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st Year Nursing students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학생의 안전의식 및 실천정도와 안전사고 발생 실태 (Safety-awareness, Safety-practice and Accident Occurrence among Elementary Students)

  • 심은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58-27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safety-awareness among elementary students, identify their safety-practices and actual status of accidents. The study was also done to acquire basic information on safety education to help students be more aware of safety, and more active in accident-prevention activities. A random sample was taken of 763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4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Of the 735 questionnaires collected, 684 were complete and were used in the analysis.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safety-awareness score was relatively high at 139.06 of a maximum of 164. and respondents were most conscious of the section on Home Safety. Second, the safety-practices of the respondents was at the middle level with a mean score of 56.01 of a maximum of 80. Th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practice of the respondents were education of their parents, recognized learning proficiency, awareness of need for safety education, and level of safety-education conducted by parents. Third, $53.4\%$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one or more accidents during the past year. Most of the accidents occurred during play and recreation and home accid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ccidents.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accidents were gender, relationship with friends, recognized learning proficiency, and awareness of traffic safety. Forth, higher safety-awareness was found to be directly related to higher safety-practices. Respondents with lower safety-awareness reported higher rate of accidents.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habituation and formation of safety-oriented actions among students are highly required to prevent accidents. In order to do that, development of safety-awareness and in-life enforcement of safety-practice need to come first.

  • PDF

농촌지역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안전사고 발생실태 (A Study on the Occurrences of Accidents among 1 st to 3rd Grade Rural Elementary Students)

  • 김복주;김정남;류미경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815-827
    • /
    • 2001
  • Accidents involving students are an important cause of death and disability. They also have enormous financial implications. In order to prevent childhood accidents. research and education for safety should be strengthe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often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have accidents and what factors affect the accident rat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676 students who were in the 2nd, 3rd and 4th grades of twelv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Kun Wi Gu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ll of the 2nd to 4th grade student in the Kun Wi Gun to be completed by their parents about all the accidents which happened last one year and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March 19, to March 30, 2001.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0.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Among 676 students. 270 students had 540 accidental injuries during the study period. 2. The month, the day and the time with the highest accident rate were April. Monday. and between 1 and 4 p. m. each. 3. In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where the injury took place, the most frequent place was on school, around their homes and. then inside the home. 4. Most of accidents were caused by carelessness on the part of the students and the most frequent type of injury was an abrasion. 5. Students most injured part of the body was their legs. 6. They were treated at home most often and usually emergency treatment was performed by family members with disinfectant as first aid measure. Cost of the treatment of the accident ranged from 10.000 to 30,000 won in most cases. 7. Students' personality. type of family composition. mother's age and parents' education 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conclusion. 1st to 3rd grade rural elementary students need their assessment for accident involving condition. This study gave a very useful and important data to prepare accident prevention teaching program and to prepare accident prevention strategies.

  • PDF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iomedical Ethics Education using Movies on Biomedical Ethics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 김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281-290
    • /
    • 2014
  • 본 연구는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 교육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2개 4년제 간호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실험군 45명, 대조군 63명이다. 실험집단에는 10개 영역의 윤리적 문제와 관련된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강의가 16주 동안 제공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3년 8월 26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1주차와 16주차에 사전-사후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생명의료윤리의식이 3.07점에서 3.31점으로 향상되었으며, 하위 영역별로는 태아생명권 3.20점에서 3.55점, 인공임신중절 3.08점에서 3.69점, 인공수정 2.99점에서 3.57점, 태아진단 3.10점에서 3.45점, 신생아권리 3.39점에서 3.55점, 장기이식 3.26점에서 3.53점으로 향상되었다(P<.001). 반면 안락사, 뇌사, 인간생명공학 영역의 점수는 변화가 없었다(p>.05). 영화를 이용한 교육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유발, 그리고 교육만족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영화콘텐츠가 강의주제와 부합된다면 간호교육에 다양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시내 초등학생들의 흡연실태 (A Survey on Status of Smoking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 문정순;김남초;양수;박호란;송경애;정승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81-292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 15 to Dec. 20. 1999, covering 3.214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in 25 schools. one from each Ku in Seoul.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smoking prevention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students under inquiry. $10.2\%$ answered they had the experience of smoking, while $6.3\%$ said they are current smokers. 2. With regard to smokers' smoking behavior. about 90% of them smoke one or two cigarettes a day. A lot of them was their own or friends' homes to smoke. but not at specific time. Many students who smoke say they was cigarettes stored and/or picked up at home. $28.9\%$ of them have friends who know that they smoke and $27.7\%$ of them have siblings are aware they are smokers. $24.2\%$ of them said no one around them is aware of the fact they. smoke. 3. Forth grade is the most frequent year students start smoking$(23.5\%)$. Most of them had their first smoking experience at their homes out of curiosity. 4. Profile of a typical smoker would; be male; from miscellaneous religions; have very few friends: have hard time to fit in at school and he/she has a poor academic record. 5. Environmental profile of a smoker consists of: commercial area resident: single-parented; lacks attention from parents; has hard time at home; has someone who smokes within the family. 6. Regarding the experience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rate of current smokers who have learned about smoking prevention was lower than that of who have not learned. 7. Among the non-smoking students. $81.3\%$ of them said they would keep away from smoking and $1.6\%$ of them said they would like to smoke in the future. while $17.1\%$ were undecided. Among the students who smoke. $93.7\%$ wish to quit smoking.

  • PDF

입학전형 및 학년별 간호학과 학생들의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 융합비교연구 (A Convergence Comparison of the Stress, Major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and Colleg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College Admission process and Grade)

  • 김정애;강지순;서금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99-112
    • /
    • 2017
  • 본 연구는 입학전형 및 학년별 간호학과 학생들의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P시 소재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49명이며, 자료수집은 2016년 4월에서 5월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chi}^2$-test, ANOVA, $Scheff{\acute{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입학전형에 따른 전체학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년에 따른 전체의 입학전형에 대해서는 스트레스(p=.001), 전공만족도(p<.001), 진로정체감(p=.021), 대학생활적응(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정한 결과 스트레스는 2, 3학년이 1학년에 비해 높았다. 전공만족도는 1학년이, 진로정체감은 3학년, 대학생활적응은 1학년이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와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입학전형별, 학년별로 차별화된 맞춤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 적용이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rm Based Lear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 -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cience Education)

  • 전호선;주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269-279
    • /
    • 2017
  • 이 연구는 팀-기반 학습 적용 전과 후의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변화에 관여하는 주요하위 변수들과 팀구성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학습능력의 차이와 팀 만족도, 학습선호도를 분석하여 팀-기반 학습법을 간호학 교육과정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G시 K대학교 간호학과 1학년 96명과 2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후의 관찰 값을 SPSS, Medcal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팀-기반학습은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모두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엇고 학업성취도를 고려하여 구성한 팀에서 학습선호도가 높았다. 팀-기반 학습은 학생들이 수업 전 자율 학습과 팀 역동을 통하여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 능력을 익히고, 전문성과 개인 개발을 향상시키는 학습방법임을 강조하여 교육과정에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팀-기반 학습에 관한 방법론적인 구성과 학생 개인의 특성과 학습방법의 선호도 같은 다양한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문제중심 학습과정 개발 및 적용 효과: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v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박현주;변상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27-636
    • /
    • 2023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이론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문제중심학습이 다양한 교육과정 적용에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3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였고,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의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165명이었다.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이론수업은 총 14주, 1회 100분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간에 따른 인성교육 수업의 효과검증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문제중심학습 방법을 적용한 이론 수업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t=-2.08, p=.039), 비판적 사고(t=-2.49, p=.014), 의사소통능력(t=-4.90, p<.001), 문제해결능력(t=-4.84, 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학년 간호대학생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역량 향상과 전공만족 및 대학생활 적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신감,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tegrated-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Confidenc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and Clinical Performance)

  • 김미정;나은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83-692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의사소통능력, 학습자신감,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의 4학년 간호대학생 41명으로 2023년 9월부터 11월까지 9주간 운영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후 학습자신감(t=-2.21, p=.033), 임상추론역량(t=-2.97, p=.005), 임상수행능력(t=-2.84, p=.007)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소통능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224, p=.824). 둘째,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수업 후 임상수행능력은 의사소통능력(r=.650, p<.001), 학습자신감(r=.440, p<.001), 임상추론역량(r=.824,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통합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학습자신감과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며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한 시뮬레이션 실습 운영이 필요하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다문화수용성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of Freshmen in Nursing Colleges)

  • 정선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22-33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다문화수용성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W 시 소재 K 대학 간호학과 1학년 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1일- 28일까지 설문조사하였고, 오픈소스 통계패키지 R을 이용하여 빈도, 신뢰도 분석, t-test,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 신입생의 다문화수용성 수준은 평균 77.36점으로 다소 높은 다문화 수용성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문화수용성 관련 요인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인 인정요건(𝛽=0.34, p<.001), 이주민에 대한 지각된 위협 인식(𝛽=0.29, p<.001), 다문화 교육 경험(𝛽=0.14, p<.001), 다문화 교육 적정 연령 인식(𝛽=0.20, p<.001)은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관련 정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 충동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Mental health and Impulsive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at Korea)

  • 유명옥;주세진;김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09-418
    • /
    • 2014
  • 본 연구는 일부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이용실태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정도에 따른 정신건강 및 충동성의 차이 및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 및 충동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고등학교 1, 2학년 804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으며 중독 척도 총점 상위 25%를 중독점수가 높은 집단(213명)으로, 하위 25%를 중독점수가 낮은 집단(204명)으로 정의하였다. 학생들은 성별, 학년, 학습성취, 학교생활 만족, 용돈, 부모의 신뢰 수준, 이성 친구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폰 중독은 정신건강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신건강 하부요인인 불안, 우울, 신체화, 강박, 대인민감성, 적대감, 편집성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그 중 불안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은 충동성에서도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과 충동성의 관계에서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