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reconstruction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9초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 I. 화재재현 (Fire at an Indoor Shooting Range in Busan I. Fire Reconstruction)

  • 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14-119
    • /
    • 2010
  • 2009년 11월14일의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에서 짧은 시간에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션용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사용하여 화재를 재현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으로부터 얻은 화염과 연기의 확산 및 온도분포의 변화과정을 CCTV 녹화를 토대로 한 화재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사격실 내에서 흡음재 연소가 급격히 이루어져 화염과 연기가 출입문을 통해 분출되기 시작한지 3초 내에 휴게실에 가득 차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결과는 CCTV 녹화와 거의 일치하였다. 따라서 휴게실에 있던 사람들의 대피가능시간이 부족했음이 확인되었다. 또 사격실 출입문의 원형 손잡이의 온도가 거의 $1400^{\circ}C$까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나 원형 손잡이가 용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컴퓨터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화재조사 (Introduction to fire modeling for use in fire scene reconstruction)

  • 석미혜
    • 한국화재조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86
    • /
    • 2007
  • 컴퓨터 화재 모델링은 1960년대부터 연구 개발되어 왔지만, 화재조사 및 감식 분야에서는 미국의 NIST :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NIST와 영국의 BRE :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BRE를 중심으로 약 10여년 전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처음 화재 모델링이 개발되었을 때에는 화재 자체의 물리적인 특성을 설명하는 데에만 사용되어 그 활용분야가 제한적이었으나, 방화공학적인 분석기법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요즈음에는 화재현장을 재현하고 예측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활용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화재모델링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이 무엇인지를 배우고, 화재 조사에 적용된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컴퓨터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화재 조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 PDF

고층 건축물 외장재의 화재 재현에 관한 연구 (해운대 우신골든스위트의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re Reconstruction of Exterior on High-rise Building (Focus on Fire Case Including the Woosin Golden Suite in Haeundae))

  • 민세홍;이재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5-30
    • /
    • 2013
  • 해운대 우신빌딩 화재는 고층건축물의 외장재 수직화재에 의해 4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최상층인 38층까지 올라가서 펜트하우스까지 모두 전소시켰다. 이 화재를 계기로 초고층 건축물의 위험성이 크게 대두되었고, 이후 다양한 초고층 관련 법규들이 신설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용 CFD 프로그램 중 FDS를 사용하여 해운대 오피스텔 빌딩의 화재를 재현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은 상층부로의 화염 전파 시간 및 경로에 관하여 관련 기사와 화재 동영상을 통해 비교 조사하였다. 이 결과 최상층까지 확산하는 시간이 약 30분으로 실제 화재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으며 확대되는 화재 성상도 유사함을 나타냈다. 그러나 최상부로 올라갈수록 실제 화재는 V자 형태를 넓게 보였지만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수평으로 전파하는 범위가 작게 보였다. 이는 FDS가 격자 형태로 표현되고 얇은 외장재를 표현할 수 있는 한계와 바람 방향에 의한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화재확산 영향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무풍일 때와 쌍둥이 타워 사이의 외장재가 콘크리트일 때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시행한 결과 실제 화재보다 수직화재가 크게 발생하는 않는 결론을 얻었다.

플라스틱 휴지통의 연소 재현 실험을 통한 발화지점 축소 방법 (A study on the burned pattern of plastic wastebasket by reconstruction)

  • 안성일
    • 한국화재조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2
    • /
    • 2003
  • There are many origins of fire which are offered by many path, such as cigarette-butt, light of match, playing with fire, arson, and other, in and around wastebasket. Because of above-mentioned thing and the quality of the plastic, it is very difficult to discriminate the difference of burned pattern between in and around wastebasket, between an accidental fire and arson in oder to investigate the point of fire. In this study, the wastebaskets filled up with 2/3 combustibles, and then, in and around wastebasket using the gas lighter by ignitor, and we observe how the fire spread. As a result, if wastebaskets are burned inside the limit 50%, we discriminate the difference of burned pattern between in and around wastebasket. But, if wastebaskets are burned more thant 50%, it is impossible to discriminate the difference of burned pattern between in and around wastebasket.

  • PDF

3차원 재구성과 추정된 옵티컬 플로우 기반 가려진 객체 움직임 추적방법 (Occluded Object Motion Tracking Method based on Combination of 3D Reconstruction and Optical Flow Estimation)

  • 박준형;박승민;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37-542
    • /
    • 2011
  • 거울 신경 세포는 동물이 어떤 동작을 할 때와 그 동물이 다른 동물의 동일한 동작을 하는 것을 관찰 할 때, 똑같은 세포 발화를 하는 신경세포이다. 본 논문에서는 거울 신경 세포의 발화 원리를 이용하여 비슷한 방법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객체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방법을 3차원 재구축 방법을 통해 제안한다. 거울 신경 세포 시스템과 같은 발화 원리를 통해 의도 인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스테레오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두 개의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깊이 정보를 계산하여 3차원으로 재구축한다. 3차원 재구축을 통해 만들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옵티컬 플로우를 사용하여 3차원 이미지에서 객체의 움직임 방향을 추정한다. Estimation 알고리즘인 칼만 필터를 사용하여 객체의 움직임 추정을 잡음에 강인하게 한다. 객체의 움직임 추정을 통하여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구축된 이미지 데이터를 히스토리화 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객체의 일부분 혹은 전체가 다른 물체로 인해 가려져 스테레오 카메라 시야에서 사라졌을 때, 과거에 저장된 히스토리로 부터 데이터를 가져와 가려진 부분에 대한 객체의 원래의 모습을 복원한다. 이 복원을 통하여 움직임 추정을 한다.

중소규모 건설현장 화학물질로 인한 화재·폭발 재해예방 사례연구 (Case Study on Prevention of Fire/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in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 신운철;권준혁;이용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3-70
    • /
    • 2014
  •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fire/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used in new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reconstruction, or extension sites. There is vast room for improvement, especially in safety training, safety inspection, and selection of countermeasures because training, technicality, and management systems regarding fire/explosion risks in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are very immature in most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fferentiated technical, educational, and management application plan for preventative management of fire/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used in small/medium sized construction sites.

축사 화재의 현황과 그 방지 대책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The Present Situation and Preventive Measure of the Fire in the Cattle Shelter -Based on Jeonbuk Province-)

  • 정기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81-87
    • /
    • 2007
  • 근래에 축사가 화재로 인하여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화재로 피해를 입은 축사를 재건축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화재로부터 축사를 보호하기 위해서 철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소방서에서 화재를 예방하는 대에는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도 축사를 운영하는 사람이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를 아는 것이 중요한데, 축사를 화재로부터 예방하는 것을 명백히 세분할 필요가 있다. 화재로부터 축사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축사관리자는 화재를 진압하는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대부분의 축사화재는 전기에서 기인된다. 따라서 전기시설의 재정비가 필요한데, 소방서나 한전과 같은 기관의 도움이 필요하다. 축사소유자나 그 종사자들에게 화재발생 원인을 소방 교육을 통하여 알려야 한다. 소방서는 매년 발생하는 축사화재에 대비하여 소방도로나 장비, 경보시설 등을 정비하고 소방훈련 등을 실시하는 것이 화재예방에 도움에 될 것이다.

고종 36년(1899) 남관왕묘의 중건과 건축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of Nam-kwan-wang-myo and it's Reconstruction)

  • 권준형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4호
    • /
    • pp.73-82
    • /
    • 2013
  • This study aims to fi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of Nam-kwan-wang-myo as known as Nam-myo, Especially focusing on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t's reconstruction in 1899. Nam-kwan-wang-myo is a shrine for Kwan-woo who was warlord in ancient china. Belief of Kwan-Woo was introduced to Korea in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the shrine was built in 1598. Belief of Kwan-Woo diffused for the late Joseon, during the reign of Gojong, many people have faith in Kwan-Woo including the king. There was four Kwan-wang-myo around the Hanyang at that time. In 1899 a fire of unknown cause broke out at Nam-kwan-wang-myo, so the main buildings burned down. The king instructed reconstruction of the shrine even though there was in financial difficulties, it had done in the midst of a national crisis. The buildings almost restored as before. The buildings in the shrine has strong characteristics of Chinese architecture because it made by people of the Ming dynasty. Two side-by-side roofs, accumulated brick exterior are important architectural feature, but also all the buildings in the mail hall area Surrounded by the closed-connected fence is hard to find examples in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Nam-kwan-wang-myo just had maintaine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layout of buildings, shape of the each building until it's reconstruction(1899).

UAS, CRP 및 지상 LiDAR 융합기반 와형석조여래불의 3차원 재현과 고증 연구 (A Study on the 3D Reconstruction and Historical Evidence of Recumbent Buddha Based on Fusion of UAS, CRP and Terrestrial LiDAR)

  • 오성종;이용창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1호
    • /
    • pp.111-124
    • /
    • 2021
  • 최근, 2019년 4월 15일에 있었던 노트르담 대성당 화재로 문화재 복원 및 재현에 대해 2008년 숭례문 화재사건 이후 관심이 다시 한 번 집중되고 있다. 특히, 기존에 활용되던 LiDAR 및 광파기 측량 등을 활용한 문화재 실측을 다양한 3차원 재현 기술을 활용하여 복원 및 재현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운주사의 와형석조여래불을 대상으로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핵심기술로 자리매김한 UAV(Unmanned Aerial Vehicle)의 무인항공영상와 기존에 사진측량에 활용되던 근접영상(CRP) 및 지상 LiDAR 스캐닝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들을 3가지 융합모델로 SfM기반의 3차원 재현을 실시, 모델의 재현도 및 정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3가지의 모델 중 가장 우수한 융합모델을 활용하여 11세기 초 고려시대의 불교 천문학적 고증이 녹아있는 와형석조여래불을 실세계 좌표기반으로 북극성과의 연관성을 확인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재의 단순한 외형적인 3차원 재현뿐 아니라 문화재에 담긴 역사적 고증을 확인함으로써 문화재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고증까지 함께 재현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어린이집 화재 시 연기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Smoke Movement in a Kindergarten Fire)

  • 이성룡;한동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62-6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화재 시 열 및 연기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재개발 예정지의 어린이집에서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대상 어린이집은 2층 구조로 되어있으며, 각 층의 연면적은 252 $m^2$이다. 가연물로는 헵탄 36리터를 사용하였다. 한 변의 길이가 0.8 m인 정사각형 화원을 사용하였으며, 정상상태에서 최대 열방출율은 약 1.7MW이다. 실험동안 연기의 이동 및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1층 복도에서, 화재 발생 1분 후 연기가 1.4 m 높이까지 하강하였으며, 화재 발생 약 4분 후 복도 전체가 연기로 가득 찼다. 2층 대부분의 영역에서 온도가 $70^{\circ}C$ 이하로 유지되었으나 실내가 연기로 가득 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