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e/fire

검색결과 838건 처리시간 0.022초

Igniter and Thickness Effects on Upward Flame Spread

  • J.Q. Quintiere;Lee, C.H.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154-161
    • /
    • 1997
  • Several studies have developed upward flame spread models which use somewhat different features. However, the models have not considered the transient effects of the igniter and the burning rate.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generalized upward flame spread model which includes these effects. We shall compare the results with results from simpler models used in the past in order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simplifying assumptions. We compare these results using PMMA, and we also include experimental results for compariso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indicate that flame velocity depends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a material, the specific model for flame length and transient burning rate, as well as other variables including the heat flux by igniter and flame itself. The results from the generalized upward flame spread model can provide a prediction of flame velocity, flame and pyrolysis height, burnout time and position, and rate of energy output as a function of time.

  • PDF

자외선 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응용 회로 설계 (Circuit Design of Ultraviolet Flame-Sensor for Fire-Fighting Appliances)

  • 김영민;김종만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센서 박막재료연구회 및 광주 전남지부
    • /
    • pp.1-5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at when combustible burn with ultraviolet radiation, introduce fire detector with sensor of private-use detectable light energy as ultraviolet in energy of electromagnetic-wave type radiate from flame. This research using ultraviolet flame sensor is pyro-electric ultraviolet sensor based black body radiation theory. To have high sensibility and to gain proper output voltage, it has high responsive performance. This research introduced UV flame detector and proposed method of false alarm reduced to resemble fire. the result proposed the prevention and extinction of fire technique degree, certificated operation of detector.

  • PDF

인계 난연 허니컴 코아의 방화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Prevention Cap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hosphate Flame Retardant Honeycomb Core)

  • 문성웅;임경범;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72-77
    • /
    • 2010
  • 허니컴 코아 구조는 강성과 강도가 뛰어나 건축물의 내장재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허니컴 종이는 생산 단가가 낮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종이 재료의 특성상 화재에 취약하여 난연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화문 내장재 및 포장재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허니컴 종이의 난연 처리 방법에 따른 난연 성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난연종이로 제작된 허니컴과 실험실에서 제작된 방염 필름을 부착한 허니컴, 난연제 함침을 통해 제작된 허니컴, 난연제 함침 후 방염 필름을 부착한 허니컴을 포함해 총 4종에 관한 난연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난연제를 함침한 허니컴 종이가 가장 우수한 난연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방염 필름은 착화 시간 지연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열방출률 및 연기발생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청목재의 방염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ame Retardant Characteristics of Wood Finished with Painting)

  • 김인범;현성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84-188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ame retardant characteristics of wood finished with painting by followed in exposure conditions and flame retardant application method. According to painting types and flame retardant application methods salting occurrences undergoing an influence about the wood finished painting, confirmed. And influence to flame retardant characteristics of exposure condition on large scale not to be and occurrence quantity of the combustion gas undergone and influence In application method of flame trtardant.

  • PDF

방염도료의 방염성능 및 발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m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moking Characteristics of the Flame-Resistant Paint)

  • 김황진;이성은;오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78-83
    • /
    • 2009
  • 방염도료의 주성분 및 특성에 따른 방염성능과 발연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 유통되어지는 17종의 방염도료를 MDF에 방염처리하여 45도 연소실험과 연기밀도실험을 실시하였다. 45도 연소실험 결과 주성분별로는 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방염도료의 방염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지며 유성방염도료 보다는 수성방염도료의 방염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무광방염도료보다 유광방염도료의 방염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기밀도실험을 통한 발연특성은 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시료에서 연기밀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으며 특성별로는 수성방염도료를 처리한 시료들에서 유성방염도료를 칠한 시료보다 연기밀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국제우주정거장 화재안전 연구개괄: 마이크로중력화염의 특성(점화/형상/전파/소멸특성) (Overview of Fire Safety onboard International Space Station(ISS): Characteristics of Flame Ignition, Shape, Spread, and Extinction in Microgravity)

  • 박설현;황철홍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1-29
    • /
    • 2012
  • Due to a significant leap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the manned space exploration that has started with suborbital flights is now being expanded into the deep space. The space superpowers such as the U.S. and Russia have been making an effort to further develop the manned space technology. Among such technologies, the fire safety technology in microgravity has recoloniz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manned space mission design since the realistic fire broke out onboard the Mir station in 1997. In the present study, the flame characteristics such as flame ignition, shape, spread, and extinction that are critical to understand the fire behavior under microgravity conditions are described and discussed. The absence of buoyancy in microgravity dominates the mass transport driven by diffusiophoretic and thermophorectic fluxes (that are negligible in normal gravity) and influences the overall flame characteristics-flame ignition, shape, spread, and extinction. In addition, the cabin environments of the pressurized module (PM) including the oxygen concentration, ambient pressure, and ventilation flow(which are always coupled with microgravity condition during the ISS operation) a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characterizing the fire behavior in microgravity.

영상기반 지능형 무인 화재감시 시스템 (Video-based Intelligent Unmanned Fire Surveillance System)

  • 전형석;염동회;주영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16-521
    • /
    • 2010
  • 본 논문은 퍼지 칼라모델을 이용한 영상기반의 지능형 무인 화재감시 시스템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화재 감시를 위해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만, 널리 보급된 폐쇄회로를 이용하면 별도의 장치와 추가적인 비용 없이 화재를 감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만으로 화재를 감시하는 시스템은 주로 연기나 불꽃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연기검출 방식은 야간에 회색계열의 연기를 검출하기 곤란하고, 불꽃검출 방식은 온도, 인화물질, 화재규모 등에 따른 불꽃색상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무인환경 특히 야간 및 다양한 불꽃색상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강인한 화재감시 시스템을 다룬다. 이를 위해 폐쇄회로의 입력영상으로부터 움직임 영역을 추출하고, 퍼지 칼라모델을 이용한 색상과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모양을 통해 불꽃 여부을 판단하고, 이것의 확산이 확인될 경우, 화재경보를 발령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통제된 실제 화재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DSP Embedded Early Fire Detection Method Using IR Thermal Video

  • Kim, Won-H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10호
    • /
    • pp.3475-3489
    • /
    • 2014
  • Here we present a simple flame detection method for an infrared (IR) thermal camera based real-time fire surveillanc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system. Infrared thermal cameras are especially advantageous for unattended fire surveillance. All-weather monitoring is possible, regardless of illumination and climate conditions, and the data quantity to be processed is one-third that of color videos. Conventional IR camera-based fire detection methods used mainly pixel-based temporal correlation functions. In the temporal correlation function-based methods, temporal changes in pixel intensity generated by the irregular motion and spreading of the flame pixels are measured using correlation functions. The correlation values of non-flame regions are uniform, but the flame regions have irregular temporal correlation values.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early detection, all fire detection techniques should be practically applied with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The conventional pixel-based correlation function is computationally intensiv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R camera-based simple flame detection algorithm optimized with a compact embedded DSP system to achieve early detection. To reduce the computational load, block-based calculations are used to select the candidate flame region and measure the temporal motion of flames. These functions are used together to obtain the early flame detection algorithm. The proposed simple algorithm was tested to verify the required function and performance in real-time using IR test videos and a real-time DSP system.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ystem detected the flames within 5 to 20 seconds, and had a correct flame detection ratio of 100% with an acceptable false detection ratio in video sequence level.

FDS의 연소모델에 따른 풀화재의 화염높이 비교 (Comparison of the Flame Height of Pool Fire according to Combustion Models in the FDS)

  • 한호식;황철홍;오창보;최동원;이상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42-50
    • /
    • 2018
  • Large Eddy Simulation (LES) 기반의 Fire Dynamics Simulator (FDS) Version(5와 6)에 따른 아격자 난류 및 연소모델의 변화가 헵탄 풀화재의 평균 화염높이에 미치는 영향이 검토되었다. 화재시뮬레이션을 위한 열발생률은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 실험을 통해 제공되었으며, FDS Version에 따른 평균 화염높이의 예측성능은 기존 상관식과의 비교를 통해 평가되었다. FDS 5와 6에 각각 적용된 Smagorinsky 및 Deardorff 난류 모델은 평균 유동장, 화염형상 및 화염높이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평균 화염높이를 포함한 풀화재 특성 차이는 주로 FDS 5와 6에 각각 적용된 혼합분율 및 Eddy Dissipation Concept (EDC) 연소모델 차이로 인하여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FDS 6에 비해 FDS 5는 상당히 긴 화염높이의 예측결과를 제공하며, 기존 상관식과 보다 일치하는 평균 화염높이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소나무 낙엽층 화염높이 산정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Flame Height Equation for the Pinus densiflora Surface Fuel Bed)

  • 김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0-15
    • /
    • 2009
  • 산불에서의 화염높이 산정은 복사열전달에 의한 수평 또는 수직적 화염확산을 예측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화염특성 중 화염높이는 빛을 수반하는 화염(the luminous flame)의 평균높이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풍속과 경사 등으로 인한 화염 높이가 변화될 수 있는 조건을 제외한 산림내 지표연소물질(surface fuel)인 소나무 낙엽층(fuel bed)에 대한 화염높이 관측실험과 열량분석계을 이용하여 발열량(Heat Release Rate) 측정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지표연소물질에 대한 화염높이 산출식 $H_f=0.027(\dot{Q'})^{2/3}$을 도출하였다. 실험값과 개발 산정식, 기존 Heskestad 식과의 적용값 비교 결과, 소나무 낙엽의 경우, 실험값과 개발 산정식 적용값의 표준오차는 0.08, 실험값과 기존 Heskestad 식의 표준오차는 0.23으로 개발 산정식의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