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and explosion hazards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전기레인지의 특성과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 Fire Hazard of Electric Range)

  • 이정일;하각천;김지명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80-390
    • /
    • 2019
  • 연구목적: 최근 전기레인지의 사용증가와 더불어 화재도 증가하고 있다. 전기레인지 중 대표적인 인덕션과 하이라이트 방식에 대해 구조 및 작동방법을 알아보고 화재위험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두 방식에 대하여 연소실험, 전열실험, 발화실험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이라이트 전기레인지는 키친타월이 2분 후 연소되었고, 조리를 마친 후 잔열이 식는데 약 25분이 소요되며, 니크롬선의 붉은 기운이 3~4분 만에 사라지고 불꽃이 보이지 않았다. 결론: 실험 결과 하이라이트 방식은 화상 및 화재 위험성이 존재하며, 특히 상판에 균열이 있을 경우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방향족탄화수소의 인화점과 연소점 측정 및 예측 (Prediction and Measurement of Flash Point and Fire Point of Aromatic Hydrocarbons)

  • 하동명;한종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26
    • /
    • 2005
  • 인화점과 연소점은 가연성 물질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연소 특성치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향족탄화수소에 대해 Pensky-Martens 밀폐식 장치(ASTM-D93) Tag 개방식장치(ASTM D1310-86)를 이용하여 인화점을 측정하였고, Tag 개방식 장치를 이용하여 연소점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인화점은 문헌값들과 일치하였으며, 연소점은 화학양론계수의 1.23배를 근거로 예측 값과 비교한 결과, 제시된 식은 실험값과 잘 일치하였다.

  • PDF

한국의 LPG 충전소에 있어서 작업복의 정전기에 의한 화재 및 폭발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zards Assessment of Electrostatic Firing Explosion of Working Wears at LPG Stations in Korea)

  • 조영두;구자혁;최광석;서대원;정재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0-24
    • /
    • 2000
  • 한국의 Liquid Petroleum Gas 충전소에 있어서 안전관리자의 정전기에 대한 안전 의식을 설문 조사했다. 또한, 위험요소로 판단된 일반 작업복과 순면 작업복의 정전기에 의한 화재 폭발 위험성을 평가했다. 설문 조사에 의하면, 충전소에서는 정전기 예방 측면의 효율적인 교육 및 인식 부족으로 인해 무분별한 작업복을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 착용하고 있는 일반 작업복의 경우, 실험에 의한 대전 전하량이 동복 1.79$\mu$C 춘추복 1.44$\mu$C, 하복 1.02$\mu$C로 한국공업규격 (KS K-7807) 에서 정전기 재해 위험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0.60$\mu$C를 크게 상회하여 위험성이 존재했다. 반면. 순면 작업복의 경우는 대전량이 0.52$\mu$C에서 0.42$\mu$C의 범위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시각적, 체험적 교육을 병행한 정전기 교육의 질적 향상이 요구되며, 정전기에 의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착용하는 작업복에 대한 관련 기술 기준의 제정이 요구된다.

  • PDF

HAZOP을 통한 해양플랜트 흡착식 탈수공정 패키지의 위험성평가 및 안전도 향상 방안 (A Case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for Offshore Plant Solid Desiccant Dehydration Package by using HAZOP)

  • 노현정;박상현;조수길;강관구;김형우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4_2호
    • /
    • pp.569-581
    • /
    • 2020
  • Since the dehydration packages of offshore plant deal directly with oil & gas, there is a great risk of fire and explosion during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performed risk assessment through HAZard & OPerability (HAZOP) for solid desiccant dehydration package that can remove water component of natural gas in offshore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LNG) production facilities below 0.1 ppmv. The risk matrix was determined by dividing the likelihood and the severity into five levels separately by asset, life, environment and reputation. The piping & instrumentation diagram (P&ID) of the dehydration package was divided into 9 nodes. Total 22 deviations were assessed in consideration of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conversion cycle. A risk assessment based on deviations revealed 14 major hazards. Three representative types of hazards were open/close failure of the control valve, control failure of the heater, and abnormal operation of the regeneration gas cooler. Finally, we proposed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safety devices to improve safety against these major hazards, such as safety instrumented functions, alarms, etc.

산류(Acids)의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의 신뢰성 고찰 (Investigation of Reliability of Flash Points and Autoignition Temperatures of Acids)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2-47
    • /
    • 2009
  • The flash point and the AIT(auto-ignition temperature) are the most important combustible properties us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for the fire and explosion hazards of flammable material. In order to know the accuracy of data in 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 the flash point of n-acids were measured by using Pensky-Martens closed cup tester(ASTM D93), Setaflash closed cup tester(ASTM D3278), Tag open cup tester(ASTM D1310) and Cleveland open cup tester(ASTM D92). Also, the AIT of n-acids were measured by using ASTM E659-78 tester. The measured the flash points and the AIT were compared with literatures and MSDS in KOSHA. The measured the flash points and the AIT were different from those in literatures and MSDS.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at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MSDS compatibility of n-acids for the fire safety objectives.

Analysis of Secondary Battery Trends Using Topic Modeling: Focusing on Solid-State Batteries

  • Chunghyun Do;Yong Jin Kim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2권3호
    • /
    • pp.345-362
    • /
    • 2023
  • As the widespread adoption and proliferation of electric vehicles continue, the secondary battery market is experiencing rapid growth. However, lithium-ion batteries, which constitute a majority of secondary batteries, present high risks of fire and explosion. Solid-state batteries are thus garnering attention as the next-generation batteries since they eliminate fire hazards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 of explosion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study aim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provide insights by examining 2,927 domestic papers related to solid-state batteries over the past decade (2013-2022). Specifically, we used topic modeling to extract major keywords associated with solid-state batteries research and to explore the network characteristics across major topics. The changes in research on solid-state batteries were analyzed in-depth by calculating topic dominance by year. The findings provide an overview of the emerging trends in domestic solid-state battery research, and might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in shaping long-term research directions.

밀폐계 측정장치를 이용한 물-노말프로판올 계의 인화점 (Flash Points of Water+n-Propanol System Using Closed-Cup Measurement Apparatus)

  • 하동명;최용찬;이성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40-145
    • /
    • 2002
  • The Flash Poi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bustible properties us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for fire and explosion hazards of chemical materials. An accurate knowledge of the flash point is important in developing appropriate preventive and control measures in industrial fire protection. The lower flash points for the Water + n-Propanol systems were measured by using Pensky-Martens closed cup tester. The experimental data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laws of Raoult and van laar equation. The calculated values based on the van Laar equation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those based on the Raoult's law.

Methanol, Ethanol, 1-propanol 그리고 Toluene 이성분 혼합계에 대한 인화점 측정 (Measurement of Flash Point for Binary Mixtures of Methanol, Ethanol, 1-propanol and Toluene)

  • 황인찬;김선우;인세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1-6
    • /
    • 2018
  • 인화점은 산업현장에서 액체의 화재 및 폭발 위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로써 가연성 물질의 화재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안정성 평가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산업에서 용매로 사용되는 이성분계 혼합물 중 {methanol+toluene}, {ethanol+toluene} 그리고 {1-propanol+toluene}에 대한 인화점을 SETA 밀폐식 인화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이성분계 혼합물에 대한 인화점을 예측하기 위해 Raoult's의 법칙, Wilson, NRTL 및 UNIQUAC 파라미터를 이용하였고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Raoult's의 법칙을 제외한 비교 결과, 모든 예측값과 실험값은 유사한 값을 보였고 편차가 1.69 K이내의 결과를 보였다.

스티렌 모노머 화재폭발사고 피해예측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mage prediction analysis for styrene monomer fire explosion accidents)

  • 최형수;최민제;조규선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37-44
    • /
    • 2024
  • 본 연구는 석유 화학사 생산공장에 설치된 스티렌 모노머 저장 탱크의 화구(fireball)와 증기운 폭발(VCE)에 대한 최악의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피해 예측 및 사고영향을 분석하였다. 혼합잔사유 저장 탱크의 주성분인 스티렌 모노머 이상중합반응 시 화구(fireball)와 증기운 폭발(VCE)로 인한 복사열과 과압의 영향 범위는 e-CA 사고 피해 예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복사열과 폭발 과압의 피해 영향 범위는 각 최대 반경 1,150m와 626m로 분석된다. 복사열 4kW/m2이 미치는 1,150m 이내 사람은 20초 동안 노출 시 피부가 부풀어 오를 수 있다. 폭발 과압 21kPa이 미치는 626m 이내 건축물은 철 구조물의 손상과 기초에서 이탈될 수 있고, 사람은 신체 부상할 수 있다. 화재, 폭발 또는 누출 사고 발생 시 복사열, 과압에 의한 사업장 내 근로자, 인근 주민 또는 주변 시설물 등의 위험 정도와 수용 여부 위험 기준을 판단하고, 취급 물질 유해·위험성 파악, 비상대응체계 구축, 개선 및 투자 활동 등을 통해 사업장 피해 최소화 대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과열감지용 열변색 겔성형체의 특성 평가 (Properties Evaluation of Thermochromic Gel Compounds for Detecting Overheating)

  • 김정훈;조명호;강영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1-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특정물질의 과열로 인한 이상 상태를 조기에 감지하여 화재 및 폭발로의 전이 위험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열변색 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한 겔성형체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과열감지용 대상물에 대한 적용성을 확대하기 위하여 성형체는 원료물질의 종류와 함량, 그리고 제조방법에 따라 점탄성형과 도포형의 2가지로 제조하였다. 변색성 시험, 점도 특성, 변색 개시시간, FT-IR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상 조건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변색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이 제조되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