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st permanent molar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17초

하악(下顎) 제2대구치(第二大臼齒)의 맹출과정(萌出過程)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F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SECOND PERMANENT MOLAR)

  • 김무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3-63
    • /
    • 1979
  • To Study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second permanent molar, the author took 425 cases of Oblique Cephalogram from 6 to 13 years old children and observed the vertical and mesiodistal directional change and tooth axis chan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second permanent molar was changed at about 10.0~10.1 ages or calcification stage IX. 2. At the early stage, the path of eruption of the mandibular second parmanent molar directed upward and forward and after calcification stage IX it changed to the direction of upward. 3. At the early stage, the distance from the distal end of the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to the anterior portion of the ascending ramus was 0.9~1.0 times larger than the mesio-distal diameter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but at the later stage it was increased 1.4 times larger than the mesio-distal diameter of the mandibular second permanent molar.

  • PDF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과 골격성 부정교합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Ectopic Eruption of the Maxillary First Permanent Molar and Skeletal Malocclusion)

  • 나유진;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47-153
    • /
    • 2017
  • 본 연구는 5 - 10세 아동에서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과 골격적 부정교합 유형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이 있는 93명의 아동을 실험군으로, 이소맹출이 없는 693명의 아동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제1대구치가 맹출 전이거나 제2대구치가 맹출을 완료한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계측을 통해 골격적 부정교합의 유형을 조사, 분석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이 57.0% 이었고, 대조군에 비해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SNA, ANB, A to N-perpendicular는 실험군에서 작은 경향을 보였고, A-B plane angle과 APDI는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SNB와 mandibular plane angle은 두 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상악의 열성장이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가역성 이소맹출로 분류된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 특성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RADIOGRAPHIC STUDY OF ERUPTION CHARACTERISTICS FOR UPPER PERMANENT 1ST MOLAR CLASSIFIED AS IRREVERSIBLE ECTOPIC ERUPTION)

  • 임엘;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56-562
    • /
    • 2009
  • 이소맹출은 유전적 요인 혹은 여러 가지 국소적 요인에 의해 치아가 비정상적인 위치로 맹출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소맹출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치아는 상악 제1대구치로 이를 방치할 경우 인접치의 치근흡수 및 이에 따른 조기탈락으로 영구치 맹출공간 부족을 야기하며, 결과적으로 부정교합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치료에 앞서 이소맹출중인 치아가 자발적으로 맹출하기를 기다려볼 것인지 혹은 조기에 치료를 하여 제2유구치의 치근흡수나 탈락을 예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이를 위한 몇몇 진단학적 기준이 제시되고 있으나 학자간 이견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이 조기 발견된 증례들 중 전방에 위치한 제2유구치의 치근이 흡수되어 비가역적 특징을 보인다고 판단되는 증례에 대해 특별한 처치 없이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자발적으로 해소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상악 제2유구치 치근흡수의 정도와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 기울기에 따른 후향적 분석을 통해 상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유형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상악 제2유구치의 치근 흡수 정도에 따라 grade I에서 IV로 분류하였고,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상에서 양측 안와의 최하방점을 연결한 수평선과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면을 따라 연결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근심각(mesial angle)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는 상악 제2유구치의 치근 흡수 정도보다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 기울기가 이소맹출의 유형을 진단하는 데에 있어 더 신뢰할만한 기준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 PDF

매복 미맹출 제 1대구치의 외과적 노출과 교정력을 이용한 견인의 치험례 (SURI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IMPACTED FIRST MOLAR)

  • 유정민;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59-866
    • /
    • 1996
  • It is a relatively rare clinical experience to see the impacted first molar. The first permanent molar is the key in normal occlusion. Abnormal eruption of the first permanent molars would inflict normal development of dental arches and give rise to abnormal root resorption of the adjacent teeth. Therefore, the abnormally erupted first permanent molars should be detected and treated early in order to obtain proper occlusal guidance in mixed dentition period. This report presents two cases on distally tilted and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s which were treated by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action using facial mask.

  • PDF

Modified Halterman Appliance를 이용한 제 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TREATMENT OF PERMANENT FIRST MOLAR BY MODIFIED HALTERMAN APPLIANCE)

  • 김영재;김종철;손동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71-775
    • /
    • 1997
  • Ectopic eruption is defined as abnormal eruption and results in malpositioned teeth and abnormal root resorption of adjacent teeth. Ectopic eruption, first reported by Chapman, occurs in 3% of the population and that mostly in the maxilla. Etiologic factors include narrow maxilla, large maxillary teeth, retarded calcification of the first molar, inclined eruption path of the first molar and retruded position of the maxilla. Impaction of the second molar is rare and occurs mostly in the mandible. Major causes are large teeth and insufficient arch length. Halterman has devised a method of distalizing a ectopically erupting first molar by cementing a band on the second deciduous molar with a hook soldered and a button bonded to the occlusal surface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Ectopically erupted posterior teeth should be treated early to maintain normal development of the dentition, harmony of facial growth and occlusal support, a failure to do so could result in severe malocclusion, periodontal damage and continued root resorption of the adjacent teeth.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is thus vital. The author is submitting this report as he has obtained favorable results in treating a patient who came to the SNUDH Dept. of Pediatric Dentistry complaining of the first molar by using a modified Halterman appliance.

  • PDF

영구치 맹출양상에 관한 연구(제1대구치) (The Study of Eruption Process of the Permanent Teeth (First Permenent Molar))

  • 김진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1권12호통권175호
    • /
    • pp.1005-1010
    • /
    • 1983
  • To study the eruption process of the permanent tooth, esp., 1st molar, the author took 303 cases of oblique cephalogram (Male. 162 cases, Female: 141 cases) from age 3 to 8 yea old children, and observed the vertical change and axial change. The result were as follow: 1. The mesial end of upper 1st molar was closer to the occlusal plane than the distal, and they were erupting toward the occlusal plane by aging. In the case of lower 1st molar, the distal end was closer to the occlusal plane than the mesial and the occlusion showed the tendency to accord with the plane to be settled by aging. 2. Eruption rate of the upper and lower 1st permanent molar increased rapidly at 5 or 6 years of age. 3. Axial inclination of lower 1st permanent molar to the mandibular plane decreased gradually from 3 years of age, except for 6 years of age. There was some increase at 5 or 6 years of age.

  • PDF

Jones Jig를 이용한 하악 제 1 대구치 원심이동의 치험례 (Distalization of the lower first molar using Jones Jig)

  • 이상민;김종범;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43-548
    • /
    • 1997
  • The first permanent molar takes important place in the occlusion. Malposition of the lower first molar is frequently due to mesial migration, which is occurred by early exfoliation of the second deciduous molar or proximal caries of deciduous teeth. Above things happen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space maintainer, prompt measures for space regaining have to be started. Especially in the case with early loss of the second deciduous molar, it has been said that there is no suitable appliance for maintaining the space before the eruption of the permanent first molar. In distalizing the upper first molar, headgears have been routinely used, which its result was definitely depended on cooperation of the patients. Nowadays, appliances such as pendulum appliances, K-loop, magnets, which can be used without cooperation of the patients, are introduced. Jones Jig, one of the molar distalizing appliances, was used on the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complaining of no eruption space for the lower second bicuspid. Either removable splint or lingal arch was used as the anchorage. Jones Jig was favorably used in the lower molar, where vestibule is shallow, and this is a case report on the satisfactory result thereof.

  • PDF

Dental Management of First Permanent Molars in Molar-incisor Malformation Patients: A Case Report

  • Seung-Hyun, Kim;Gi-Min, Kim;Jae-Sik, Lee;Hyun-Jung, Kim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81-189
    • /
    • 2022
  • Molar incisor malformation (MIM) has been introduced as a new type of dental anomaly. Currently, the morphological and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M are known; however, its etiology has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o date, the long-term prognosis of first permanent molars (FPM) affected by MIM has rarely been reported, and few treatment guidelines have been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was to present guidelines for the extraction of FPM affected by MIM,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third molar. In patients with a third molar, spontaneous mesial shift of the posterior molars might be induced by extracting the FPM at an appropriate time, that is, when the second permanent molar is at an early furcation stage of the tooth. However, it is recommended that FPM be preserved for as long as possible if a third molar does not exist. When an FPM needs to be extracted, it is suggested to consider space maintenance.

하악 제1대구치 맹출 장애에서 Cantilever-Type의 견인 장치를 활용한 맹출 유도 (Cantilever-Type Traction Appliance for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s with Eruption Disturbances)

  • 임희정;이은경;정태성;신종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29-236
    • /
    • 2021
  •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는 매우 드물지만, 발생할 경우 교합 발육에 다양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장애의 조기 진단과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맹출 장애를 가진 하악 제1대구치의 두 증례에 대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하악 제2유구치를 고정원으로 하는 cantilever-type의 spring을 추가한 견인 장치를 적용하여 매복된 제1대구치 견인을 시행했다. 따라서, 건전한 제2유구치가 존재하는 환자에서 이 장치가 짧은 시간 안에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정상적인 맹출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부적절하게 수복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 야기된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TREATMENT OF ECTOPIC ERUPTING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CAUSED BY IMPROPERLY RESTORED STAINLESS STEEL CROWN : CASE REPORT)

  • 박주석;최병재;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8-102
    • /
    • 2000
  • 이소맹출이란 영구치열의 발육 과정중에 국소적 맹출장애로 인하여 정상적 위치에서 벗어난 치아의 맹출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소맹출은 $2\sim6%$정도의 이환율을 보이고, 제1대구치에서 호발하며 주로 상악에서 많이 나타나고 하악에서는 드물다. 이소맹출의 원인은 국소적 원인으로 부적절한 치열궁 길이, 상악 후방부의 성장 부족, 제1대구치의 근심 맹출, 비정상적으로 큰 제 1대구치 등이 있고, 유전적인 원민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부적절하게 형성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다. 이소맹출된 치아중 66%는 가역성이므로 $3\sim6$개월 정도의 관찰 기간이 요구된다고 하였으며, 비가역성 이소맹출인 경우에는 brass wire나 elastic separator를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치료 방법, 제2유구치의 distal discing, Humphrey appliance 등과 같이 제2유구치를 유지하면서 치료하는 방법 및 제2유구치 발거후 가철식 장치나 cervical traction headgea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소개되고 있다. 본 증례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7세된 남환아로 구강 검사 및 방사선 사진 검사 결과, 4년전 개인 치과의원에서 수복된 우측 하악 제2유구치의 stainless steel crown에 우측 하악 제 1대구치가 고착되어 근심으로 심하게 경사된 양상을 보였다 원인이 stainless steel crown을 제거하고, Humphrey appliance를 제작하여 장착하였으며, 약 10주 후에 고착 상태가 해소되었다. 본 증례에서와 같이 이소맹출은 부적절하게 형성된 stainless steel crown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므로, stainless steel crown의 수복 치료에 있어서, 적절한 크기의 선택, trimming 및 contouring 등이 매우 중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