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risk evaluatio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1초

구획실 내 가연물들의 화재거동에 대한 B-RISK와 FDS 연계 화재 시뮬레이션 예측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Prediction of B-RISK-FDS-Coupled Simulations for Multi-Combustible Fire Behavior in a Compartment)

  • 백빛나;오창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50-58
    • /
    • 2019
  • 구획실 내 가연물들의 화재거동에 대한 B-RISK의 예측성능을 Fire dynamics simulator (FDS)와 연계하여 검토하였다. 먼저 열발생률(Heat release rate, HRR)에 대한 B-RISK의 예측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가연물 한 세트의 실험에서 측정된 HRR 값과 디자인 화재곡선을 B-RISK의 입력조건으로 사용하여 가연물 두 세트에 대한 HRR 곡선을 계산하고 실험에서 측정된 가연물 두 세트의 HRR 값과 비교하였다. B-RISK 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B-RISK가 화재성장률에 대한 예측은 어렵지만 최대 HRR 값과 총 열발생량에 대해서는 충분히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B-RISK 계산을 통해 예측된 HRR 값을 FDS의 입력조건으로 사용하여 계산된 결과와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B-RISK 계산을 통해 예측된 HRR 값의 화재거동에 대해 검토하였다. 실험에서 측정된 온도 및 화학종 농도 결과와 비교하여 화재성장구간에 대해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예측된 HRR 값에서 Percentile이 약 70%인 HRR 값을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전체적인 화재거동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재사례를 통한 건축물 외장재 종류별 화재발생위험성 (Fire Risk by Type of Building Exterior Material through Fire Cases)

  • 이정일;권영희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5-161
    • /
    • 2022
  • Recently, the number of cases of fire spreading due to exterior materials of buildings is increasing. Due to the nature of modern architecture, which emphasizes the aesthetics of buildings, because buildings pursue a splendid appearance, they are inexpensive and have relatively good insulation performance, but an increasing number of buildings are adopting insulation materials that have poor fire safety performance. The risk of spread is also greatly increased. Since the exterior wall of a building is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and structures, i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everal elements, including materials such as insulation and finishing materials.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it was necessary to introduce a more systematic evaluation method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and to improve the system reflecting this, away from the existing evaluation method that only checked the fire safety performance of finishing materials.

화재폭발손실지수법을 이용한 BTX 공장의 위험선별 (Risk Screening of a BTX Plant Using FEDI Method)

  • 김용하;김인태;김인원;김구회;윤인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0-28
    • /
    • 2005
  • 미국, 유럽 등의 대형 화학회사들은 효율적인 위험관리를 위해 단계적 위험성평가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HAZOP이나 정량적위험성평가와 같은 상세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사전단계로서 위험선별(risk screening)기법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han과 Abbasi가 제안한 위험선별방법인 화재폭발손실지수 법(Fire & Explosion Damage Index, FEDI)을 국내의 BTX플랜트에 적용시켜 보았다. 적용결과를 정량적위험성평가의 결과와 비교해 본 결과, 화재폭발손실지수법이 위험잠재성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재폭발손실지수 법에 대한 민감도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화재 및 폭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인자는 설비내 물질의 특성과 양(quantity)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HAZOP의 사전단계로서 화재폭발손실지수 법을 적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위험성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위험성 평가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for Fire Risk Analysis of High-rise Building)

  • 권영진;신이철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23-228
    • /
    • 2008
  • Fire i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hazard in a service life of a structure. Therefore there is a clear need to provide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of material and structures in fire and to provide clear design guidance in order to progress safety design especially high rise building.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investigates and analyze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for fire risk analysis of high-rise building.

  • PDF

화재위험도 평가 Tool에 의한 물류창고 공사장 적용성 검증에 관한 연구 (Study on Verification of Applicability for a Warehouse Construction Site using a Fire Risk Assessment Tool)

  • 서용구;민세홍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673-688
    • /
    • 2023
  • 연구목적: 공사 중에 발생하는 화재는 빈도는 적으나 그 피해가 크다. 최근 물류유통산업의 성장으로 신축하는 물류창고의 공사장이 증가하고 있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화재예방을 정량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화재위험도 평가 Tool의 개발을 통해 공사현장의 재난을 줄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공정에서 진행되는 작업을 분류하여 연소의 3요소에서 제어가 어려운 공기(산소)를 제외한 가연물과 점화원을 등급별로 구분하고, 피난안전성을 추가로 대입하여 종합적인 화재위험평가 Tool을 객관적으로 정량화하여 정립하였다. 연구결과: 개발하여 제시한 화재위험도 평가 Tool을 이용하여 화재위험도가 낮은 굴착공사와, 화재위험도가 중간정도인 설비공사, 화재위험도가 높은 마감공사를 샘플링하여 결과값(CGI)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화재발생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Tool의 개발로 위험도 평가에 따른 물적조건(가연물)과 에너지조건(점화원)을 제어하여 구체적인 예방대책의 수립과 피난안전성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향후 건설현장의 화재위험도 평가Tool의 적용을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공정의 계획 수립과 소방설비의 적응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제공되길 기대한다.

토지이용의 위험성 제어계획 -사용 밀도에 따른 기준치 설정의 접근방법- (Planning Controls for Land Use Safety)

  • 노삼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0-27
    • /
    • 1996
  • This paper discussed the limit of existing safety controls where the use of land around hazardous industry. There is a gap between engineering evaluation of acceptable criteria for loss reduction and risk exposure to the areas of high risk outside plants from the aspects of risk perception. The paper performed how land use safety could be designed between the density of uses with the duration of risk exposure by type of land use. It concluded the needs of multi-dimensional presentation for an appropriate risk controls on existing and future land use safety.

  • PDF

선박화재의 인명안전평가 해석 (A Study on Evacuee′s Risk Assessment under Ship′s Fire)

  • 양영순;정정호;이재옥;공수철;여인철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1-247
    • /
    • 2001
  • A Fire Safety Evaluation Module(FSEM), which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risk of evacuees when fire occurs in buildings or ships, is presented in this paper. The developed FSEM can be applied to multi-room structure. Basic input data for the FSEM are prepared by fire model and evacuation model. CFAST which is one of the existing fire models is used as fire model and MonteDEM evacuation model was developed for evacuation model, respectively. MonteDEM evacuation model makes use of distinct element method and Monte-Carlo simulation, and it can also take into consideration ground inclination by ship motions in order to simulate the real situation of evacuation. Some typical situations are modelled for illustrative examples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evacuee's risk under fire accident is carried out.

  • PDF

밀폐공간 구조 요구자를 위한 더미 표준화 개발 방안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Dummy for Persons in Need of Rescue in a Confined Space)

  • 최서연;이동호;김형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9-105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dummy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e human body, to prepare a standard for evaluation and to present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robot that can detect the persons needing rescue in a confined space, who are difficult for fire-fighting officials to rescue in case of fire and disaster. As a result, a standard for evaluation was developed and standardized into four parts 'Normal,' 'Risk Stage 1,' 'Risk Stage 2' and 'Risk Stage 3'based on the number of breath cycles,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ore temperature and criteria for hearing to recognize the voice. 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a dummy, fever, breathing capacity and voice output func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built up basic data of the method of producing the actual dummy, by presenting characteristics and controlling methods using the waterproof insulation heating coil for the function, solenoid valve for the consecutive output of breathing capacity and USB program sound board for voice out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