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e retardant treated wood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19초

난연처리된 목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Wood)

  • 박형주;강영구;김홍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4호통권132호
    • /
    • pp.38-44
    • /
    • 2005
  • 본 연구는 Monoammonium phosphate, Sodium borate 및 Zinc borate를 이용하여 난연성 수용액을 배합하고, 이를 이용하여 난연처리한 목재의 연소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난연처리한 목재의 연소특성은 열분석(TGA, 연소열)과 난연시험(LOI, 화염전파)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열분석과 난연시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4로 처리한 시료가 거의 모든 연소 특성에 있어 우수한 난연효과를 나타내었다. 2) TGA curve로부터, 모든 시료는 열분해와 산화과정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3) 연질목재에 대한 난연효과가 경질 목재보다 효과적이며, 난연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연소열은 감소하였다. 4) 난연처리된 목재의 LOI값은 24~30으로 거의 비슷하였으나 이들 값들은 비처리된 목재시료의 LOI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5) Monoammoum phosphate, Sodium borate, Zinc borate, Sodium hydroxide에 의해 배합된 수용성 난연제의 pH는 약 8.4로 옅은 암모니아 냄새가 났다.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ulip Tree (Liriodendron tulipifera) for Use as Interior Building Materials

  • Min Ji KIM;Sang-Joon LEE;Sejong KIM;Myung Sun YANG;Dong Won SON;Chul-Ki KI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410-418
    • /
    • 2023
  • In this study,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Tulip tre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broad-leaved afforestation tree in Korea, were analyzed.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the Tulip tree was analyzed by analyz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on a total of three test samples; flame retardant treated, both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treated, and untreated. Then the flame retardance grade was classified for each of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test samples showed the strongest flame retardance were in order of flame retardant treated (C), both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treated (B), and untreated (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tal heat emission and maximum heat emission rates, which is the evaluation standard for interior materials of Korean domestic buildings, test samples with flame retardant treat or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 treat were qualified for the flame-retardant standard. Both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treated samples showed higher total heat release (THR) and heat release rate compared to flame retardant-treated samples as the oil causes combustion with oxygen. On the other hand, they didn't qualify the THR in Quasi-non-combustible standard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wood,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other diffuse porous wood species, with which the Tulip tree is affiliated were analyzed, and noticed that the characteristic correlates with the density and quantity of w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Tulip tre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Wood Treated with Flame Retardant Chemicals

  • Park, Hee-Jun;Mingyu-Wen, Mingyu-Wen;Cheon, Sang-Hun;Hwang, Jung-Woo;Oh,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5호
    • /
    • pp.311-318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developed four types of flame retardant chemicals (FRC), FRC-A, B, C and D. Four kinds of soft wood species, Sugi (Cryptomeria), Spruce (Picea abies), Hinoki (Chamaecyparis obtusa) and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were used. The wood specimens were treated by spreading the FRC on the surface with different quantities, 30, 50, 70, 90, 110 g/$m^2$, respectively. The charred area, charred length, after flame time and after glow time were tested. And their suitabilities as incombustible materials were evaluated. The specimen treated by FRC-D showed better incombustible properties than others, even though with lower quantity.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the FRC-D could be able to be applied on the cultural heritage, such as Korean wooden house for preventing fire.

방염제의 도포량과 침지시간 차이에 따른 목재제품의 방염성능 (Flame Retardancy of Wood Products by Spreading Concentration and Impregnation Time of Flame Retardant)

  • PARK, Sohyun;HAN, Yeonjung;SON, Do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4호
    • /
    • pp.417-430
    • /
    • 2020
  • 4종의 판상형 목재제품의 방염제 도포량과 침지시간에 따른 방염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방청의 방염성능기준에 따라 목재제품의 탄화길이와 탄화면적을 측정하였다. 잣나무 합판, 낙엽송 합판, 편백 판재, 타공처리된 자작나무 합판에 자체 개발된 방염제를 각각 300, 500 g/㎡씩 도포하고 방염처리되지 않은 시험편과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방염제의 도포량이 증가함에 따라 탄화길이와 탄화면적이 감소하여 방염성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낙엽송 합판을 제외하고 탄화길이와 탄화면적의 감소량이 크지 않았다. 타공처리된 자작나무 합판의 침지시간에 따른 방염성능은 60분의 침지시간까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그 이후 점차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방염제의 도포량과 침지시간에 따른 목재제품의 방염성능은 추후 방염성능 기준에 맞는 불연·준불연 목재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재 및 목질재료용 난연성 폴리우레탄수지 도막의 난연성능 (Performance on Flame-Retardant Polyurethane Coatings for Wood and Wood-based Materials)

  • 김종인;박종영;공영토;이병후;김현중;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72-17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MDF와 잣나무 판재에 대한 난연처리 및 난연도장 처리 시험편에 대한 난연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무처리 MDF와 잣나무판재에 대한 td𝜃은 각각 279.5, 182.5로 나타났으나 난연침지 처리된 무늬단판을 오버레이한 MDF를 난연도장 처리 한 경우 높은 난연성능을 나타냈다. 난연처리한 잣나무판재에 난연도장 처리를 할 경우 th𝜃가 90으로 나타났고, 난연침지 처리 된 무늬단판이 오버레이 된 MDF에 난연도장처리한 경우에는 th𝜃가 0으로 나타난 가장 뛰어난 난연성능을 나타냈다. 전체적으로 난연처리 및 난연도장처리를 한 경우 th𝜃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난연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소도 시험결과 시험편의 중량감소율은 난연처리와 난연도장처리에 의해 감소함으로써 난연성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착화시간과 잔염시간의 측정결과도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난연침지 처리 된 무늬단판이 오버레이 된 MDF 및 난연처리된 잣나무판재에 난연도장 처리한 경우 무처리된 경우에 비해 착화시간은 증가되고, 잔염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valuation Methods of Flame Retardants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 Son, Dong Won;Han, Gyu-S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590-596
    • /
    • 2014
  • Wooden cultural heritages of Korea have been destroyed by fire in many cases. As a result, a number of methods to protect wooden cultural properties against fire were introduced. A way of protecting wooden cultural properties installations of fire equipments such as sprinkler, fire alarm system, or fire extinguisher. Another way of protecting wooden cultural properties is to treat them with flame retardants for their safety. Development of a very effective flame retardant with a good performance without affecting danchung and wood quality is required. At the same time, methods of evaluating flame retardant treated woods should be devised to assess their efficacy. In this study, combustion characteristics using cone-calorimeter, limit oxygen index, moisture absorption, iron corrosive and weathering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flame resistance efficacy and performance of flame retardants treated woods. The evaluation methods of flame retardants for wooden cultural heritage were suggested.

난연처리 제재목으로 제조한 구조용 집성재의 강도 성능평가 (Performance of Structural Glulam Manufactured with Fire Retardants Treated Lumbers)

  • 손동원;엄창득;박준철;박주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77-482
    • /
    • 2014
  • 최근 목재이용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화 되면서 목조 주택뿐만 아니라 공공건물 및 놀이시설 등에 고내구성 집성재에 대한 시장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국산 낙엽송으로 제조한 구조용 집성재에 적합한 난연처리 기술개발 및 기준을 정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난연처리된 국산 낙엽송 제재목을 이용하여 구조용 집성재를 제조하고 제조 후 집성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낙엽송 난연처리재의 경우 구조용 집성재의 강도조건에는 만족하였으나 난연제 처리에 의한 강도적인 감소와 박리 발생 등은 개선될 필요가 있었다. 집성재의 제조 후 주입식 난연처리 혹은 도포식 난연처리 기술 개발이 요구되었다.

난연처리 목재의 연소특성 분석(I)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s Treated Wood (I))

  • 손동원;강미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96-103
    • /
    • 2015
  • 본 연구는 목재에 난연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난연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그 난연제를 처리한 목재의 난연성능을 평가함에 있다. 난연제 조성물은 단독 혹은 혼합하여 소나무에 처리한 후 열분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처리된 시료의 연소특성 분석에는 TGA와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하였다. 시험결과, 단독약제에 의한 TGA의 열적 거동은 목재에 처리 시 Char의 형성 및 연소 지연 등으로 표현되어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소특성은 이후 약제의 혼합에 의한 조성물의 난연성능의 발현에 영향을 미쳤다. 혼합약제의 목재 처리 후 콘칼로리미터에 의한 열특성 분석에서는 처리농도 및 처리량에 따라서 열방출률 및 총열방출량에 영향이 있었다. 난연제 조성물 중 FR1, FR2는 건축법 난연 3급을 만족하였다.

표준화재에 노출된 방염처리 목재의 내부온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Flame Resistant Treated Wood Exposed to a Standard Fire)

  • 김황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14-18
    • /
    • 2018
  • 건축 재료로 사용되는 목재의 내화성능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목재에 난연 또는 방염 처리하였을 경우 연소특성을 확인하는 것에 집중되어 졌다. 본 논문에서는 화염에 노출된 목재의 열분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부 온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축용 구조재로 널리 사용되는 미송(Douglas-fir)에 방염액 및 방염도료를 처리 후 표준 가열 온도 곡선에 따라 수평가열로에서 가열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방염액을 처리하였을 때 목재내부의 열확산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방염도료를 처리한 시료의 경우 고온에 노출 되었을 때 도막이 박리되어 방염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두꺼운 목재에 방염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목재표면에 도막을 형성시키는 방염도료보다는 목재내부로 침투하는 방염액을 사용하는 것이 방화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The Cause of Whitening by Flame Retardants Treatment on Korean Wooden Cultural Heritage

  • Kim, Jin Qyu;Chung, Yong Jae;Lee, Hwa Soo;Seo, Hyun Jeong;Son, Dong Won;Han, Gyu-S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589-599
    • /
    • 2016
  • Korean wooden cultural heritages are treated by flame retardants to protect fire hazards. Two types of flame retardants are used to treat wooden cultural heritage. These flame retardants cause some problems such as surface whitening, discoloration, and cracks due to the chemical reaction caused by Korean traditional wood painting (Dancheong), flame retardant and wood humidity. The Korean government is trying to cut down on the amount of flame retardants for the wooden cultural heritage because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cause of whitening by flame retardants treatment. The reaction between pigment and flame retardant chemicals was analyzed by infrared spectros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