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infection

검색결과 577건 처리시간 0.029초

Effectiveness of a Health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for Preventing Liver Fluke Infection in Rural People of Surin Province, Thailand

  • Kaewpitoon, Soraya J;Thanapatto, Sirisuda;Nuathong, Wimonya;Rujirakul, Ratana;Wakkuwattapong, Parichart;Norkaew, Jun;Kujapun, Jirawoot;Padchasuwan, Natnapa;Kae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1111-1114
    • /
    • 2016
  • Opisthorchiasis is a major problem in Thailand particularly in northeast region which also has a high incidence of cholangiocarcinomas. Since health modification is needed,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a Tum district, Surin province, Thailand. A total of 70 participants were purposive selected with a history of opisthorchiasi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with 35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health education program composed of: (1) knowledge improvement, lectured with multimedia, demonstration, brochure, and handbook; (2) group discussion about their health beliefs, sharing their ideas and experience; and (3) social support from village health volunteers (VHV), heads of villages (HV), friends, and members of families, and public health officer (PHO). Follow-up was by PHO/VHV/HV, with provision of certificates and flasg for household that did not eat raw fish. Data were collected by predesigned questionnaires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for 3 months. Comparative data was analyzed by paired simple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mean score of knowledge higher more than before the experiment (mean difference=3.1, t=3.915, 95%CI-3.3, -1.8 p-value=0.001), and the control group (mean difference=2.5, t=4.196, 95%CI=1.4, 3.6, p-value=0.001)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ean scores of practice were higher than before the experiment (mean difference=4.6, t=4.331, 95%CI-5.3, -3.1, p-value=0.001), and control group (mean difference=4.4, t=6.142, 95%CI=4.2, 7.9, p-value=0.001).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of opisthorchiasis, al well as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barriers to prevention of opisthorchiasis, were also higher than before the experiment and in the control group (p-value <0.001). In conclusion, this was a successfu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liver fluke avoidance. Therefore, it may useful for further behavior modification in the other epidemic areas.

바닷물과 조개에서 패혈증비브리오균 증식에 대한 천연물의 항균 효과 (Antibacterial effects of natural products on Vibrio vulnificus growth in seawater and shellfish)

  • 홍영진;류필열;김승용;염경민;박정업;조세진;궈루이홍;트란더베치;진항;김영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9-9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패혈증비브리오균에 대한 PEM, RCM, RRM과 CTM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96-well microplates를 사용한 액체 배양법 실험 결과 4가지 천연물은 200 ㎍/mL 농도에서 80%이상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페이퍼디스크 확산법을 사용하여 항균 활성을 평가한 결과 4가지 천연물은 20, 40 mg/disc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패혈증비브리오균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다음으로 4가지 천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MTS assay를 통해 HeLa 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한 결과 100, 200 ㎍/mL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LDH assay를 사용하여 패혈증비브리오균의 HeLa 세포에 대한 세포막 손상 억제 효과를 평가한 결과 PEM, RCM, RRM과 CTM 메탄올 추출물은 200 ㎍/mL 농도에서 세포막 손상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바닷물과 조개를 사용한 수족관 모델에서 4가지 천연물의 메탄올 추출물 혼합액 200 ㎍/mL 농도는 colony 생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패혈증비브리오균의 증식을 억제 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4가지 천연물의 메탄올 추출물은 바닷물과 해산물에 존재하는 패혈증비브리오균에 대해 뛰어난 항균효과를 나타내면서 인체에는 무해한 천연소독제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53 Codon 72 Polymorphism Interactions with Dietary and Tobacco Related Habits and Risk of Stomach Cancer in Mizoram, India

  • Malakar, Mridul;Devi, K. Rekha;Phukan, Rup Kumar;Kaur, Tanvir;Deka, Manab;Puia, Lalhriat;Sailo, Lalrinliana;Lalhmangaihi, T.;Barua, Debajit;Rajguru, Sanjib Kumar;Mahanta, Jagadish;Narain, Kanw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717-723
    • /
    • 2014
  •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p53 codon 72 polymorphism, dietary and tobacco habits with reference to risk of stomach cancer in Mizoram, India. A total of 105 histologically confirmed stomach cancer cases and 210 age, sex and ethnicity matched healthy population contro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Materials and Methods: The p53 codon 72 polymorphism was detected by PCR-RFLP and sequencing. H. pylori infection status was determined by ELISA. Information on various dietary and tobacco related habits was recorded with a standard questionnaire. Results: This study revealed that overall, the Pro/Pro genotyp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stomach cancer (OR, 2.54; 95%CI, 1.01-6.40) as compared to the Arg/Arg genotype. In gender stratified analysis, the Pro/Pro genotype showed higher risk (OR, 7.50; 95%CI, 1.20-47.0) than the Arg/Arg genotype among females. Similarly, the Pro/Pro genotype demonstrated higher risk of stomach cancer (OR, 6.30; 95%CI, 1.41-28.2) among older people (>60 years). However, no such associations were observed in males and in individuals <60 years of age. Smoke dried fish and preserved meat (smoke dried/sun dried) consumers were at increased risk of stomach cancer (OR, 4.85; 95%CI, 1.91-12.3 and OR, 4.22; 95%CI, 1.46-12.2 respectively) as compared to non-consumers. Significant gene-environment interactions exist in terms of p53 codon 72 polymorphism and stomach cancer in Mizoram. Tobacco smokers with Pro/Pro and Arg/Pro genotypes were at higher risk of stomach cancer (OR, 16.2; 95%CI, 1.72-153.4 and OR, 9.45; 95%CI, 1.09-81.7 respectively) than the non-smokers Arg/Arg genotype carriers. The combination of tuibur user and Arg/Pro genotype also demonstrated an elevated risk association (OR, 4.76; 95%CI, 1.40-16.21). Conclus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p53 codon 72 polymorphism and dietary and tobacco habit interactions influence stomach cancer development in Mizoram, India.

소아에서 진단된 다발성 저음영 결절 형태를 보인 간흡충증 1례 (A Case of Clonorchis Sinensis with Multiple Low Echogenic Nodules in a Child)

  • 황영준;한만용;하두회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1호
    • /
    • pp.123-128
    • /
    • 2001
  • 한국은 간흡충증의 집중유행지역이고 성인에서의 간흡충증과 합병증의 보고는 많이 있었으나 소아의 경우 보고가 없었다. 본 증례는 8세 소아의 대변검사에서 충란을 발견하여 간흡충증을 진단하였다. 방사선 검사 소견에서는 이전에 보고된 전형적인 간흡충증의 방사선 소견과는 달리 간내 말초담도계의 확장 없이 간실질에 다발성의 저음영 결절과 간문맥내에 임파선 증식을 보였다. 저자들은 환아의 과거력 및 임상증상과 말초혈액 검사소견 등을 미루어 볼 때, 이러한 소견을 간흡충 감염에서 급성기의 방사선학적 소견이 아닌가 추정하였다. 이에 8세 남아의 대변검사에서 충란을 발견하여 확진하고 praziquantel 경구복용으로 치유한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경상남도 일부 농촌지역의 간흡충 감염에 대한 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 Study of Clonorchis Sinensis Infestation in a Rural Area of Kyongsangnam-do, South Korea)

  • 주영희;오진경;공현주;손운목;김윤규;김정일;정갑열;신해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4호
    • /
    • pp.425-430
    • /
    • 2005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lonorchis Sinensis infestation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a population in a part of the rural area of Gyeongsangnam-do, Korea, which is an area known to have a high mortality from liver cancer and a high infection of C. sinensis. Methods : The study populat ion consisted of those people who have lived in rural areas and who were over 40 years ol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5 areas during the period from 1999 to 200 3. Informed consents were obtained from the 2,381 study participants, and these people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life style habits with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was administered by trained staff members. The subjects underwent blood sampling and their stool specimens were examined by using the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 Results : Among the study subjects (N=2,381), the positivity for C. sinensis in the stool was 34.4% (95% CI=36.3-42.5); it was 39.4% (95% CI=36.3-42.5) in the males and 30.9% (95% CI=28.5-33.3) in the females . The positivity for C. sinensis was associated with current alcohol drinking (odds ratio=1.8, 95% CI: 1.5-2.1) and raw fish consumption (odds ratio 1.2, 95% CI: 0.9-1.6).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e high prevalence of C. sinensis in the study subjec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sistent medical management and education program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 sinensis infestation in the rural inhabitants of Korea.

RNA-sequencing을 이용한 제주도 인접 바다의 메타전사체 프로파일링 (Marine Metatranscriptome Profiling in the Sea Adjacent to Jeju Island, Korea, by RNA-sequencing)

  • 황진익;강민경;김강은;정승원;이택견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625-629
    • /
    • 2020
  • 바다는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생물체의 풍부한 자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계절에 따른 제주 바다의 해양 미생물 군집을 확인하기 위해 3월과 12월에 해수 샘플을 수집하여 total RNA를 추출, HiSeq2000 및 de novo 전사체 어셈블리를 사용한 NG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월 및 12월 시료에서 각각 652,984 및 163,759 개의 전사체를 확인하였다. 3월 샘플에서는 해양 박테리아가 우점하였으나 12월 샘플에서는 진핵생물이 우점하였다. 박테리아 군집은 두 샘플간에 상이하였으며, 이는 계절 변화 동안 박테리아 군집이 변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해양바이러스를 확인하기 위하여, Megablast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참조 데이터베이스에 전사체를 검색하였다. 해양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박테리오파지가 두 샘플에서 우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두 개의 전사체에서 다양한 헤르페스바이러스와 관련된 transcripts가 풍부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제주도 인근 바다에서 물고기를 감염시키는 헤르페스바이러스의 위협 가능성을 나타낸다. 종합하면, 우리의 데이터는 해양 커뮤니티 연구 및 가능한 해양 바이러스 병원체를 식별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선천성 면역조절자인 항생펩타이드 분류 (Classific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among the Innate Immune Modulators)

  • 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833-838
    • /
    • 2015
  • 다제약제 내성을 가지는 슈퍼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기생충 감염은 주요한 건강위협인자들이다. 하지만, 건강위협 상황을 극복하기위해 현재 약제의 대안들중 항생펩타이드를 들 수 있다. 항생펩타이드는 자연계 다양한 종에서 생산된다. 항생펩타이드는 작은 단백질로 어류, 양서류, 파충류, 식물 그리고 동물의 감염으로부터 다세포생명체를 보호하는 선천성 면역에 관여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로 매년 항생펩타이드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박테리아, 원생생물, 곰팡이, 식물, 동물로부터 동정된 2,000가지 이상의 항생펩타이드가 항생펩타이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항생펩타이드의 대부분은 11-5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전상태는 0에서 +7까지이며 소수성은 31-70%를 차지하고 있다. 본 보고는 항생펩타이드를 생물학적 원천, 생물학적 기능, 펩타이드 성질, 공유결합패턴, 3차구조등에 의해 분류하였다. 항생펩타이드의 기능은 항균작용외에 세포주화성과 같은 세포생물학적 활성에도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림프절 스트로마로부터 기원한 fibroblastic reticular cell (FRC)에 염증상황 유도시 항생펩타이드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FRC로부터 유도된 항생펩타이드는 whey acidic protein (WAP) 도메인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것은 단백질 도메인에 의해서도 항생펩타이드를 분류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Cronobacter Species의 검출에 관한 연구동향: 총설 (Research Trend of Cronobacter Species Detection Methods: A Review)

  • 권희준;김명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28-736
    • /
    • 2015
  • Cronobacter spp.는 Salmonella spp.와 함께 조제분유에서 발견되는 미생물 중 위험도가 가장 높은 category A에 속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다. 1958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유아의 뇌수 막염의 원인균으로 보고되었으며, 감염 후 신생아에게서 괴사성 장염, 패혈증 등을 일으켜 후유증으로 시력과 청력 상실 및 신경마비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Cronobacter spp.의 신속 검출 및 진단은 식중독 예방에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2002년 미국 식품의약품안전국에서는 분유에서의 Cronobacter spp.를 EE broth, VRBG 배지를 이용해 균을 분리 하고, TSA 배지에 순수분리 후 노란색을 발하는 colony를 생화학적 실험을 통해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한, 우리나라 식품공전에서도 배지를 이용하여 Cronobacter spp.를 검출 하는 방법에 대해 등재하였다. 하지만 배지배양법을 기반으로 하는 Cronobacter spp.의 검출방법은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 등이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배지배양법을 보완하고자 PCR, real-time PCR 방법 및 최근에는 PCR기법과 ELISA, CE-LIF 등을 결합하여 검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Cronobacter spp.의 검출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Cronobacter spp.의 검출에 사용되고 있는 분자생물학적 기반의 PCR 및 real-time PCR 기법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좋으며, 배지배양법에 의한 검출방법에 비해 검출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까다로운 실험과정과 조작에 있어서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함은 한계점으로 사료된다. 면역학적 방법에 의한 Cronobacter spp. 검출에 관한 연구를 통해, 분석에 소요되는 상당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으며, 민감하고 특이적인 검출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일부 연구보고에서 면역학적 검출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 없으며, 간단한 지침에 따라 모니터링 업무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면역학적 검출방법에는 ELISA 방법 외에도 immunomagnetic bead, liposome, immunochromatographic strip 등이 개발되고 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영 유아 대상 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자 Cronobacter spp.에 대해서는 '불검출'로 기준을 설정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이에 관한 규정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식품산업체 및 식품 의 제조, 가공, 유통 현장에서 쉽게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신속, 민감하고 특이적인 검출방법의 개발은 지속되어야 한다.

국내 양식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 Anguilla bicolar)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내피세포괴사증(VECNE)의 감염 특성 (Characteristics of Viral Endothelial Cell Necrosis of Eel (VECNE) from Culturing Eel (Anguilla japonica, Anguilla bicolar) in Korea)

  • 김수미;고상무;진지혜;서정수;이남실;김영숙;구정희;배유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85-193
    • /
    • 2018
  • 2017~2018년에 거쳐 인천 및 경기지역 뱀장어 양식장 4개소를 대상으로 질병 예찰 및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특징적으로 아가미울혈증상을 동반한 질병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 질병은 크기에 상관없이 발생하지만 입식 후 3개월 이내의 당년생 뱀장어에서 감염 빈도와 누적 폐사율이 높게 나타났다. 감염어는 새변의 중심정맥동(CVS)의 심한 울혈과 팽창, 간과 신장 조직의 출혈 등과 같은 병리조직학적 감염 특성을 보였다. 또한 아가미 혈관내피세포의 핵과 세포질에서 정이십면체 구조를 가진 직경 70 nm 전후의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PCR에 의한 분자생물학적 진단법과 유전자 분석을 통해 이 질병의 원인 병원체는 일본에서 주로 보고한 뱀장어바이러스성내피세포괴사증(VECNE)의 원인체인 JEECV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국내 뱀장어 양식장에서 JEECV 및 VECNE 감염특성을 밝힌 첫 보고이다.

국내산 양식 뱀장어에서 항생제 내성 비브리오 세균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Vibrio Strains from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Cultured in Korea)

  • 박선영;김지형;전진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2호
    • /
    • pp.51-58
    • /
    • 2020
  • 2019년 11월, 국내의 뱀장어 양식장에서 양식 중이던 뱀장어가 피부궤양 및 피부의 점상출혈 소견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폐사하였다. 일련의 폐사는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지속되었다. Vibrio 속 균주 1E1-2는 첫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출혈성 복수에서 분리되었고 균주 2A3-1는 두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복수에서 분리되었으며 균주 3K1-2는 세 번째 폐사 사례에서 폐사한 뱀장어의 신장에서 분리되었다. 16S rRNA gene 시퀀스 분석으로, 분리균주 1E1-2와 3K1-2가 V. fluvialis NBRC 103150T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며 V. fluvialis로 동정되었으며, 균주 2A3-1는 V. plantisponsor NBRC103148T와 가장 높은 유사도를 나타내며 V. plantisponsor로 확인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로, V. fluvialis 1E1-2는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보였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V. plantisponsor 2A3-1는 ciprofloxacin과 levofloxacin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V. fluvialis 3K1-2는 tetracycline에 대하여 중등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고 ampicillin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국내 양식 뱀장어에서의 항생제 내성 비브리오 감염증 사례로, 의미 깊은 보고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