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explosion

검색결과 638건 처리시간 0.031초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 내연기관에 의한 점화 위험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isk of Ignition due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in Areas with Potentially Explosive Gas Atmospheres)

  • 김윤석;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1-8
    • /
    • 2016
  • 국내외의 가연성 또는 인화성물질을 취급하는 대형설비에서의 폭발위험장소에 대한 안전관리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지역사회와의 공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폭발위험장소의 안전관리는 크게 가연성 또는 인화성 물질의 누출을 제어하는 시스템과 이러한 가연성 또는 인화성물질이 누출되어 폭발분위기를 형성할 때 점화원을 제어함으로써 화재 또는 폭발사고로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방폭시스템이 있다. 제도와 기술로 인해 전기적 점화원에 대한 방폭설비는 상당히 보급되어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열적 점화원의 경우, 위험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 기술개발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 내연기관의 점화 위험을 보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관련 국제표준과 사고사례 및 위험분석보고서를 연구하고, 국내 중부권 공정안전관리제도 대상 사업장의 디젤엔진의 불꽃방지기 등 안전장치 적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실제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석유화학 산업에 적용함에 있어, 디젤엔진과 같은 내연기관 점화원의 위험인식을 통해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의 폭발방지에 대한 안전관리방안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솔린탱크의 위험성평가를 위한 노말헵탄의 연소특성치 측정 및 고찰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Combustible Properties of n-Heptane for Risk Assessment of Gasoline Tank)

  • 하동명;정기신;이성진;조용선;윤명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76-81
    • /
    • 2010
  • 노말헵탄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25^{\circ}C$에서 폭발한계와 폭발한계 온도의존성 그리고 하부인화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노말헵탄의 폭발하한계는 1.0Vol%, 상한계는 7.0Vol%를 추천하였고, 하부인화점은 $-4^{\circ}C$를 추천하였다. ASTM E659-78 장치를 사용하여 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여기서 측정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225^{\circ}C$였다. 그리고 노말헵탄의 새로운 폭발한계 온도의존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식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Structural Response of Offshore Plants to Risk-Based Blast Load

  • Heo, YeongAe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151-158
    • /
    • 2013
  • Offshore oil and gas process plants are exposed to hazardous accidents such as explosion and fire, so that the structural components should resist such accidental loads. Given the possibilities of thousands of different scenarios for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al hazard, the best way to predict a reasonable size of a specific accidental load would be the employment of a probabilistic approach. Having the fact that a specific procedure for probabilistic accidental hazard analysi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especially for explosion and fire hazards, it is widely accepted that engineers usually take simple and conservative figures in assuming uncertainties inherent in the procedure, resulting either in underestimation or more likely in overestimation in the topside structural design for offshore plants. The variation in the results of a probabilistic approach is determined by the assumptions accepted in the procedures of explosion probability computation, explosion analysis, and structural analysis. A design overpressure load for a sample offshore pla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posed probabilistic approach in this study. CFD analysis results using a Flame Acceleration Simulator, FLACS_v9.1, are utilized to create an overpressure hazard curve. Moreover, the negative impulse and frequency contents of a blast wave are considerably influencing structural responses, but those are completely ignored in a widely used triangular form of blast wave. An idealistic blast wave profile deploying both negative and positive pulses is proposed in this study. A topside process module and piperack with blast wall are 3D FE modeled for structural analysis using LS-DYNA. Three different types of blast wave profiles are applied, two of typical triangular forms having different impulse and the proposed load profile.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a typical triangular blast load leads to overestimation in structural design.

톨루엔의 위험성 평가를 위한 연소특성치 측정 및 고찰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Combustible Characteristics for Risk Assessment of Toluene)

  • 하동명;정기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76-81
    • /
    • 2010
  • 톨루엔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25^{\circ}C$에서 폭발한계와 폭발한계 온도의존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인화점과 최소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톨루엔의 폭발하한계는 1.13vol%, 상한계는 7.9vol%를 추천한다. 유통법에 의한 하부인화점은 $5^{\circ}C$, 상부인화점은 $40^{\circ}C$로 측정되었으며, Setaflash 장치에 의한 상부인화점은 $41.5^{\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78 장치에 최소자연발화온도는 $547^{\circ}C$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톨루엔의 새로운 폭발한계 온도의존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한 온도의존식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제조업체 방폭설비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sionproof devices Installa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 송용식;이준석;정현규;조원철;이태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565-570
    • /
    • 2007
  • The explosionproof apparatus is a devices that is enclosed in a case capable of withstanding an explosion of a specified gas or vapor that may occur within it and of preventing the ignition of a specified gas or vapor surrounding the enclosure by sparks, flashes, or explosion of the gas or vapor within, and that operates at such an external temperature that a surrounding flammable atmosphere will not be ignited thereby This kind of exeplosionfproof devices should be installed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r process condition that should be protected to prevent explosion or fire. But,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and techniques on the explosionproof technology, some dangerous area is not properly protected from an explosion or it cost too much to implement the explosionproof devices. In this report, the basic guidelines and several case studies of explosionproof devices installation will be introduced to be of help to field safety engineer.

  • PDF

ESS (에너지 저장장치) 배터리 화재사례를 통한 감식기법 및 연소 확산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Technique and Prevention of Combustion Diffusion through ESS (Energy Storage System) Battery Fire Case)

  • 이정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83-391
    • /
    • 2020
  • 연구목적 : 에너지 저장실의 외부 화염에 의한 내부자기 점화 및 점화를 식별하고, 과열로 인한 점화와 외부 열원에 의한 점화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분리막 녹는점 측정, 배터리 외부 수열 실험, 배터리 과충전 실험, 과충전과 외부수열에 의한 연소 시 전극 판 비교분석, 과충전 연소 특징, 외부수열 화재 연소특징, 3.4(전극판 비교)/ 3.5(과충전)/ 3.6(외부수열) 분석 실험을 하였다. 연구결과: 화재 발생 시까지 센서의 위치에 따른 온도 차이가 극심했음으로 기존처럼 한 모듈 당 온도 센서 두 개로는 측정값이 부족해 온도제어를 통한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다. 결론: 단락이 점화원으로 작용하여 혼합가스에 착화돼 가스폭발이 발생하고, 폭발 압력에 의해 전극이 잘게 파손되며, 가루형태의 리튬산화물이 불꽃반응에 의해 폭죽과 유사한 불꽃이 분출되었다.

ECC로 피복된 고강도콘크리트의 폭렬저감 및 열적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Fire Resistant Performance of Anti-Spalling ECC Layers in High-Strength Concrete Structures)

  • 이재영;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9-20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fundamental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ECC) under fire temperature in order to use the fire protection material in high-strength concrete structur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he experiment to simulate fire temperature by employing of ECC and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explosion and cracks in heated surface of these ECC. In the experimental studies, 3 HSC specimens are being exposed to fire,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rious parameters(such as depth of layer=20, 30, 40mm; construction method=lining type) on the fire performance of HSC structures. Employed temperature curve were ISO 834 criterion(3hr), which are severe in various criterion of fire temperature in building structures. The numerical regressive analysis and proposed equation to calculate ambient temperature distribution is carried out and verified against the experimental data. By the use of proposed equation, the HSC members subjected to fire loads were designed and discussed.

  • PDF

에스테르화합물에 대한 표준끓는점과 인화점을 이용한 폭발하한계 추산 (Estimation of the Lower Explosion Limits Using the Normal Boiling Points and the Flash Points for the Ester Compounds)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84-89
    • /
    • 2007
  • 폭발하한계는 가연성물질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연소특성치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에스테르 화합물에 대한 폭발하한계는 액체 열역학이론을 근거로 표준끓는점과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그 결과, 문헌값과 예측값의 A.A.P.E.(average absolute percent error)는 8.80vo1%이고, A.A.D.(average absolute deviation)는 0.18vo1% 그리고 상관계수는 0.965로써 문헌값과 예측값은 일치하였다. 제시된 방법론 사용에 의해 다른 가연성물질의 폭발하한계 예측이 가능하다.

사이클로헥산의 화재 및 폭발 특성치의 측정 및 고찰 (The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of Fire and Explosion Properties for Cyclohexane)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5-81
    • /
    • 2011
  • 사이클로헥산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25^{\circ}C$에서 폭발한계와 폭발한계 온도의존성 그리고 하부인화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발화지연시간에 의한 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공정의 안전을 위해서 노말헵탄의 폭발하한계는 1.0 Vol%, 상한계는 9.0 Vol%를 추천하였고, 하부인화점은 $-20^{\circ}C$를 추천하였다. ASTM E659-78 장치를 사용하여 발화온도와 발화지연시간을 측정하였고, 여기서 측정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255^{\circ}C$였다. 그리고 노말헵탄의 새로운 폭발한계 온도의존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된 식은 문헌값과 일치하였다.

지상형 탄약고 폭발 시 안전거리 위반율에 따른 위험노출대상의 피해 수준 분석 연구 (Expected Damage Analysis of Risk Exposure Object by Violation Rate of Safety Distance in Explosion of Ground Type Magazine)

  • 함태윤;이재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92-100
    • /
    • 2022
  • Of the Korean military's 3,959 ammunition depots, 1,007 - more than 25% - violate safety requirements for distance and equipment. There is a risk of explosion in old depots that are vulnerable to various interior and exterior accidents. This paper examines 10 scenarios, with varying values for ammunition amount and safety distance. The study calculated the overpressure that can be applied to risk-exposure objects, based on the safety distance; expected damage was predicted using constructed spatial information from 3D explosion simulations. The simulations confirmed that explosion overpressure increased the most when the safety distance violation rate increased from 80% to 90%. It also confirmed that secondary damage such as fire and explosion can cause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when the violation rate is 60% or higher. The results show that building collapse becomes a risk with a violation rate of 70% or higher. We conclude that taking ammunition depot safety distance violation into account when planning military facilities and their land utilization could better protect life and prop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