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growth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6초

산불 유형별 식생회복정도에 따른 현존생물량 비교 (Comparison of Biomass by Forest Fire Type and Recovery at Samcheuk-si, Gangwon-do, Korea)

  • 임석화;김정섭;신진호;방제용;양금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28-5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7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4년 동안 강원도 삼척시에서 산불 유형(비산불조사구: 산불피해를 입지 않은 지역, 수관화: 산불에 의해 교목의 수관까지 전소한 지역, 지표화: 산불에 의해 교목의 수관 하층만 전소한 지역)과 산불 후 식생의 재생정도(산불피해 후 식피의 재생정도가 1/3이하인 지역: 1, 산불피해 후 식피의 재생정도가 1/3 ~ 2/3인 지역: 2, 산불피해 후 식피의 재생정도가 2/3이상인 지역: 3)에 따른 현존생물량과 순생산량을 비교하였다. 비산불조사구(Un),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에서 4년간 평균 현존생물량은 각각 $181.20{\pm}5.39$, $62.04{\pm}4.38$, $131.09{\pm}14.83$, $63.39{\pm}2.72ton{\cdot}ha^{-1}$로 나타났다. 비산불조사구,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에서 4년간 평균 순생산량은 각각 $4.17{\pm}0.56$, $3.27{\pm}1.56$, $11.51{\pm}0.53$, $2.10{\pm}0.31ton{\cdot}ha^{-1}{\cdot}yr^{-1}$로 나타났다. 각 조사구의 공통수종인 신갈나무의 DH_{10}$(지상으로부터 10cm 높이에서의 직경, mm)의 생장률을 비교하여 보면 수관화 발생 조사구(C-1)에서 $1.21{\pm}0.55mm{\cdot}yr^{-1}$로 가장 높았으며 수관화 발생조사구(C-3), 지표화 발생 조사구(G-2), 비산불조사구(Un)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고생장률로 비교하였을 때 수관화 발생 조사구(C-3)에서 $15.43{\pm}4.57cm{\cdot}yr^{-1}$로 가장 높았으며 수관화 발생 조사구(C-1), 지표화 발생 조사구(G-2), 비산불조사구(Un)의 순으로 나타났다.

오염된 누전차단기 절연재료의 트래킹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cking Characteristics of Contaminated Insulating Materials of RCD)

  • 이춘하;옥경재;김시국;지승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7-71
    • /
    • 2008
  • 본 논문은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누전차단기 외함 절연재료의 오염에 의한 트래킹 특성을 연구하였다.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60589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0.1 wt% NaCl 용액을 이용하여 KSC IEC 60112의 고체절연재료의 내트래킹 및 비교트래킹지수 측정 방법을 응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3개 제조사의 누전차단기를 사용하였으며, 누전차단기의 절연재료가 오염되었을 때 탄화도전로 발생시간 및 트래킹 발생형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제조사별로 탄화도전로의 발생 시간 및 트래킹 발생형태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오염된 차단기의 절연재료의 트래킹 발생 시간이 정상시료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복합소재 고체 가연물의 화재 시 발생되는 열방출률의 FDS 예측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t Release Rate Predictions of Fire by a Fire Dynamics Simulator for Solid Combustible Materials)

  • 남동군;홍터기;류명호;박설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22-28
    • /
    • 2020
  • 복합소재 고체 가연물의 화재발생시 발생되는 열방출률을 ISO 9705 룸코너 시험을 통해 측정하였고 Fire dynamics simulator (FDS)에서 제공하는 열방출률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복합소재 고체 가연물로는 PU폼과 PP, 철재로 대부분 구성되어있는 영화관 의자를 선정하였다. FDS에서 제공되는 열방출률 예측방법을 단순모델과 열분해 모델로 구분하고 각각의 모델을 적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전산 해석한 결과, 열분해 모델을 통해 예측된 열방출률과 화재성장율이 단순모델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ISO 9705 룸 코너 시험을 통해 측정된 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능위주설계를 위한 가연물의 열발생률 및 화재성장률 측정 - 판매시설의 플라스틱 화재를 중심으로 - (Measurements of the Heat Release Rate and Fire Growth Rate of Combustibles for the Performance-Based Design - Focusing on the Plastic Fire of Commercial Building)

  • 장효연;남동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55-62
    • /
    • 2018
  • 국내 성능위주소방설계(PBD)에 신뢰성이 향상된 예측결과를 기여하고자 판매시설 가연물 중 플라스틱으로만 이루어진 제품을 대상으로 실규모 화재실험이 수행되었다. 이때 판매시설의 경우 다양한 가연성 물질이 진열된 판매대의 간섭 또는 상품 적재 등으로 인한 화재확산의 검토를 위하여 단일 및 다수가연물로 분리되어 실험조건이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최대 열 발생률에 따른 가연물의 노출 면적 및 중량은 대략 93%와 89%의 매우 선형적인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가연물에 대한 가스농도의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CO_2$)는 최대 열 발생률에 대하여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반면 일산화탄소(CO)는 지수함수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판매시설에서 발생되는 플라스틱 화재의 PBD에 신뢰성있는 화원정보로서 적용될 수 있다. 추후 실제 판매시설에서 적용되는 진열대의 면적이 적용된 추가적인 실험을 통하여 판매시설의 플라스틱 화재에 대표되는 화원 정보로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실리콘 화합물로 도포된 목재의 열위험성 평가 (Heat Risk Assessment of Wood Coated with Silicone Compounds)

  • 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2호
    • /
    • pp.9-19
    • /
    • 2019
  • 실리콘 화합물 4종으로 처리한 편백목재 시험편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을 ISO 5660-1 표준에 따른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난연재는 소듐실리케이트와 아미노실란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APTMS), 3-(2-aminoethylamino)propylmethyldimethoxysilane (AEA-PMDMS), 3-(2-aminoethylamino)propyltrimethoxysilane (AEAPTM)을 실란 화합물로 사용하였다. 외부열유속 $50kW/m^2$에서 연소후 측정된 실리콘 졸로 처리한 시험편의 착화시간은 9~11 s로 얻어졌으며 공시편보다 3~5 s 지연되었다. 최대열방출율은 공시편과 비교하여 5~20% 감소되었고 화재초기위험성은 AEAPMDMS가 가장 높았다. 총열방출량은 1~22% 감소되었다. 화재성능지수(FPI)는 공시편보다 1.5~2.2배 증가하였다. 화재성장지수(FGI)는 AEAPMDMS로 처리된 시험편은 20% 증가하였고 나머지 시편은 93~94% 감소하였다. 따라서 실리콘화합물로 처리한 목재의 화재위험성은 열위험성 측면에서 개선되었다.

룸코너 시험기의 발열량 측정에 대한 불확도 산정 (Calculation of Uncertainty in Measuring Heat Release Rate in Room Corner Test)

  • 노광철;김치훈;이승철;이덕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6-22
    • /
    • 2012
  • 화재시험에 있어서 정확한 발열량의 측정은 시험체의 화재 안정성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이다. 발열량 측정값은 측정 인자들의 오차에 기인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설치된 룸코너 시험기에 대한 불확도의 인자를 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KTX 내장재 화재시험의 발열량 측정 불확도를 계산하였다. 화재 발열량 불확도 계산 결과, 화재시작단계에서 불확도가 매우 높은 값으로 나타났고 화재가 성장하면서 불확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불확도 인자들 중 산소 농도가 발열량 측정 불확도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화재로 인한 전기재료 감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Electrical Materials by a Fire)

  • 박남신;홍진웅;조경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90-98
    • /
    • 1992
  • Over the last 100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electricity, the nation has faced ever increasing demand for electricity as consequence of the rapid economic growth. The expanded consumption ratio for electricity naturally increased the possibility for electricity related accident mainly iii the form of electrically ignited fire and human injuries from electric shock.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presented study sets a focus on analysing the causes of the electrically related fire accidents happened in the nation over the last 10 years(in the 80's) to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identifying the cause of electric fires. Identification of the cause of fire ignited electrically may be approached either by studying accident related electrical properties or by investigating power instruments at the place of the accient. In the present paper, the former approach is taken especially on investigating the consequences of over current induced by short circuiting of high power instruments which is reported as the primary cause electricity related fire accidents. In order to provide reliability of the identification method, microscopic photograph's are taken for the cross sections of the electrical materials(fuse, wire, plug socket and plug) after being exposed to over current and heated by external means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consequently compared and analysed.

  • PDF

공동구내 분무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Spray Distribution in Underground Culvert)

  • 김엽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83-87
    • /
    • 2004
  • 지하공동구내에는 전력, 통신, 가스 냉 난방배관 등 생활에 필요한 공작물이 수용되어 있다. 미래에 지하 공동구의 사용은 확대되며, 화재의 위험이 증가될 것이므로 미연에 화재에 대비해야 하며, 지하공동구내 최대한의 연소방지효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는 소화시스템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지하공동구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노즐의 분무분포를 해석하고, 이에 따라 지하공동구의 화재안전성능을 확보하고자 한다. 앞으로 화재 및 재해예방을 위해 국내기술로서 국내 환경에 맞은 소화시스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공간 화재시 배연효율 정의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Definition of the Exhaust Effectiveness of Smoke under Fire in a Large Space)

  • 김정엽;장경진;한화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6권11호
    • /
    • pp.535-540
    • /
    • 2014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xhaust effectiveness of smoke, in the case of fire in a large atrium space.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simulate transient fire growth in a test room, modeled by the Murcia atrium fire test. Various indices representing the exhaust performance of the exhaust system were obtained, such as the height of the smoke layer, and the instantaneous and accumulative capture efficiency of the smoke. The residual life time of smoke from the fire was also obtained, by injecting tracer gases at the fire location, depending on the airflow rate, and the location of the exhausts. The capture efficiency based on smoke concentration at the exhausts exhibits how much smoke can be removed by the exhaust system; whereas, the exhaust effectiveness based on residual life time indicates how rapidly the smoke can reach the exhaust locations, before being exhausted. The definitions and meanings of the indices to be used in representing the exhaust performance of a smoke exhaust system installed in a large space are discussed.

Residual strength capacity of fire-exposed circular concrete-filled steel tube stub columns

  • Alhatmey, Ihssan A.;Ekmekyapar, Talha;Alrebeh, Salih K.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6권5호
    • /
    • pp.485-507
    • /
    • 2018
  • Concrete-Filled Steel Tube (CFST) columns are an increasingly popular means to support great compressive loads in buildings. The residual strength capacity of CFST stub columns may be utilized to assess the potential damage caused by fire and calculate the structural fire protection for least post-fire repair. Ten specimens under room conditions and 10 specimens under fire exposure to the Eurocode smouldering slow-growth fire were tes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ameter to thickness D/t ratio and reinforcing bars on residual strength capacity, ductility and stiffness of CFST stub columns. On the other hand, in sixteen among the twenty specimens, three or six reinforcing bars were welded inside the steel tube. The longitudinal strains in the steel tube and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s were recorded throughout the subsequent compressive tests. Corresponding values of residual strength capacity calculated using AISC 360-10 and EC4 standards are presented for comparison purpose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after exposure to $750^{\circ}C$, the residual strength capacity increased for all specimens, while the ductility and stiffness were slightly decreased.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 predicted residual strength using EC4 were close to those obtained experimentally in thi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