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Habitat selectivity and ecology of freshwater fishes were studied in two selected streams and their junction point which consist a total of 39 microhabitat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habitat preference and its availability to fish assemblage, as well as ecology, habitat us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Methods: We collected fish with backpack electrofishing three times during August 2013, December 2013, and March 2014. Using a variation partitioning approach of R software, we studied the relationship of fish abundances with stream type, habitat type, and abundance of key macroinvertebrate taxa. Results: A total of 6554 fishes representing four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Cyprinidae were caught. A higher total fish abundance was recorded from Gereb Tsedo (4870; 74.3%) than from Elala stream (1684; 25.7%). Taking both streams together, the overall total relative fish abund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ools (53%) than in runs (35%) and in riffles (12%) at P < 0.05. Species-wise comparisons showed that 71%, 15%, 13%, and 1% of the pool fish community were occupied by Garra blanfordii, Garra ignestii, Garra dembecha, and Garra aethiopica, respectively. Stream type, habitat type, and key macroinvertebrate taxa each explaine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variation in fish abundance. Based on the variation partitioning approach, fish abundance was higher in Gereb Tsedo stream (P < 0.01). Moreover, fish abundance increased with pool habitat type (P < 0.01) and with availability of key macroinvertebrate taxa (P < 0.01). Conclusion: Fish abundance differed between stream types, among habitats and among key macroinvertebrate taxa availability. Among the factors, habitat type was the most important driving factor behind variation among fish abundances, and pool supports the highest fish abundan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o determine season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decapod assemblag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abundance in an eelgrass bed of Jindong Bay. A total of 26 fish species and 29 decapod species were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from an eelgrass bed in Jindong Bay in 2002.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Hexagrammos otakii, Pholis neulosa and P. fangi and these accounted for 48.4 % i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Dominant decapod taxa were Palaemon macrodactylus, Charybdis japonica, Pagurus minutus and C. bimaculata. These were primarily small species or early juveniles of larger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varied greatly showing a peak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April and May, and peak biomass in fish in July and decapods in August. Catch rate was low in winter months both in fish and in decapod. Seasonal changes in the abundance of fishes and decapods corresponded with eelgrass biomass and abundance of food organisms indirectly.
Imam Bachtiar;Edwin Jefri;Muhammad Abrar;Tri Aryono Hadi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제25권11호
/
pp.549-558
/
2022
The Indonesian Archipelago has a very complex geological history, along with equatorial warm sea temperature, resulting in diverse types of coral reefs and high diversity of coral reef fish. Many livelihoods of the coastal community are dependent on coral reef fisheri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which region and location in the Indonesian Archipelago has the most diverse and abundant coral reef fish. The archipelago was divided into four regions: the Indian Ocean, Sunda Shelf, Wallacea, and the Pacific Ocean. Data were obtained from a national coral reef monitoring program of the Indonesian Research Center for Oceanography (RCO)-the National Board for Research and Innovation (BRIN). The reef fish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underwater visual census method, from 321 belt transects on 24 locations (districts) across the archipelago. The results show that coral reef fish diversity of the Pacific region was the highest across the archipelago for all three trophic levels, i.e., corallivore, herbivore, and carnivore fish. The Pacific Ocean region also had the highest fish abundance for the three trophic levels. Comparison among locations revealed that the best ten locations in reef fish diversity and abundance were Sabang, Mentawai, Makassar, Selayar, Buton, Luwuk, Ternate, Raja Ampat, Biak, and Wakatobi. Wakatobi reefs showed their supremacy in carnivore fish diversity and abundance, while Biak reefs were the best in herbivore fish. The abundance of corallivore fish was also considerably high in Sabang reefs, but it is still lower than in Raja Ampat, Biak, and Wakatobi reefs. These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the coral reefs of Wakatobi and Biak are the hottest hotspots of coral reef fish diversity and abundance in the Indonesian Archipelago.
Fishes are found in different lentic and lotic aquatic ecosystems.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fish communities is a crucial component of water quality evaluations and conservation strategies in flowing rivers. The present study i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ish species diversity, richness, and abundance in two second-order streams: Gereb Tsedo (GTS) and Elala in the Tekeze sub-basin. We collected fish with backpack electrofishing during August and December 2013 and March 2014. Fish species richness and the total number of species per stream and per microhabitat were calculated for each stream. Species diversity for each site was calculated using the Shannon index of diversity using the standard formula H' = -Σpi ln (pi). Diversity data among habitats and streams were compar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ukey post hoc comparisons,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STATISTICA 11. A total of 6,554 specimens representing four species: Garra blanfordii, Grra ignestii, Garra dembecha and Garra aethiopica, were caught. They are all indigenous riverine fish species of the family Cyprinidae. Fish abund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TS than Elala stream (t-test, t = 1.444, df = 3, p < 0.05). Across the two streams, the overall relative fish abundance was higher in pools, with 53%, followed by runs and riffles with 35% and 12%, respectively. Garra blanfordii was dominant in pools while G. aethiopica was the least dominant. Stream and habitat types were likely the more important driving factors behind the observed patterns of diversity, although the impact of other, not evaluated variables cannot be excluded. Most likely, the observed patterns do not represent a signature of fish dispersal limitation given that almost all species were widely distributed across the study area.
Ocean climate variables ($1900{\sim}2005$), time series of catches ($1910{\sim}2005$) and body size data were used to assess the year-to-year and decadal scale fluctuations in abundance of the fish populations (Japanese sardine, anchovy, jack mackerel, chub mackerel, Pacific saury and common squid) that have spawning grounds in the East China Sea and its adjacent region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bundance of pelagic fishes (e.g. jack mackerel)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region and the Kuroshio-Oyashio Current (KOC) region was attributed to the climatic modulation of larval transport and recruitment, which depends on the winter monsoon-induced drift, current systems, and spawning season and site. The changes in abundance and alternation of dominant fish populations in the two regions in the 1930s, 1970s, and late 1980s mirrored changes in the climate indices (ALPI, AOI and MOI). Oscillations in the decadal climate shifts between the two regions led to zonal differences in larval transport and recruitment, and hence differences in the abundance of the pelagic fish populations. During deep Aleutian Lows, as in the 1980s, larval transport from the East China Sea to the KOC region increases in association with the strong winter Asian monsoon, cool regime and increased volume transport of the Kuroshio Current systems, whereas during a weak Aleutian Low (as in the 1990s), larval transport to the TWC region increased in association with a weak winter Asian monsoon, a warm regime, and increased volume transport of the Tsushima current system. We postulate that the increased chub mackerel abundance in the TWC region and the decreased abundance in the KOC region in the 1990s are partly attributed to changes in recruitment and availability to the fishing fleets under the warm regime in the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in the East China Sea in association with the quasi-steady state of mild winter monsoon in the 1990s. The fluctuations in chub mackerel and jack mackerel abundance are under the environment-dependant growth form, although the tropicalization was identified in the TWC region. The density-dependant growth form was found in Japanese sardine populations, but no tropicalization by fishing was identified in the long ($10{\sim}15$ year) periods of abundance despite their short ($3{\sim}4$ year) generation time, suggesting that the environment-dependant growth form drove the changes in abundance. Year-to-year and decadal scale variations in abundance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Pacific saury responded to climate regime shifts (1976/1977, 1988/1989), suggesting that the fish is a key bio-indicators for changes in the ecosystem.
Coral reef fisheries are prominent for the archipelagic countries' food sufficiency and security. Studies showed that fish abundance and biomass are affected by biophysical variables. The present study determines which biophysical variables are important predictors of fish diversity, abundance, and biomass. The study used available monitoring data from the Indonesian Research Center for Oceanography, the National Board for Research and Innov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45 transects in 19 locations distributed across the Indonesian Archipelago, including the eastern Indian Ocean, Sunda Shelf (Karimata Sea), Wallacea (Flores and Banda Seas), and the western Pacific Ocea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 were administered to 13 biophysical metrics against 11 variables of coral reef fishes, i.e., diversity, abundance, and biomass of coral reef fishes at three trophic levels. The results showed for the first time that the covers of other fauna, coral rubbles, and soft corals were the three most important predictor variables for nearly all coral reef fish variables. Other fauna cover was the important predictor for all 11 coral reef fish variables. Coral rubble cover was the predictor for ten variables, but carnivore fish abundance. Soft coral cover was a good predictor for corallivore, carnivore, and targeted fishes. Despite important predictors for corallivore and carnivore fish variables, hard coral cover was not the critical predictor for herbivore fish variables. The other important predictor variables with a consistent pattern were dead coral covered with algae and rocks. Dead coral covered with algae was an important predictor for herbivore fishes, while the rock was good for only carnivore fishes.
I provide an overview of the application of hydroacoustic methods in South Korea to understand the current research status in relation to fisheries acoustics and to determine which areas require further study. One main purpose for using a scientific echosounder, a representative tool using the hydroacoustic method, is to evaluate the abundance of fisheries resources. Thus, two representative methods for abundance estimation are described. The history of fisheries acoustics worldwide is also summarized.
남당리 조간대 천해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지인망으로 천해 어류를 채집하여 월별 종조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방조제 건설 직후인 1985~86년과 1993년에 같은 방법으로 조사된 자료와 비교하여 중장기 어류 종조성 변화와 그 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5종, 2,194마리, 16,762 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가 개체수의 68.5%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수온이 낮은 11월에서 4월 사이에는 소수 개체만이 채집되었고 7월에 9월 사이에는 주거종뿐 아니라 부어류와 반 저어류의 유어들이 증가하여 채집량이 많았다. 1985~86년에서 1993년 사이에는 세립퇴적물을 선호하는 얼룩망둑이 증가하였지만 채집량과 서식처별 어종조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010~11년에는 이전 두 시기에 비해 출현종수와 채집량이 감소하였으며, 종조성도 부어류와 저서어류는 감소하였고 반저어류 중 가숭어는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방조제 건설 이후 해수 순환 약화로 세립퇴적물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우기에 부영양화된 담수가 유입되어 점진적으로 수질이 나빠지면서 천수만이 어류 보육장으로의 기능이 약화되고 대부분 저서어류가 살기에 부적합한 환경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숭어는 수질저하에 잘 적응하는 기수성 어류로 근래에 만내부에 가두리 양식이 시작되며 가두리를 벗어난 치어들이 많아져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Rice paddy fields have been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habitat for avian wetland foragers, and fish-rice farms have become a new tool in improving the abundance of aquatic animals. However, the use of the habitats by avian foragers, particularly by oriental storks ($Ciconia$$boyciana$), was not well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how a fish-rice farm influenced the abundance of aquatic animals and documented the foraging behavior of the two captive bred oriental storks in a closed semi-natural paddy fiel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fish refuge pond (water depth 40 cm) had a higher abundance of fish whereas the areas planted with rice (water depth 20 cm) had more tadpoles and some aquatic insects. The two captive bred oriental storks captured mostly fish and aquatic insects in the rice-planted area and mostly fish in the fish refuge pond. The two oriental storks had higher foraging success and spent more time for foraging in the rice-planted area than in the fish refuge pon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oriental storks might prefer foraging in the area with fish, aquatic insects, and amphibians under a greater success rate presumably due to shallow water depth in the paddy fields with a fish-rice farm.
한실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출현량의 계절적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1985년 2월부터 1986년 1월까지 1년간 매달 어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기간동안 19과 35종에 속하는 총 4,646마리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10cm이하의 소형 어류였다. 2. Pholis taczanowskii, Pseudoblennius cottoides, Tridentiger trigonecephalus 및 Syngnathus schlegeli의 4어종이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채집된 총 개체수의 약 $64\%$를 차지하였다. 3. Sebastes inermis, Platycephalus indius 및 Limanda yokohamae 등과 같은 상업성 어종의 어린치어들도 잘피밭에서 채집되었다. 4. 종조성과 출현량의 계절적 변동은 잘피밭을 이용하는 어류 군집의 특징이었다. 어류의 최대 출현량은 4월과 10월에 나타났으면, 겨울에는 상당히 낮은 출현량을 보였다. 주요 어종은 각자 독특한 출현량의 계절적 변동 양상을 보였는데, 일반적으로 한 어종의 최대 출현량이 나타나는 시기와 다른 어종의 최대 출현량이 나타나는 시기는 $1{\sim}3$개월 정도 분리되어 있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