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abundance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32초

영암호 갑문식어도를 통한 어류의 회유 (The Fish Migration through Fishlock at Youngam Lake)

  • 황종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561-568
    • /
    • 2000
  • 1999년 4월부터 11월까지 전남 영암의 영암호 갑문식어도에서 매주 1회씩 어도로 들어오는어류를 채집한 결과 25종 116,014개체를 채집하였으며, 이중 웅어, 줄공치, 숭어 등 10종이 하천과 바다를 오가며 서식하는 회유성어류로 전채개체수의 99.5%를 차지하였다. 회유성어류중 개체수로는 줄공치, 빙어, 웅어 숭어의 순으로 많이 채집되고 이들 4종이 전 채집 개체수의 99%에 해당하고 나머지 6종은 매우 드물게 채집되었다. 빙어는 63%가 7월 20일, 숭어는 43%가 7월 15일, 웅어는 42%가 5월 10일, 줄공치는 35%가 5월1일에 채집되어 어종별로 뚜렷한 회유시기가 있었다. 회유성 어류중 담수호에서는 웅어, 빙어, 숭어, 문절망둑 등 7종이 채집되고 유입하천에서는 은어, 빙어, 뱀장어 등 10종이 채집되어 어도를 통하여 소상한 회유성 어류가 담수호를 통하여 하천으로 올라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한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황강달이(Collichthys lucidus)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Collichthys lucidus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 정수환;김병기;김지혜;김민규;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3-309
    • /
    • 2014
  • 황강달이의 섭식생태를 연구하기 위해 총 926개체를 한강 하구역에서 채집하였으며, 전장 범위는 3.5~18.5 cm였으며, 산란기는 5~7월 경이었다. 먹이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종은 능동적인 저서포식자이며, 특히 절지동물문 중 십각류인 중국젓새우와 밀새우를 주로 먹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종의 공복률은 총 23.8%였으며, 성장 및 계절에 따른 공복률의 변화가 있었으며 먹이생물 역시 각 특성에 따라 변하였다. 섭식행동 및 먹이생물 종은 계절에 따른 생식소 지수의 변화에 따라 변하였다. 한강 하구역의 황강달이 위 내용물에서는 넒은 범위의 먹이생물 종이 확인되어 비선택적 포식자로 볼 수 있다.

분류군별 외래생물 탐지를 위한 환경 DNA 메타바코딩 활용 가능성 (Feasibility of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for Invasive Species Detection According to Taxa)

  • 강유진;전정은;한승우;원수연;송영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2호
    • /
    • pp.94-111
    • /
    • 2023
  • 효과적인 외래생물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도입 및 확산 여부 평가를 위한 정기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환경 DNA (eDNA, environmental DNA) 메타바코딩은 높은 검출 민감도를 가지고 다수의 종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어 외래생물의 출현 여부와 그 영향을 평가하는데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어류를 중심으로 메타바코딩의 적용 가능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타 분류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 DNA 메타바코딩을 활용한 국내 외래생물 탐지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분류군별 검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어류, 포유류, 조류, 양서류를 목표로 디자인 된 4가지 범용 프라이머(MiFish, MiMammal, Mibird, Amp16S)를 활용하여 대상종 검출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총 55개 지점 중 17개 지점(Trachemys scripta, 3개 지점; Cervus nippon, 3개 지점; Micropterus salmoides, 7개 지점; Rana catesbeiana, 4개 지점)에서 대상종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대상지 내 조밀한 지점 선정에도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검출 지점에 차이가 나타났다. 큰입배스와 붉은귀거북을 중심으로 외래생물이 출현이 생물 군집구조(종 풍부도, 풍부도, 다양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외래생물이 서식하는 지점에서의 다양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외래생물 출현 지점에서 출현 종 수가 1~4종 추가 검출되었으며 풍부도 또한 1.7배 높게 나타났다. 메타바코딩을 통한 외래생물 검출 결과 및 군집구조 비교는 eDNA를 통한 다량의 모니터링 데이터 구축이 다차원적 생태계 평가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환경의 인위적, 자연적 변화에 따른 생물상 변화를 관찰하고 자연생태 분야의 환경영향평가 등 현황 평가 및 예측을 위한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1차원 및 2차원 물리서식처 모형을 활용한 안동댐 하류 하천의 환경생태유량 및 어류서식처 추정 (Estimation of ecological flow and fish habitats for Andong Dam downstream reach using 1-D and 2-D physical habitat models)

  • 김용원;이지완;우소영;김수홍;이종진;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2호
    • /
    • pp.1041-1052
    • /
    • 2022
  • 본 연구는 낙동강 본류의 안동댐 하류(4,565.7 km2) 하천을 대상으로 1차원 물리적 서식처 모형인 PHABSIM과 2차원 물리적 서식처 모형인 River2D를 활용하여 대상어종에 대해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고 어류서식처에 대한 2차원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서식처 모형의 구축을 위해 낙동강유역의 하천기본계획보고서를 활용하여 하천단면정보와 수리학적 입력자료를 수집하였다. PHABSIM 구축범위는 구담수위관측소(GD)로부터 약 410.0 m, River2D의 경우 GD를 포함한 약 6.0 km에 대해 구축하였다. 대상어종 선정 및 HSI 구축을 위해 대상하천의 하류에 위치한 풍지교에서 어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어류 현장조사 결과, 피라미가 우점종으로 나타나 피라미(Zacco platypus)를 대상어종으로 선정하였고 피라미의 물리적 서식처 특성을 활용하여 HSI를 구축하였다. 피라미의 최적 HSI 범위는 유속에서 0.3~0.5 m/s, 수심에서 0.4~0.6 m, 그리고 하상재료는 모래에서 잔자갈로 나타났다. HSI를 PHABSIM에 적용하여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한 결과, 대상하천의 최적 환경생태유량은 20.0 m3/sec로 산정되었다. River2D를 활용하여 어류서식처의 2차원 공간분석을 수행한 결과 WUA는 환경생태유량 조건에서 107,392.0 m2/1000 m으로 산정되었고, Q355 조건과 비교하여 하천 전반적으로 어류서식처가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치모델을 이용한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환경관리 방안 (Environmental Management of Marine Cage Fish Farms using Numerical Modelling)

  • 권정노;정래홍;강양순;안경호;이원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4호
    • /
    • pp.181-195
    • /
    • 2005
  •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양식 활동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통영주변의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Site A)에서 해수유동, 퇴적물, 저서동물 및 트랩 등의 현장조사와 수치모델-DEPOMOD를 이용하여 가두리양식장의 고형물 침강량 예측과 적정 고형물 침강량 산정으로 해상가두리양식장의 환경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인 Site A 해상어류가두리양식장의 입식 어종은 common sea bass(Lafeolabrax japonicus), red seabream(Pagrus major), striped breakperch(Oplegnathus fasciatus) 등 4종이고, 입식량은 227,800미 (23.1MT) 였다. 가두리양식장의 입식밀도는 $43.0kg\;m^{-2}(6.1kg\;m^{-3})$ 이고, 사료투여 량은 $30.8g\;kg^{-1}day^{-1}(1.32kg\;m^{-2}day^{-1})$ 이였다. Site A 가두리양식장 중심의 저층 퇴적물의 ORP, AVS, COD, 탄소 및 질소 농도는 각각 -334.6mV, $0.43mg\;g^{-1}dry,\;17.75mg\;g^{-l}dry,\;10.19mg\;g^{-1}dry$$3.49mg\;g^{-1}dry$ 였다. 저서동물은 Capitella capitata가 $57.8\%$로 우점하였고, Infaunal Trophical Index(ITI)는 가두리 가장자리에서 20m 거리 내까지 20 이하로 나타났다. 트랩조사 결과 Site A의 고형물 침강량은 0m에서 $34,485g\;m^{-2}yr^{-1}$, 42m지점에서 $18,915g\;m^{-2}yr^{-1}$침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예측 결과 Site A의 사료 미섭이율은 $40\%$, 연간 고형물 침강량은 63,401 kg으로 연간 사료 급이량의 $24.4\%$이고, 고형물 침강 면적은 $8,450m^2$으로 가두리 시설 면적의 16배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ITI와 저서동물의 풍도를 통한 Site A의 지속 가능한 고형물 침강량은 $10,000g\;m^{-2}yr^{-1}$ 이하 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가두리양식장에서 고형물 침강량의 주 요인은 높은 미섭이율이고, 고형물 침강량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사료 섭이효율을 높여주어야 한다. 모델에 따르면 미섭이율을 $40\%$에서 $10\%$로 줄이면 고형물 침강량이 1/2 수준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습사료, 생사료의 사용 대신에 배합사료(EP)를 사용할 경우 $57\%$정도 침강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두리양식장의 허가면적에 대한 시설 면적비는 $5\%$미만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진해만 동부해역에 출현하는 자치어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es in the eastern Jinhae Bay, Korea)

  • 김현지;정재묵;박종혁;허성회;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1호
    • /
    • pp.81-88
    • /
    • 2018
  • A study for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fish assemblages in the eastern Jinhae Bay, Korea was conducted using monthly larval collection by a RN80 net from October, 2010 to September, 2011. Of all the 45 species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Clupea pallasii, Hexagrammos otakii, Pholis fangi and Engraulis japonicus. Clupea pallasii, Hexagrammos otakii, Pholis fangi in winter and examined Engraulis japonicus, Acanthogobius sp., Parablennius yatabei, and Tridentiger trigonocephalus in summer appeared seasonally. Popoulation characteristic by stations was not clear seasonally and spatially, and appearance aspects of dominant species were similar by stations. Compared our results with other studies in the South Sea, dominant species and their appearance period were similar to their spawning period. Finally, the appearance period of the larvae in the South Sea was closely resulted to spawning period rather than the regional characteristic.

기후변화에 대비한 환경연구의 방향 (Consideration on new research direction in marine environmental science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 김수암
    • 환경정책연구
    • /
    • 제1권1호
    • /
    • pp.1-24
    • /
    • 2002
  •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greenhouse gases in atmosphere, world climate is rapidly changing and in turn, the earth ecosystem responds upon the climate changes. Comparing the ecosystem in the past, the present shapes of ecosystem is the result of the serious modification. Fishery resources in marine ecosystem, which usually occupy the upper trophic level, are also inevitable from such changes, because they always react to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northwestern Pacific is the most productive ocean in the world producing about 30% of world catch. From time to time, however, it has been notified that abundanc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major fish species were altered by climate events. Furthermore, primary productivity of the ocean is not stable under the changing environments, so that carrying capacity of the ocean varies from one climate regime to another. Major climate events such as global warming,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n, climate regime shift in the North Pacific, and El Nino event in the Pacific tropical waters were introduced in relation to fisheries aspect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jection of fishery production was investigated, especially in the North Pacific including Korean waters. This new paradigm, ecosystem response to environmental variability, has become the main theme in marine ecology and fishery science, and the GLOBEC-type researches might provide a solution far cause-effect mechanism as well as prediction capability. Ecosystem management principles for multi-species should be adopted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ecosystem.

  • PDF

Distribution and attachment characteristics of Sida crystallina (O.F. Müller, 1776) in lentic freshwater ecosystems of South Korea

  • Choi, Jong-Yun;Jeong, Kwang-Seuk;Kim, Seong-Ki;Son, Se-Hwan;Joo, Gea-J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1호
    • /
    • pp.45-54
    • /
    • 2016
  • Background: Macrophytes are commonly utilised as habitat by epiphytic species; thus, complex macrophyte structures can support high diversities and abundances of epiphytic species.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presence of aquatic macrophytes is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Sida crystallina (O.F. Muller, 1776) distribution. Results: An ecological survey was conducted in 147 lentic freshwater bodies. S. crystallina was frequently observed, and its density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macrophyte abundance. S. crystallina was found on emergent plant species such as Phragmites australis and Paspalum distichum, attached to the stem surfaces by adhesive substances secreted by the nuchal organ. Thus, S. crystallina was more strongly attached to macrophytes than to other epiphytic cladoceran species. We found higher densities of S. crystallina in filtered water with increased macrophyte shaking effort (i.e. 10, 20, 40, or 80 times). S. crystallina attachment was not related to fish predation. Stable isotope analysis showed that S. crystallina utilises epiphytic organic matter (EOM) on macrophytes as a food source. Conclusions: Consequently, S. crystallina seems to have a strong association with species-specific macrophyte biomass than with other cladoceran species, which may contribute to this species' predominance in various freshwater ecosystems where macrophytes are abundant.

Study on Operational Factors in a Nitrite-Accumulating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 Yoo Ik-Keun;Lim Kyoung-Jo;Lee Won-Sik;Kim Dong-Jin;Cha Gi-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69-474
    • /
    • 2006
  • Partial nitrification blocking of the oxidation of nitrite ($NO_{2}^{-}$) to nitrate ($NO_{3}^{-}$) has cost-efficient advantages such as lower oxygen and organics demand for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respectively. A nitrifying membrane bioreactor of submerged type was operated for the treatment of synthetic ammonium wastewater with the purpose of nitrite build-up without affecting the efficiency of ammonium oxidation. A high ammonium concentration (1,000 mg/l) was completely converted to nitrate at up to 2 kg $N/m^3$ day under sufficient aeration. The control of pH under sufficient aeration was not a reliable strategy to maintain stable nitrite build-up. When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was kept at 0.2-0.4 mg/l by adjusting the aeration rate, about 70% of nitrite content was obtained with ammonium oxidation efficiency higher than 93%. The increase of suction pressure due to membrane fouling was not significant under lowered aerating environment over a 6-month period of operation. The composition of nitrifier community, including relative abundance of nitrite oxidizers in a nitrite-accumulating condition, was quantified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analysis.

우유 단백질과 알레르기 (Milk Proteins and Allergy)

  • 남명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35-41
    • /
    • 2010
  • 식품과민반응의 선천적 이력(natural history)과 방어의 이해는 식품 알레르기 환자의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주제에 관하여 많은 연구내용들이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데이터에서 몇 가지 분명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식품 알레르기는 매우 일반적인 것이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의 거의 대부분은 생후 1~2살에 시작한다. 셋째, 모든 식품 알레르기는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에 대한 예외가 있지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 식품 알레르기는 대부분의 어린이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없어지지만 일부는 호흡기 알레르기로 발달하여 종종 아토피질환의 시초가 된다. 마지막으로 적어도 몇 가지 식품 알레르기는 유아기와 어린이 시기에 주요 식품알레르겐들을 피함으로써 막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