최적화 결과 추력-파워비가 11.3% 증가하였다. 추력-파워비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 탄성력에 의해 이전 스트로크에서의 각운동에너지가 일부 보존되어 다음 스트로크에서 사용되어 효율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하였다.

통발에 대한 어류의 행동과 어획성능에 관한 연구 (The Behaviour of Fishes to the Traps and Their Catch Ability)

  • 고관서;김대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3
    • /
    • 1984
  • 모형통발에 대한 새우의 행동에 관한 수조실험과 민꽃게를 주대상으로 하고 붕장어 등을 혼획할 수 있는 실물 통발에 의한 시험을 한 바는 대략 다음과 같다. 1. 모형통발 실험에서 나일론 망지, 폴리에틸렌망지 및 면망지등 망지의 재료를 달리한 경우 입망마리수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입구의 형태에서는 밑판의 경사 각도가 클수록 입망마리수와 도피율이 낮았다. 원추형 입구에서는 각주형입구보다 도피율이 낮았다. 2. 미끼의 종류에 대한 실험에서는 바지락, 새우, 전갱이, 고등어, 어류의 내장 및 족발등 여러 가지 미끼에 대한 선택성을 실험하였는데 미끼의 종류 보다는 신선도가 더 중요한 것 같이 생각된다. 3. 5가지 실물통발을 사용하여 실지시험한 결과에서는 양쪽에 입구가 있는 원추형(A형), 입구가 양쪽에 있는 각주형(C형) 및 C형에 혀그물이 달린 D형에서 민꽃게의 어획이 좋았고, 입구가 웃면에만 어주형(B형)과 철틀을 달아 2층으로 한 E형에서 어획이 나쁘다. 4. 붕장어의 어획은 A형, D형에서 많고, B형 E형에서 적은 경향이 있으나 C형은 특이하게 A형보다 어획이 적을뿐 다른 어느 형과도 유의차를 보이지 않는다. 5. B형, E형은 고기의 입망 어려운 반면 A형 C형은 고기의 입망이 쉬우나 도피도 쉬우며, 특히 C형은 도피가 더욱 쉽다. 결국 도피는 각주형 통발 보다 원추형 통발에서 더 어렵고, 혀그물이 없는 것보다 있는 것에서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구 개량과 자동화 조업시스템 개발-I -시험어구의 수중형상- (Improving of the Fishing Gear and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 the Anchovy Boat Seine-I -Underwater Geometry of the Model Net-)

  • 장충식;김용해;안영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6권4호
    • /
    • pp.299-308
    • /
    • 2000
  • 기선권현망 어구를 대폭적으로 줄이여 어획 성능을 향상시킨 어구를 개량하고 자동화 조업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중인 어구를 1/2로 축소 제작한 시험어구를 가지고 양선간격과 예망속도의 변화에 따른 해상실험을 통하여 어구 각부의 망고와 수중형상을 측정$.$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어구 각 부분의 망고는 양선간격과 예망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시험어구 A의 양선간격에 따른 오비기, 수비, 앞창, 자루 입구, 깔때기와 자루 뒤끝의 망고는 각각 10.8∼9.0, 12.0∼8.3, 12.6∼9.0, 10.4∼6.6, 4.6∼5.2, 8.8∼7.7m이었고, 각 부분의 전개율은 각각 36∼30, 21∼15, 31∼22, 80∼51, 80∼96, 59∼5l%로 나타났다. 3. 시험어구 B의 양선간격에 따른 오비기, 수비, 앞창, 자루 입구, 깔때기와 자루 뒤끝의 망고는 각각 9.1∼8.5, 9.8∼6.5, 11.2∼8.0, 11.0∼8.1, 4.7∼5.0, 7.0∼7.5m이었고, 각 부분의 전개율은 각각 30∼28, 18∼12, 27∼20, 85∼62, 87∼93, 47∼50%로 나타나 자루 입구와 깔대기 부분에서는 시험어구 A보다 다소 전개가 양호하였으나 다른 부분에서 약간 불량하였다. 4. 시험어구 A, B의 예망속도에 따른 각 부분의 망고는 양선간격에서와 거의 같았으나 변화폭은 다소 작았다. 5. 오비기와 수비 부분의 전개율이 30%정도로 매우 작기 때문에 포켓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6. 모형어구 A의 수중형상은 양선간격과 예망속도가 증가에 따라 뒤 부분이 들리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시험어구 B는 거의 일정하였다. 7. 시험어구 A와 B의 예망깊이는 양선간격과 예망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씩 얕아지는 현상을 보였는데, 뜸줄 쪽보다는 발줄 쪽이 뚜렷하다.

  • PDF

선단 축소를 위한 기선권현망 축소형 대형 어구의 전개 성능 (The opening efficiency of the miniaturized large-scale net for anchovy boat seine to reduce the fleet size)

  • 안영수;백영수;진송한;장충식;강명희;차봉진;조윤형;김보연;차주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1호
    • /
    • pp.12-24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opening efficiency of the miniaturized large-scale net for anchovy boat seine gear to reduce the fleet size. Fiel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observe geometry of nets by catcher boats. When the distances between the two ships were 150, 300 and 450 m, and the speeds of towing nets were 0.6, 0.9, and 1.2 k't, respectively. The vertical opening and actual opening of each part of the miniaturized large-scale net was as follows: the front part of the wing net, 8.7-13.3 m, 51-78%; the middle part of the wing net, 28.1-34.2 m, 55-67%; the entrance of the inside wing net, 31.3-38.5 m, 60-73%; the square and bosom, 22.7-29.6 m, 47-62%; the entrance of the body net, 20.9-26.4 m, 42-52%; the entrance of the bag net, 17.2-21 m, 72-89%; the flapper, 13.2-15.3 m, 78-83%; and the end of the bag net, 13.2-15.7 m, 72-75%. By connecting the net pendants with the front part of the wing net, the opening of the front part of the wing net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gear, which ensured both the wing net and the inside wing net with a normal net height. This, in turn, increased the efficiency of herding. The height of the body and bag net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 gear. In particular, the body net attached to the gear significantly improved the pocket shape of the gear and reduced the number of fish that were caught and escaped from the bag net, which increased the rate of fishing. The tension of towing nets was measured approximately between 2,958 and 7,110 kg, which indicates that the fleet can tow nets with 350 ps, the standard engine horse power. The fishing operation time was shortened compared with of the existent net, and the large-scale buoy attachment operation wa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ship without fish detecting boat.

기선권현망 현용 어구의 전개 성능 (The opening efficiency of the existent net of the anchovy boat seine)

  • 안영수;백영수;진송한;장충식;강명희;차봉진;김보연;차주형;조윤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1호
    • /
    • pp.1-11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fishing gear for existent net of the anchovy boat seine. Fiel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observe geometry of nets by catcher boats. When the distances between the two ships were 100, 300, and 500 m, and the speeds of towing nets were 0.6, 0.9, and 1.2 k't, respectively. The vertical opening and actual opening of each part of the existent net was as follows: the middle part of the wing net, 12.9-26.6 m, 19-39%; the entrance of the inside wing net, 23.3-35.3 m, 40-60%; the square and bosom, 18.4-24.2 m, 37-49%; the entrance of the bag net, 19.0-23.3 m, 79-96%; the flapper, 13.2-15.3 m, 142-161%; and the end of the bag net, 13.2-15.7 m, 51-61%. The actual net opening of each part of the existent nets used in this study was lower than that of the design net height, due to the low net height of the wing net and the inside wing net, it limited a range of the net height of the square and bosom. The opening of the entrance of the bag net caused the net pocket shape and inflated some parts of the nets. The tension of towing nets was measured between 4.4 and 11.0 tons, and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structure and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bag net.

생력형 기선권현망 어구의 전개성능 (The Opening Efficiency of Labor Saving net for the Anchovy Boat Seine)

  • 장충식;안영수;김광홍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1호
    • /
    • pp.9-16
    • /
    • 2005
  •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구 개량과 조업시스템 개선을 목적으로 생력형어구를 제작하여 현장조업선에 의한 해상실험을 실시하여 어구의 형상과 조업시스템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력형 어구의 양선간격에 따른 오비기 앞끝, 오비기, 수비, 앞창, 자루그물 입구, 깔때기, 자루그물 뒤끝의 망고 변화폭은 각각 5.0${\sim}$7.8, 14.4${\sim}$21.1, 16.2${\sim}$21.2, 14.0${\sim}$17.3, 11.7${\sim}$13.9, 5.4${\sim}$6.9, 8.2${\sim}$9.8m이었고, 각 부분의 실제 전개율은 50${\sim}$78, 25${\sim}$36, 24${\sim}$31, 31${\sim}$38, 61${\sim}$73, 71${\sim}$91, 87${\sim}$104%로 나타났다. 2. 생력형 어구는 그물목줄 부착으로 오비기 앞끝의 전개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개량된 나발그물 부착으로 축소형 개량어구보다 포켓형상을 대폭 개선시켜 어군의 유도가 매우 원활하였다. 또한, 양선간격 및 예망속도 변화에 따른 어구 형상이 매우 안정되었으며, 망고의 변화 폭이 크지 않아 어구의 전개성능이 향상되었다. 3. 자루그물의 개량으로 어구저항 감소, 예망속도 증대 및 입망된 어군의 도피가 현저히 감소하여 어획량이 현용어구보다 증가하였으며, 조업시스템의 개선이 가능하였다.

기선권현망 축소형 개량어구의 전개성능 (The Opening Efficiency of half size modified net for the Anchovy Boat Seine)

  • 안영수;장충식;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4호
    • /
    • pp.255-267
    • /
    • 2004
  •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구 개량과 조업시스템 개선을 목적으로 자루그물을 A, B 2가지로 달리한 축소형 개량어구를 설계, 제작하여 현장조업선에 의한 해상실험을 실시하여 어구의 형상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축소형 개량어구의 실제 전개율은 오비기에서 20% 정도로 가장 작았고, 뒤쪽으로 갈수로 커지며, 자루그물에서는 110% 정도로 가장 컸으며, B형이 A형에 비하여 5~10%정도 크게 나타났다. 자루그물 입구와 뒤끝의 망고 변화폭은 A형이 9.0~13.6, 9.3·10.4m이고, B형이 10.9~14.8, 5.8~8.0m로 나타나서 B형이 A형에 비하여 자루그물 입구는 1~2m 크고, 뒤끝은 2~3m 작았다. 2. 축소형 개량어구는 오비기의 수직방향 전개성능이 개선되어 수비에 이르기까지의 예망수층이 완만하게 형성되었으며, 예망수층의 변화폭이 기존어구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나발 그물이 포켓형상을 개선시켜 그물코의 날림현상 감소와 수비에서 자루그물까지의 어구형상이 완만하게 이루어졌으며, 예망속도가 느린 경우에도 어구의 형상이 안정되었다. 3. 축소형 개량어구 B형은 자루그물의 변화폭이 적었고, 이중깔대기의 부착으로 인해 입망된 어군의 도피율이 감소하였다.

영화 "The Great Gatsby" 의상과 Y&Kei 컬렉션 비교 분석 (To Compare and Analyze Costumes in the Film "The Great Gatsby" and Y&Kei Collection)

  • 오지혜;이인성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6호
    • /
    • pp.1050-1063
    • /
    • 2008
  • A movie is a fiction made on a basis of an author's and a writer's imagination, but all sorts of properties mixed with each other and most realistically expresses the era which becomes the background of a movie and acts as a carrier that connects designers with consumers. Thu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iew how the fashion products that designer's intention and commercial value added are expressed in collections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costumes in the movie "The Great Gatsby" that described the life of America's upper-class in 1920s and the 04 S/S Y&Kei collection which were proceeding after getting inspiration from this movie. For this, literature materials were inspected in order to make a theoretical review on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costumes history background in 1920s and the photo materials on movie costume were collected and analysed using DVD video captures, as well as the photo materials on 04 S/S Y&Kei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institute providing domestic fashion inform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duced through this study. First, in 1920s which becomes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slim shape of Flapper which looks like a young and boy became an ideal figure condition and the straight silhouette with low waist line and the short skirt that rose to knee was popular.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ng movie costume by classifying it in silhouette, colors, and materials, straight silhouette of low waistline with a near colored - tone seen in the pastel series, including white, beige, pink, and gray was mainly constituted and the metal colors like silver and gold were used. As a material, chiffon, satin, velvet, flower patterned prints, and beads were used, which represented luxurious life of women in the upper classes.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sing,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imilarity. However, in dress collection for a heroine, some dissimilarity differentiated from a movie costumes was found out in that the dresses in collection expressed moderate beauty and modernism and elegant beauty at the same time by matching a variety of materials and using black color.

  • PDF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구개량과 자동화조업시스템 개발- II 수중광 및 예망유속과 멸치의 도피반응 행동 분석 (Improving of the Fishing Gear and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Operation System in the Anchovy Boat Seine- II Analysis of escaping behaviour of anchovy in relation to underwater light and towing flow velocity)

  • 김용해;장충식;안영수;김형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2호
    • /
    • pp.78-84
    • /
    • 2001
  • 1999년 5월 29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남해안에서의 수심에 따른 수중광의 변화와 조업시간의 경과에 따른 예망 상대유속을 측정하고, 권현망어구에 대한 체장 4~7cm정도 되는 멸치들의 도피 반응행동을 관찰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해안 통영, 거제 부근 멸치어장에서 수심에 대한 수중광의 변화를 자연대수 곡선식으로 나타내면 광흡수 계수 c는 대표적인 관측점에서 주로 0.24~1.03 범위로 나타나서, 멸치의 어구에 대한 시인도가 어장에 따라 클 것으로 보인다. 2) 권현망어구의 원형그물과 1/2축소그물의 자루그물 입구부분의 상대유속을 기준으로 할때, 수비와 자루의 연결부분의 유속비는 평균 1.46, 자루부분의 유속비는 평균 0.67로 나타나서, 어구의 부위에 따른 상대유속변화가 멸치의 유영운동과 도피운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축소된 권형망어구에 있어서의 멸치의 대망행동을 관찰한 결과 수비와 자루연결부분에서 빠져나가는 1분당 멸치도피수는 평균 455미 정도였으며, 자루의 앞에서 예인방향으로 유영하는 깔대기를 빠져나가는 1분당 멸치도피 수는 평균 308미 정도로 나타나서, 어구 전체적으로는 상당수의 멸치들이 능동적인 도피행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20세기 웨딩드레스의 유행변화에 관한 연구 I (A Study I on the fashion trends of wedding dresses in the 20th century)

  • 신경섭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5호
    • /
    • pp.69-8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unveil the dynamic changes of the trends in wedding dresses during the 20th Century.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in two forms; firstly by observing the actual wedding dresses worn by people at that time, and secondly by conducting formative comparisons between those dresses with the ones appeared in movies corresponding to that period. Movies provide an invaluable insight into the era's wedding dresses fashion trends since they function as intimate bridges in connection with the time's audience, and the visible imageries accurat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embedded within that time frame. As there are no precedent studies regarding this topic, this thesis can serve as vital research data for the wedding dress industry. Research data regarding the actual wedding dresses were collected from books and museum web sites. The object of movies were films produced before World War II that contained both the background settings of the 20th Century and wedding dresses, of which photographic imageries were captured. Research analysis was then conducted by merging these data with findings from relevant books and internet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thesis are as the following: The 1900s was an extension of the 19th Century's popular fashion trend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 curve silhouettes of the Edwardian period when long trains and long veils symbolized wealth and social power. In the 1910s, high waist silhouettes with soft wrinkles were prevalent as attire suitable for active mobility with practical functionality were highly regarded. During the 1920s, the flapper style became the dominant trend. Hem lines of the skirts were curled in the form of the scallop and laces were the most widely used raw materials. By the 1930s, wedding dresses that reinterpreted the glamorous sheath lines, practical two piece styles, and retro-styles became predominant. The 1940s saw the advent of ready-made wedding dresses made of synthesized materials; practical military style suits and casuals sometimes substituted the wedding dresses. And although the wedding dresses in the movies were primarily costumes to express the personalities of the characters, they were also reinterpreted as manifestations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relative period that pursued very distinct and diverse fe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