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department

검색결과 3,213건 처리시간 0.026초

우수유출 저감을 위한 투수성 포장의 설치 면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nstallation Areas of Permeable Pavement for Stormwater Control)

  • 장영수;신현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04-109
    • /
    • 2017
  • 도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피해의 증가, 수질의 악화 등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도시유역의 수문학적 체계를 가능한 자연 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기술인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친수구역 특별법 등에서는 LID 기법과 같은 기술의 중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현재 저영향개발 요소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요소기술의 효율성 검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보 단계에 있는 저영향개발(LID)기법의 효율성 검증을 위해 K-LIDM 모형을 사용하여 주차장의 투수 불투수 포장 최적 공간 분포를 분석하였다. 8가지의 포장 시나리오와 3가지 강우강도 시나리오를 활용하였으며, 하부 40%의 투수포장이 전체 투수포장과 유사한 약 90%의 유출 저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과 실제 투수포장에 대한 실험의 연계를 통하여 향후 도시 계획, 단지 조성 등에 LID 시설을 배치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부스 바의 체결 및 중첩 구간에 따른 접촉 저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act Resistance according to the Tightening and Overlapping area of Bus Bar)

  • 김현우;손영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6-62
    • /
    • 2018
  • 부스 바는 초고층 빌딩의 전력공급과 플랜트 산업의 전원 공급부 및 장비 제조 산업 분야의 배전반에 널리 사용되는 전기적인 접속 구조이다. 부스 바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사용 환경에 따른 재질, 전원 용량에 따른 단면적, 표면둘레의 길이, 체결 방법 등이 있다. 설계 시 충분한 전원 용량의 사이즈로 제작된 부스 바의 경우에도 실제 체결이 잘못 될 경우 열화에 의한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기적 접촉부의 온도 상승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접촉부의 온도 상승은 결과에 기인한 현상이지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다. 본 논문은 부스 바의 체결력과 중첩 구간에 따른 접촉 저항의 영향성에 대한 연구로 시편을 제작하여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여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총 8개의 부스 바시편을 제작하여 측정하였고 각각의 시편을 교차하여 체결시 가해지는 체결력과 중첩 구간의 간격을 가변하여 저항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해 이러한 요인이 실제 접촉 저항의 변화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분석하여 안전한 전원 연결 장치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건축물 외장재의 사용 현황과 친환경 성능 (Usage Status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Guidelines for Building Exterior Materials)

  • 박종수;고훈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861-5869
    • /
    • 2014
  • 외장재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디자인 측면에서 계획적인 접근이 많아 외장재의 성능보다 외장재의 색채나 질감 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많았으며 용도에 따른 공학적인 접근에서는 환경과 설비, 화재 구조 등 일반적인 연구 주제들에 국한되어 건물 유형에 적합한 외장재 선정과 성능제시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물론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적인 관점에서 건축물 외장재의 연구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친환경적인 외장재 선택에 대한 실무적인 관점에서의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여 년간 국내에서 사용된 외장재에 대한 사용 현황을 분석하고 건물용도별 외장재의 특성과 친환경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향후 국내 건설업체 및 설계사무소 등이 친환경적이면서 성능이 적합한 외장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외장재 사용현황은 정량적인 빈도수 분석, 친환경 성능은 복합적인(정성+정량) 분석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조사된 건물의 외장재종류 개수의 평균은 2.59개로 나타났으며 유리, 금속, 석재, 수지, 시멘트, 목재, 점토 순서로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4개의 친환경 외장재 특성에 의거하여 5종류의 고친환경재료를 선정하였으며 8가지 친환경적인 요소를 제시하였다.

열수 살균 조건에 따른 과육 함유 사과주스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Apple Juice Containing Pulp upon Sterilization by Hot Water)

  • 박난영;김재화;우상철;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0-235
    • /
    • 2010
  • 사과주스의 열수 살균조건과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살균 조건에 따른 당도, 산도 및 pH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색도는 살균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으며 무첨가구의 색도 값이 비타민 C 첨가구(0.1%)에 비해 살균 전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였다. 살균온도 $65^{\circ}C$에서 10분과 20분간 처리한 구에서만 일반세균과 곰팡이, 효모가 검출되었고 그 외의 처리구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비타민 C 함량은 살균시간 보다는 살균온도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균조건을 달리하여 저장온도 $4^{\circ}C$$37^{\circ}C$에서 3주간 저장한 결과, 산도, 당도 및 pH의 변화는 살균조건과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거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색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색도 값이 감소하였다. 각각의 살균과 저장조건을 달리한 비타민 C함량은 살균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은 낮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관능평가는 taste, color와 전반적 기호도에서 $75^{\circ}C$에서 20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SC값은 $4^{\circ}C$의 저장온도와 살균온도가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ASC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사과주스의 품질특성은 비타민 C를 첨가하여 $75^{\circ}C$, 20분 살균 처리하여 $4^{\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우수하였다.

배경잡음, S파 및 Coda파 에너지를 이용한 예당저수지 인근부지의 지반증폭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th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eismic Station near Yedang Reservoir using Background Noise, S-wave and Coda wave Energy)

  • 위성훈;김준경;유성화;경재복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632-642
    • /
    • 2015
  • 지반진동은 지진원, 지각감쇠 및 지반의 증폭특성 등 3가지 주요 인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지반 증폭특성은 지진원 및 지각감쇠를 신뢰성 있게 평가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평/수직(H/V) 스펙트럼비를 이용하여 각 관측소의 지반증폭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주파수 영역에서 H/V 스펙트럼 비를 구하는 방법은 Nakamura(1989)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되었으며, 초기에는 상시미동의 표면파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 와서 강진동의 전단파 에너지 등으로 확장되면서 지반 증폭특성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당저수지 인근에 4개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6개의 가속도 지반진동을 이용하여 H/V 스펙트럼 비를 분석하였고 각 지반진동의 S파, Coda파 및 배경잡음 각각으로부터 분석된 지반증폭 특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4개 관측소는 각각의 우월 주파수 대역(YDS: ~11 Hz, YDU: ~4 Hz, YDD: ~7 Hz)에서 관측소 고유의 증폭특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도출 결과와 다른 방법을 통해 구한 결과의 비교 평가는 국내 지반의 동적특성 및 지반분류 연구에 유익한 정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119구급대원의 행위태도,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행위 통제가 안전의도,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관계 모형 (Model f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Behavioral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 Safety Intention and Safety Behavior in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문태영;최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15-22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119구급대원의 행위태도, 주관적 규범 및 지각된 행위 통제가 안전의도와 안전행동에 관한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강원, 대구, 충남, 경북, 부산에 거주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중 119구급대원으로 활동하는 남녀 373명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2.1과 Amos 1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가설 검정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유의수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급대원의 행위 태도가 안전 의도와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행위 태도가 안전 의도와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32, p<.001). 둘째, '구급대원의 주관적 규범이 안전 의도와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주관적 규범이 안전 의도와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27, p<.001). 셋째, '구급대원의 지각된 행위 통제는 안전 의도와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지각된 행위 통제가 안전 의도와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28, p<.001). 넷째, '구급대원의 안전 의도는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안전 의도가 안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39, p<.001).

불면증(不眠症)의 병인병리(病因病理)에 관한 문헌고찰 (Literatual Study on Pathology of Insomnia)

  • 최재홍;이동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2궈1호
    • /
    • pp.81-95
    • /
    • 2001
  • Though, these days there are increasing many patient of insomnia, there was not considered literatual study on insomnia. So, the result of consideration about cause and process of insomnia from thirty kinds of literatures, are as follows. 1. Early literature like Huangjaenankyung(黃帝內經), Sanghanron(傷寒論) reffered to insomnia as accompanying symptom. on the other hand, Myung(明), Chung(淸)'s literatures reffered to that as chief symptom or distinguished chief symptom from accompanying symptom. 2. There were tendency of deductive expanding of various masters and tendency of induction of simple theory that was based on Huangjaenankyung(黃帝內經). 3. Huangjaenankyung(黃帝內經) showed basic process of the sleep disorder that 'exhausting of Yin and excess of Yang (陰盡陽盛)', protecting energy does not invade Yin portion(陽氣不入於陰). And Huangjaenankyung(黃帝內經) showed cause of insomnia that deficiency of vital energy and blood, imbalanced of spleen and stomach, a fever as a invasion in the outside, lung system's disease. This became a basic cause and process of the sleep disorder in ancient period. 4. Sanghanron(傷寒論) occurred to insomnia as accompanying symptom in progress, remedy of a fever invaded outside, Kumkyeyoriak showed as origination in weakness, fatique, various diseases. Out of that, there is a significance in description of insomnia from some disease like histery or neurosis. 5. Jaebyungwonhuron(諸病源候論), Chunkumbang(千金方), Kukbangseo(局方書.) occured to a fire of heart(心慤) and a deficiency of heart and gall bladder(心膽虛) in defails. Insomnia is caused by agony of seven emotion, delivering of a child, are similar to insomnia is caused by psychologic disorders. Injaesanghanyusu(仁劑傷寒類書) occured to exhausting of Yin and excess of Yang (陰盡陽盛), imbalanced of stomach(胃不和) invasion of coldness(傷寒) are brought a conclusion of assumption of sap(津液耗損) brought about unreturn of yin energy. 6. Manbyunghuechum(萬病回春) in Myung period (明代) made much of portion of phlegm's influence about spiritual function. Kyungakjunsu(景岳全書) valued much of treatment divided according to excess and deficiency. Junginmaekchi(證因脈治) occurred to concept of pyorihesil(表裏虛實), Dongyibokam(東醫寶鑑) synthesised various theories. 7. Hyuljungron(血證論), Byunjungkimun(辨證奇聞), Suksilbirok(石室秘錄) made much of surprisemeni(驚恐) Consideration(思慮), liver's dryness(肝燥) is caused by liver's weakness(肝虛), imbalance of haert -kidney(心腎不交), seven emotion(七情). Especially, ftyujungchijae(類證治載) said that heart, liver, gall-bladder, kidney, surprisment, consideration baought to a conclusion of inbalance of Yang and Yin (陽不交陰). There is a tendency in literature mostly that literature showed separation of insomnia as a chief symptom. 8. These days there are increasing many patient of insomnia. So, it is needed to study about insomnia as a psychologic disease. Saying in conclusion, it is needed that we have to recognize in modern style based on ancient style of cause and process of insomnia. It is regarded to study about insomnia definitely and experimently.

  • PDF

폴리인산염 첨가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의 Wood Plastic Composites 열안정성 (Thermal Stability of Polypropylene-Based Wood Plastic Composites by The Addition of Ammonium Polyphosphate)

  • 전상진;이선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82-69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WPC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프로펠렌 매트릭스에 목분과 폴리인산염(ammonium polyphosphate, APP)의 삼종혼합 후, 목분과 난연제 첨가에 따른 목재플라스틱 복합재(wood plastic composites, WPC)의 열분해 거동이 조사되었다. 모든 배합비의 WPC 열분해 거동은 질소의 환경에서 분당 $10^{\circ}C$ 상승속도로 제어하여 열중량분석기(Thermogravimetric analyzer)를 통해 분석하였다. 목분의 열분해온도가 PP의 열분해온도 보다 낮기 때문에 목분에 의해 생성된 char막은 PP로의 열전달 속도를 낮추며, 2차 열분해온도 증가 및 열분해속도를 늦춘다. APP를 첨가한 WPC의 경우 1차 열분해온도 감소 및 2차 열분해온도의 증가를 보여준다. 목분의 함량이 높은 WPC의 경우, APP 첨가 시 1차 열분해온도 감소 및 2차 열분해속도가 증가하였고, 고온에서 잔여물의 양은 APP 함량이 증가할수록 크게 증가하였다. APP가 첨가된 WPC 경우, 목분의 함량이 10 wt%에서 50 wt%로 증가 시 고온에서 잔여물 양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APP 및 목질섬유의 char화가 동시에 발생되기 때문으로 보이며 결과적으로 목분 함량이 증가할수록 APP의 효과가 높게 나타나 열안정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탄화 중밀도섬유판을 이용한 목재흡음판 개발 (Developing of Sound Absorption Composite Boards Using Carbonized Medium Density Fiberboard)

  • 이민;박상범;변희섭;김종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14-722
    • /
    • 2014
  • 선행연구에서 다양한 목질 보드류를 열분해하여 다공질 탄화보드 제조에 성공하였고, 높은 난연성, 전자파차폐성, 원적외선방사, 폼알데하이드 흡착성, 흡음성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과 흡음성이 뛰어난 탄화 중밀도 섬유판(MDF)을 선택하여 보다 높은 흡음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다른 흡음재료에도 사용 중인 샌딩처리와 타공기법을 시도하였다. 또한 개선된 흡음성능을 바탕으로 실제 음향판을 제작하여 그 음향적 효과를 파악하였다. 탄화 MDF를 십자모양(타공 5개), 직사각형모양(타공 9개), 일자모양(타공 5개)으로 타공 처리한 후, 흡음률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 탄화 MDF의 흡음률은 14% 정도를 나타내었고, 직사각형모양 타공 시편이 16.01%로 흡음률이 가장 높았고 십자모양 타공 시편이 15.68%, 일자 타공 시편은 14.25%의 흡음률을 나타내어 그 효과가 미미하였다. 반면에, 탄화 MDF의 표면을 각 1, 2, 3 mm로 표면샌딩 처리후 흡음률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 시편(13%)에 비해 65% 증가한 21.7% (1 mm 샌딩), 21.83% (2 mm 샌딩), 19.37% (3 mm 샌딩)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실대형 탄화보드 복합 음향판을 제작하였으며 잔향실법으로 흡음시험한 결과 감음계수 0.45로 높은 흡음성능을 발휘하여 상업화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의 깊이감 지각과정에 나타난 시각정보획득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Visual Attention during Spatial Depth Perception)

  • 김종하;조지영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115-128
    • /
    • 2018
  • 디자인 과정과 실제 공간을 사용함에 있어 공간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동일한 공간이라도 어떻게 디자인하느냐에 따라 공간의 깊이감에 대한 지각이 달라질 수 있다. 공간의 3차원적인 속성인 넓이, 깊이, 높이 중 넓이와 높이감에 대한 이론과 연구들에 비해 깊이감에 대한 이론이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데 이는 넓이나 높이에 비해 공간의 깊이감이 초래하는 효과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던 원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Computer Graphic으로 제작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하여 깊이감에 대한 지각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44명의 실내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실험에 참가하여 마주보이는 벽면에 깊이감을 자극하는 구성요소를 달리한 3개의 이미지를 보며 가장 깊어보이는 공간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이미지간에 주시시간의 차이가 나타났고, 가장 깊어 보이는 공간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도 주의집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깊이감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기존 정설에 대한 정량적인 타당성을 제시하고, 이상적인 공간의 깊이감을 얻을 수 있는 디자인 방법 개발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