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related law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2초

실내건축관련 소방(消防)규정과 방염(防炎)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 Research for Fire Regulations and Fire Retardant in Interior Architecture)

  • 조성오;김용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95-102
    • /
    • 2010
  • Recently, a grow in size and features of Interior construction work over the complex and The Fire-related regulations have been strengthened for the prevention of fire damage. This study is purpose to propose interior design, construction and supervision for the efficient and reasonable way throughout the fire-related laws are investigated in interior architecture. First,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work will be based on actual use Fire-related Laws and Regulations have be investigated. Second, based on analysis of material and facilities by Application can be used in production by the data were applied to the present. Third, the international Fire and Flame Retardant Standards for investigating and reviewing the relevant laws,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were analyzed. Fourth, the various fire-related issues of regulation and the application of relevant provisions in the field works, the law's standards, and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by analysis. Fire-Related Laws and Building codes that Safety Administration of the Fire Services are divided into design, it comes to approval from the municipal authorities with concerns about the fire that will fit on the Fire Department's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operations is necessary to integrate operations. In conclusion, Fire-related business are divided into Minister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So, Both institutions is need to be the cooperative work. It is necessary to the field supervision. Because, Flame-resistant performance standards in the field works applied are too complex. Last, Establishment of fire-related regulations will enact by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experts to participate.

공간정보를 활용한 소방시설의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Fire Protection System Utilizing Urban Spatial Information)

  • 방창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98-104
    • /
    • 2019
  • 본 연구는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소방시설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연구하고 관련 소방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소방시설 관리의 오동작과 관리부실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공간정보를 소방시설 분야에 도입하고자 관련 법규와 소방시설의 공간정보 구축방안을 논의하였다. 소방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공간정보 기술을 포함하는 소방시설 관련 법률의 개정과 소방시설 공간정보의 표준화와 유효성,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로터널 방재시설의 소방관계법령 개선방안 (Improvement Plan of Fire-Related Laws of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of Road Tunnels)

  • 서효선;황영권;이승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124-131
    • /
    • 2019
  • 도로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밀폐된 구조적 특성상 대형재난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각종 방재시설이 잘 설치되어 화재예방과 대응에 제 기능을 발휘해야 한다. 연속터널의 연장 및 방음터널을 고려하지 않아 필수 방재시설의 설치가 누락되어 법령의 개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도로터널의 방재시설과 관련한 국내 법령들의 변천사항을 검토하고, 각 법령 간 비교분석을 통해 소방관계법령에서 개정이 필요한 부분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속터널은 개별터널의 연장의 합을 고려하도록 하고 방음터널이 터널의 범주에 포함되도록 하여 필수 방재시설이 설치가 되지 않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둘째, 터널 내 방재시설 설치의 법적 당위성 확보가 필요하므로 터널에 설치가 제외된 시설인 미분무소화설비, 비상방송설비, 유도등이 법령에 명시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장대응의 입장에서 터널 내에 공기호흡기를 비치하도록 명시하여 소방대원들의 진압활동 및 인명구조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방화문 내화성능 확보에 대한 제도적 문제점 및 해결방안 (Problems and Solutions for Securing Fire Resistance Performance in Fire Protection doors)

  • 김주성;김시원;조영덕;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22-29
    • /
    • 2020
  • 많은 내화 및 방화 등 화재관련 법규와 기준들 중 방화문은 화재 발생 시 화재 및 연기의 확산을 막아 인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시설물이다. 이에 따라 해당 법규 및 관련 시행규칙 및 고시를 통해 소요되는 성능에 대한 기준을 지속적으로 상향시켰고 필히 해당 성능을 확보하도록 한다. 하지만 관련 법규와 제도의 맹점으로 인해 방화문 시험결과 합격품조차 방화성능에 리스크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내화관련 성능의 기준을 분석하고, 단순 방화성능 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법에서 요구하는 성능을 확인하여 기준을 정리하고, 요구하는 복합적인 성능을 명확히 규정하고자 하였다.

다중이용업소 실내마감재료 사용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ing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 using Regulation at Multiple-using Businesses)

  • 김용성;조성오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216-224
    • /
    • 2013
  • There are the relevant provisions that apply to building regulations about the Building codes, Fire Protection laws, and more Multi-using interior finish materials businesses etc.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regulations are as follows: The Building codes is defined the main us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facilities to used to set the scale by the use of the floor space, On the other hand, Fire Protection laws are the basic purpose and the act of using the architectural space(or sales) by separating object by fire. And Multiple-using Businesses Facilities consist of two regulations engaged in the kind of law and the size of the floor area. One building can not be based on operating facilities and together in Multiple use businesses Law. As such, the Buildings are applied to the Building codes, Fire Protection laws, such as Multi-using Businesses Facilities interior construction industry due to the structural differences in the position of the designer feeling a lot of difficulties and confusion. The Multi-use businesses Facilities engage in the kind of law, the size of the floor area and seating capacity. These can not be based on operating facilities, and consists of two regulations together in one building. This study is purposed to help improving the finish of the interior architecture that is related to the Building code regulations, Fire Protection laws, Multi-using Facilities interior finishing material relevant with the provisions from the law through analyze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and the current Multiple use Businesses Facilities research range from the law of multiple-using facilities, interior finishing, interior architecture for supervision reasonably and compensation for the interior design. So,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terior decorations can be separated the fixed material and the moveable things. second, It should be included multi-using Business though small size business space at the basement floor. third, It should be established statute law that design and construction responsibility. forth, re-testing fire resist performance after some period. and finally, it need to mitigate regulation where be installed sprinkler.

금속화재 위험감소 방안에 관한 이론적 연구 (Study on the effective response method to reduce combustible metal fire)

  • 남기훈;이준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600-606
    • /
    • 2018
  • 금속화재는 나트륨(Na), 리튬(Li) 등과 같은 가연성 금속이 연소하는 화재이다. 일반적인 물계, 가스계 소화약제에는 적응성이 없으며 금속화재용 소화약제 또는 건조사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위험물안전관리법상 가연성 금속에 속하는 2류 및 3류 위험물 화재가 최근 5년간 104건이 발생했으며, 가연성 금속을 사용하는 연료전지, 반도체 산업의 발전으로 화재 건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는 금속화재와 관련된 법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금속화재용 소화약제 및 소화기 개발은 물론 화재 예방 및 대응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금속화재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국내외 관련 법령 분석 및 금속화재 사례 11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금속화재의 위험성을 감소를 위해 관련 법령 마련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금속화재 발생 시 소화약제로 사용되고 있는 건조사의 관리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금속화재의 예방 및 대응에 필요한 안전교육 및 시설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제조업 화재사고 데이터 분석을 통한 복합 유해·위험요인 확인 (Identifying Hazard of Fire Accidents in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Data Analytics)

  • 김경민;서용윤;이종빈;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3-31
    • /
    • 2023
  • Revising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led to enacting and revising related laws and systems, such as placing fire observers in hot workplaces. However, the operating standards in such cases are still ambiguous. Although fire accidents occur through multiple and multi-step factors, the hazards of fire accidents have been identified in this study as individual rather than interrelated factors. The aim has been to identify multiple factors of accidents, outlining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that recently occurred in the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major keywords were extracted through text mining. Then representative accident types were derived by combining the main keywords through the co-word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the hazards and their relationships. The representative fire accidents were identified as six types, and their major hazards were then addressed for improving safety measures using the identification of hazards in the "Risk Assessment" tool. It is found that various safety measures, such as professional fire observers' training and clear placement standards, are needed.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basic data for revising practical laws and guidelines for fire accident prevention, system supplementation, safety policy establishment, and future related research.

건축물 피난규정간 문제점 분석을 통한 법령 개선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uggestions for Building Regul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oblems among the Building Evacuation Laws)

  • 황은경;김대희;조정훈;황금숙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05-114
    • /
    • 2007
  • 최근 건축물이 대형화, 고층화, 복합화됨에 따라 재난사고에 대한 재실자의 인명안전과 재산보호를 위해 건축물 피난설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기술적 기준에 의한 사양적 관련법령 규정이나 건축주나 건설설계자 등 관계자의 인식부족 등으로 인해 화재시 재실자의 피난에 대한 고려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의 피난관련 규정이 건축법과 소방법으로 양분화되어 있어 지속적인 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법과 소방법간의 피난관련 규정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건축물 피난관련 법령의 개정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통사찰문화재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 양양산불에 의한 낙산사의 화재피해사례를 통해 본 방재대책 -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Countermeasures of Tradition Buddhist Temple Cultural Treasure - A Case Study of the Fire Damage of the Naksansa which was due to Yangyang Forest Fire -)

  • 백민호;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4-7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양양산불에 의한 낙산사의 소실이후 전통사찰 문화재의 방재대책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전통사찰의 현황과 관련 법규를 검토하였고, 양양산불의 발생에 따른 화재특성과 낙산사의 피해현황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낙산사 소실로 본 전통사찰의 화재피해사례와 관련 소방법규를 검토하여 문제점을 제시하였고, 낙산사의 소실에 따른 방재대책에 대해 설문조사결과를 제시하여 향후 전통사찰문화재에 대한 화재예방안전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파트에 설치된 경량칸막이 및 대피공간의 관리방안 모색 (The Efficient Management Plans for the Lightweight Partition Walls and Evacuation Space in Apartment Houses)

  • 신효진;윤지희;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3-66
    • /
    • 2015
  • This study classified the study subjects as apartment residents and managers, and conduct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research question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lightweight partition walls and the evacuation space. This study also conducted T-test and Anova to find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lightweight partition walls and the evacuation space, and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related law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managers.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were as follows. Firstly, strengthening of the Senior Fire Safety Manager system to prevent the insolvency of fire safety management due to the affiliate. Secondly, implementing enhanced penalties in accordance with not implementing residents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not smoothly delivering manager trained education to residents. Thirdly, adjusting hands-on training tim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managers to supplement women's relatively low perceptions of lightweight partition. Fourthly, mandating evacuation guidance stickers on the evacuation space for residents to remove obstacles in the evacuation space. Finally, establishing regular residents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related laws for residents residing over 16th flo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