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pread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31초

경사에 따른 산불의 확산속도 (Spread Speed of Forest Fire based on Slope)

  • 안상현;신영철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75-79
    • /
    • 2008
  • 현재는 기술적인 발전을 토대로 정보의 요구수준이 상당부분 증대되었으며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분야 또한 더 많은 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 되어지고 있다. 특히 산불에 있어서는 산불발생시 공간적으로 넓은 지역을 신속히 분석하여 진화의 기초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환경적, 경제적, 인명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대피경로, 확산경로 및 진화자원의 효율적 배치를 결정하는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산불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경사에 따른 산불확산속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경사 및 경사방향에 따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상향경사의 경우 경사가 증가할수록 시간이 감소하고, 하향경사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값을 토대로 상향경사는 (+), 하향경사는 (-)로 구분하여 경사에 따른 산불확산속도를 계산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정확한 산불확산예측을 하는데 기여함으로써 효과적인 산불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차단막에 의한 랙크 구획화가 화재확산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ck Compartment using Barriers on Reducing the Fire Spread)

  • 조규환;여인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66-75
    • /
    • 2018
  • 랙크 내 설치되는 차단막은 초기 화재확산을 지연시키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소화를 목적으로 설치되는 천장형 스프링클러의 입장에서는 소화수의 원활한 공급에 장애물로서 비춰질 수도 있다. 이에 In-Rack 스프링클러와 차단막을 동시에 적용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차단막의 설치조건에 따른 화재확산 지연성능 및 In-Rack 스프링클러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축소모델 화재실험을 통해 차단막의 설치조건에 따른 화재확산 지연성능과 In-Rack 스프링클러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랙크 내에 수평과 수직 차단막을 동시에 설치한 경우, 4배 이상의 화재확산 지연성능이 발휘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획화로 인한 구획 내 온도 상승 또한 약 2~3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나 In-Rack 스프링클러가 조기에 작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긍정적인 효과 또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층 건축물 외장재의 화재 재현에 관한 연구 (해운대 우신골든스위트의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re Reconstruction of Exterior on High-rise Building (Focus on Fire Case Including the Woosin Golden Suite in Haeundae))

  • 민세홍;이재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5-30
    • /
    • 2013
  • 해운대 우신빌딩 화재는 고층건축물의 외장재 수직화재에 의해 4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최상층인 38층까지 올라가서 펜트하우스까지 모두 전소시켰다. 이 화재를 계기로 초고층 건축물의 위험성이 크게 대두되었고, 이후 다양한 초고층 관련 법규들이 신설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용 CFD 프로그램 중 FDS를 사용하여 해운대 오피스텔 빌딩의 화재를 재현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은 상층부로의 화염 전파 시간 및 경로에 관하여 관련 기사와 화재 동영상을 통해 비교 조사하였다. 이 결과 최상층까지 확산하는 시간이 약 30분으로 실제 화재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으며 확대되는 화재 성상도 유사함을 나타냈다. 그러나 최상부로 올라갈수록 실제 화재는 V자 형태를 넓게 보였지만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수평으로 전파하는 범위가 작게 보였다. 이는 FDS가 격자 형태로 표현되고 얇은 외장재를 표현할 수 있는 한계와 바람 방향에 의한 불확실성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화재확산 영향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무풍일 때와 쌍둥이 타워 사이의 외장재가 콘크리트일 때를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시행한 결과 실제 화재보다 수직화재가 크게 발생하는 않는 결론을 얻었다.

랙크식 창고 화재의 수직 확산 방지를 위한 수평차단막과 In-Rack 스프링클러 적용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orizontal Barrier and In-Rack Sprinklers to Prevent Vertical Spread of Rack-type Warehouse Fires)

  • 박문우;홍성호;최기옥;최돈묵;김수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5-21
    • /
    • 2019
  • A rack-type warehouse has the advantage of storing a large amount in a small area by loading goods vertically. But in terms of fire risk, the fire load is very high, which can cause massive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minimize the spread of vertical fires, and relevant standard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In Korea, research and related standards are insufficient to prevent the vertical spread of rack-type warehouse fires.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prevent the vertical spread of a rack-type warehouse fire using a horizontal barrier and in-rack sprinklers. As a result of the test, the horizontal barrier considering the continuous flame prevented the vertical spread of the flame for a certain time. However, the horizontal barrier with continuous flame did not show the effect of preventing continuous flame. The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barrier and the in-rack sprinkler prevented the vertical spread of fire effectively. In addition, the heat collecting effect through the horizontal barrier was shown and helped the early operation of the in-rack sprinklers.

GIS 응용(應用)에 의한 2000년(年) 삼척(三陟) 산불의 확산속도(擴散速度) 분석(分析) (Analyzing Spread Rate of Samcheok Forest Fire Broken out in 2000 Using GIS)

  • 이병두;정주상;김형호;이시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781-787
    • /
    • 2001
  • GIS를 응용하여 2000년 4월 7일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에서 발생한 산불을 대상으로 진화당일인 15일까지 9일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산불확산속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형, 임상분포, 기상, 산불 진행 경계 등 산불확산인자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다중회귀분석에 의해 산불확산식을 도출하고자, 일별 산불확산 패턴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산불 발생 첫날인 4월 7일 10시에서 12시 사이의 거리 평균 확산속도는 12.3m/min로 가장 빠르게 확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후 확산속도는 다소의 변화를 거치면서 점차 낮아져 1m/min 이하까지 내려갔고, 결국 15일 최종 진화되었다. 산불 경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일별 산불확산면적은 전 후반기 산불확산 속도가 각각 2.84m/min, 1.10m/min으로 나타난 11일 약 5,700ha까지 올라 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 산불의 확산속도는 경사향, 풍속, 소나무 임상 분포비율에 의해 주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화재 성장 모델이 객차내 화재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f the Effect off Fire Growth Model on Fire Characteristics in a Carriage)

  • 김성찬;유홍선;최영기;김동현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80-185
    • /
    • 2004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fire growth model on fir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in a carriage. The parallel processing version of FDS code is used to simulate the fire driven flow in a carriage and two types of fire growth model which are flame spread model and t$^2$ model are examined for the same geometrical condition. The heat release rates(HRR) of both model are similar each other until 30 s after ignition, but the flame spread model predicts 5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t$^2$ fire model during the quasi-steady fire period. Maximum heat release rate in the case of flame spread model reaches about to 12 MW at 100 s after fire ignition. Also, various database of fire properties for combustible materials and more elaborate combustion model considering the flame spreading phenomena are required for better predictions of fir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using numerical simulation.

A Study on Fire Spread between Office Room and Atrium in the Atrium Building

  • Lee, Su-Kyung;Kim, Jong-Hoon;Ko, Han-Mog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345-352
    • /
    • 1997
  • We could analyse the fire behavior using the developed software for fire safety assessment in a large space such as atrium. But Korean building law hasn't admitted the result of fire risk assessment in atrium. In the legislation fire resistant wall or shutter must be required between atrium and office rooms, That has obstructed development of building design and fire protection technique in Korea. From this point of view, we made scenarios of fire spread between atrium and office rooms, and then computed fire spread and fire phenomena using FASTLite and Breakl. In this study, we can decide that fire compartmentalization between atrium and office rooms doesn't require in Atrium building if the material and fire protection system were reliable. Consequently, Korean Fire Protection Regulations have to consider in direction of increasing freedom of building.

  • PDF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산불의 공간적 특성 (Spatial Patterns of Forest Fires between 1991 and 2007)

  • 이병두;이명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5-20
    • /
    • 2009
  • 산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산불 행동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 시 군 구 단위고 산불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발생 및 확산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1년 부터 2007년까지 17년간 발생건수, 연소면적, 확산속도, 건당 면적 자료를 이용하여 산불 특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GIS를 이용하여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산불의 공간적 특성 변이가 뚜렷하게 관찰되었고, 전국 시 군 구는 산불위험성에 따라 5개의 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대도시와 인근 지역은 산불위험이 낮은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나, 강원도 영동지방 4개 시 군은 가장 위험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그 뒤를 이어 남, 서해안에 인접한 시 군 구의 산불위험성이 높았다.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화재 확산 연구를 위한 실물화재 실험 (The Real Scale Fire Tests for Vertical Fire Spread Study of External Finishing Material)

  • 권오상;유용호;김흥열;김정현;민세홍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85-91
    • /
    • 2012
  • 건축물에서 화재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초기의 화염의 확산을 억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확산방지 대책은 일반적으로 방화구획에서의 구조부재의 내화 성능 확보, 마감재료의 연소 성능에 따른 사용 제한 등이 있다. 마감재료의 연소 성능 판단은 화염의 확산을 판단하기 위해 가장 기초적인 화재 안전 설계이지만 국내의 연소 시험은 시편 크기의 화재 시험 방법으로 연소 성능을 판단하고 있어 샌드위치패널 등과 같은 복합재료의 연소 성능을 판단하기에는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특히 외벽 마감재료의 경우 내부 마감재료에 비해 드라이비트, 알루미늄복합패널, 메탈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복합재료 등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외벽 마감재료의 국제시험규격인 ISO 13785-2 시험방법을 통해 외벽 마감재료의 실물 화재 실험을 통해 외벽 마감재료의 수직화재 확산 특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정압기지에 대한 산불화재 영향평가 (Effect Evaluation of Forest Fire on Governor Station)

  • 장서일;차순철;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9-57
    • /
    • 2007
  •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of effect evaluation of forest fire on governor station in shrub land. Theoretically, to evaluate effects of forest fire, it is combined that Spread Rate of Forest Fire, Flame Model, and Thermal Radiation Effects Model; i.e. a travel time of forest fire is calculated by Spread Rate of Forest Fire, fire-line intensity is calculated by Flame Model, and effects of fire-line intensity is affected by Thermal Radiation Effects Model. With the aforementioned method, we could carry out the effect evaluation of forest fire on governor station in shrub land and could distinguish scenarios to need protection plan from all scen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