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Simulation

검색결과 1,021건 처리시간 0.023초

개구부의 기하학적 형상이 구획실의 연료-공기 혼합특성 및 백드래프트 거동에 미치는 영향 (Geometric Effects of Compartment Opening on Fuel-Air Mixing and Backdraft Behavior)

  • 하수임;오창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30-38
    • /
    • 2019
  • 메탄 연료성분이 가득 찬 축소 구획실을 대상으로 개구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내부 연료의 혼합특성과 백드래프트 발생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대와동모사를 수행하였다. 통상의 문 형태(Door)와 가로 형태의 문이 벽면 상단($Slot_U$), 중단($Slot_M$) 및 하단($Slot_L$)에 있는 구획실의 4가지 개구부 조건들에 대해서 검토를 수행하였다. 점화원이 없을 경우 구획실 내부로 유입되는 산소의 양과 외부로 유출되는 연료의 양은 Door > $Slot_U$ ~ $Slot_M$ > $Slot_L$의 순서로 크지만 $Slot_U$의 경우가 구획실 내부에서 연료와 산소가 전체적으로 가장 잘 혼합되었고 $Slot_L$의 경우에는 연료와 산소가 층을 이루어 혼합이 가장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획실 내 산소량과 연료량으로 정의되는 총괄당량비는 구획실에서 발생하는 백드래프트의 강도와 잘 연관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백드래프트 발생 시의 구획실 내부의 최고 압력은 혼합이 가장 잘 이루어진 $Slot_U$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lot_L$의 경우에는 압력상승이 낮아 백드래프트가 발생하지 않았다. 백드래프트 발생 시 Door와 $Slot_M$ 조건에서의 최고 압력값은 $Slot_U$ 다음 순서로 나타났으며, 각 조건들의 최고압력은 백드래프트 발생순간까지의 총 열발생량과 잘 연관되어 설명될 수 있었다.

PAPS에 기반한 여자고등학교 기숙사생의 피난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Evacuation in a Dormitory Girls' High School based on PAPS)

  • 전승덕;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469-481
    • /
    • 2022
  • 이 연구는 여고 기숙사에서 피난 시 층별 및 실별 인원 배치에 따른 RSET(피난소요시간)을 분석하여 피난 안전성을 높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생 개개인의 체력이 피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PAPS 결과를 분석하여 피난 시뮬레이션에 반영하였다. PAPS 결과를 바탕으로 4개의 시나리오를 적용하되 피난로 미지정 시와 지정 시로 구분하여 Pathfinder를 활용한 피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나리오 중에서 피난로 지정 시 시나리오 4가 RSET 168.5초로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학생체력을 배제한 체 학력신장과 생활지도에 중점을 두고 기숙사생을 배치하는 것은 피난 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PAPS를기반으로 평가등급이 낮은 학생들을 저층, 평가등급이 높은 학생들을 고층에 배치하고 실별 피난로를 지정하는 것이 피난 안전성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실질적인 피난대피훈련을 통하여 피난 안전성을 높이는 방안과 여학생들의 생활습관 및 체력을 반영한 피난 안전성 평가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실습선 재난 시 피난 시나리오 별 위험구역 평가 (Evaluation of Hazardous Zones by Evacuation Scenario under Disasters on Training Ships)

  • 임상진;이윤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00-208
    • /
    • 2024
  • 승선 인원이 많은 실습선은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대형 인명피해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원법 및 Safety Life At Sea(SOLAS)에서는 퇴선 훈련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승선 인원이 많은 국립목포해양대학교의 세계로호를 대상선박으로 선정하여 preliminary hazard analysis(PHA) 정성적 위험성 평가 기법을 통해 각 deck의 화재 사고 위험빈도와 심각성에 대하여 예측하였다. 또한 위험성이 높은 구역에서의 화재를 가정 한 뒤, 그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대피 시간 및 인구 밀도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총 대피시간이 인구 분포가 한 구역에 집중되어 있던 식사 시간을 가정한 시나리오에서 501초로 가장 길게 예측되었으며 시나리오에 따라 일부 deck에서 1.4pers/m2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인구밀도를 나타내며 대피 인원이 정체되는 현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피난 시나리오에 따른 대피시간 및 인구밀도를 정량화하여 실습선의 상황에 맞는 훈련 시나리오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것으로 보이며 추후 수학적 모델과 실험값의 비교를 통하여 연구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attle Lab에서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LVC 연동방안 (The LVC Linkage for the Interoperability of the Battle Lab)

  • 윤근호;심신우;이동준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81-88
    • /
    • 2012
  • M&S 도구로서의 Battle Lab은 무기체계 획득 주기상 소요결정부터 연구개발 및 시험평가/훈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Battle Lab 구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초보적인 Battle Lab을 구축하고 있다. 전장 환경을모의함에 있어서 특히 Live, Virtual, Constructive 모델이 연동되는 M&S 도구의 활용도는 무기체계 개발을 위한 SE(체계공학)프로세스 전 과정에 걸쳐 적용 될 경우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기술적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장 환경 모의시 모의 체계간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활용도를 극대화한다.L-V 연동은 Virtual 모의기에서의 전술데이터링크 활용으로 Live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과 V-C간 연동은 Virtual/Constructive 모의기에 M&S의 표준 도구인 RTI 활용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을 방공 Battle Lab으로 구축한 사례를 보인다. 방공 Battle Lab은 표적이 접근하는 경우 교전 무기체계에서 상부체계 명령을 통해 교전 모의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Constructive인 표적과 유도탄, 레이더, 발사대 모의기와 Virtual인 중앙방공통제소, 대대, 사격통제소 모의기간에 RTI RPR-FOM 1.0 연동하고, 또한 Virtual 모의기간 전술데이터링크 Link-11B, ATDL-1을 연동하여 Live 체계간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음을 보인다.

WUI 산불 소유역에 대한 GIS 기반 침식모형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of GIS-based erosion models for post-fire small watershed in the wildland-urban interface)

  • 신승숙;안승효;송진욱;채국석;박상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6호
    • /
    • pp.421-435
    • /
    • 2024
  • 2023년 4월에 양강지풍의 영향으로 영동지역에 위치한 강릉에 산불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릉 WUI (Wlidland-Urban Interface) 산불 소유역을 대상으로 식생회복에 따른 침식률을 평가하고자, GIS 기반의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와 SEMMA (Soil Erosion Model for Mountain Areas)를 이용하였다. WUI 화재 소유역은 고도의 범위가 10-30m로 낮으며, 사면의 평균경사는 10.0±7.4°로 준경사면 (general slope)에 해당한다. 토성은 유기물 함량이 높고, 토심이 깊은 양질사토(loamy sand) 이었다. 산불 이후 구곡부(gully)에서 초본층이 왕성하게 재생함에 따라,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가 최대 0.55에 이르렀다. 침식률 모의 결과 RUSLE은 0.07-94.9 t/ha/storm의 범위이었고, SEMMA는 0.24-83.6 t/ha/storm의 범위를 보였다. RUSLE는 SEMMA보다 평균침식률을 1.19-1.48배 과다 예측하였다. 소나무 화재목이 분포하고, 경사가 급한 중부사면에서 침식률이 크며, 초본층의 회복이 빠른 구곡아래 와지(hollow)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침식률을 보였다. SEMMA는 화재 사면의 NDVI가 0.25(Ic=0.35) 이하인 특정 식생피복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침식민감도를 보였다. 유기물 함량이 높고 자연 식생의 회복이 빠른 준경사면은 급경사면에 비해 침식률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WUI 산불 지역은 집중호우에 의한 토사재해로 후속적인 물·인적 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본 연구 결과는 화재 이후 응급대처의 시행을 위한 목표 관리 및 의사 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전자식 점화안전장치 회로 시스템 내부 소자 변화에 따른 민감 소자 확인 및 출력 특성에 대한 신뢰성 분석 프로세스 (Identifying Sensitive Components and Analyzing Reliability Process to Output Characteristic for an EAFD Circuit System According to Changes of Internal Component Values)

  • 임태흥;변강일;장승교;백승준;손영갑;추호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97-703
    • /
    • 2018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circuit for electronic arm and fire device(EAFD), and investigated the sensitive elements of the circuit system. For reliability analysis, the EAFD ignition circuit was modeled using the PSpice simulation tool, and the output results of the circuit were examined by changing the tolerance of each circuit element. Monte Carlo simulation was used by maintaining the values of the observed sensitive elements at ${\pm}10%$ of the original values and adjusting the values of the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a random distribution. The histogram results of the output peak currents and pulse widths were represented by Weibull and Burr type XII function fittings in three cases(element values are +10 %, 0 %, -10 % of original). For the output peak currents, mean values were 1.0028, 1.0034, and 1.0050, where the variance values were calculated as 0.0398, 0.0396, and 0.0290 using the Weibull function fitting, respectively. For pulse widths, the mean values of 0.9475, 0.9907, and 1.0293 with the variance values of 0.0260, 0.0251, and 0.0238 were obtained using the Burr Type XII function fittings.

PVC 오수받이 내부 Z형 트랩의 동결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reezing Assessment of the Water in the Z-Trap of Sewage Bay)

  • Lee, Changwoo;Oh, Seungju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98-10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PVC 오수받이를 대상으로 상용 프로그램인 FEM LAB(ver. 3.2)을 이용하여 여러 시공 환경조건에서 오수받이 내부에 설치된 악취방지용 Z형 트랩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물의 겨울철 동결여부를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외부온도 $-20^{\circ}C$가 42일간 지속되더라도 토양이 건조한 상태라면 Z형 트랩에 남아 있는 물이 동결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토양이 습윤 상태일 경우 약 14일 정도, 토양이 일반상태의 경우 약 17일 정도가 지나면 Z형 트랩이 위치한 지면으로부터 60cm 지점이 Z형 트랩 내에 동결될 가능성이 있으나, 토양이 건조한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42일이 지나도 지면으로부터 60cm 지점은 영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Z형 트랩 내에 있는 물이 동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무소건물 태양열급탕시스템의 LCC 최적화 시뮬레이션 (Optimizing the Life Cycle Cost of a Solar Water Heating System in an Office Building Through Simulation)

  • 고명진;최두성;장재동;김용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2권12호
    • /
    • pp.859-866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conomics of a solar water heating system for an office building using life cycle cost (LCC) optimization simulations. The numer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with TRNSYS and GenOpt employing the Hooke-Jeeves algorithm. The solar collector area, slope, mass flow rate per collector area and storage tank volume were selected as the main design parameters of the solar water heating system. The LCC optimization simulations of the system were carried out for cases where water temperature was $60^{\circ}C$ and $50^{\circ}C$. The results showed that for water temperature at $60^{\circ}C$ and $50^{\circ}C$ the collector area could be decreased by 17% and 28%, storage tank volume could be decreased by 49% and 54%, and mass flow rate per collector area increased by 5% and 9% respectively compared to a non-optimized system. The LCC of the system was reduced by 4% for $60^{\circ}C$ and 7% for $50^{\circ}C$. The initial installation cost of the system was reduced by 24% for $60^{\circ}C$ and 34% for $50^{\circ}C$. However, the operating cost of the system increased by 16% for $60^{\circ}C$ and 36% for $50^{\circ}C$ compared to a traditional solar water heating system.

비예혼합 대향류 화염의 축대칭 모사 - 연료농도가 화염구조에 미치는 영향 - (Axisymmetric Simulation of Nonpremixed Counterflow Flames - Effects of Fuel Concentration on Flame Structure -)

  • 박외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4-50
    • /
    • 2003
  • 연료농도에 따른 대향류 화염구조의 변화를 조사하고 수치법을 검증하기 위해, 축대칭 메탄-공기 대향류화염을 모사하였다. 변형률 $a_g=20,\;60,\;90\;s^{-1}$과 연료 중 메탄의 몰분율 $x_m=20,\;50,\;80\%$를 수치매개변수로 하여, 변형율과 연료농도에 따라 온도분포, 닥트 중심축의 온도분포와 축방향 속도의 분포를 계산하였다. 축대칭 모사는 혼합분율 연소모델을 채용한 FDS로 수행하였고, 계산결과를 구체적 화학반응을 포함한 1차원 화염코드 OPPDIF의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모든 변형율과 연료농도에서 축대칭 모사의 온도 및 축방향 속도 분포가 1차원 계산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료농도가 증가하면 화염의 두께와 최고온도가 증가하고 반경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국형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을 위한 환기시스뎀 전략 (Ventilation System Strategy for a Prospective Korean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 김진;권상기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5-148
    • /
    • 2005
  • 방사성 폐기물의 지층 처분장 건설 및 운영을 위한 개념 선정 단계에서는 폐기물 운반 및 거치뿐 아니라, 처분장의 건설/운영/폐쇄 기간 동안 지하 처분장의 작업 환경 및 위생, 안전, 그리고 처분장내의 수분 제거와 같은 향후 처분장의 환경을 위해 처분장 환기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향후 처분장의 환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동굴처분 방식의 중-저준위 처분장 및 지하 심부에 위치하게 될 고준위 처분장에 대한 환기시스템 개념설계 기준 및 요구사항에 대한 내용이다.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환기 시스템에서 가장 주된 기본 설계 개념은 처분장 건설과 폐기물저장을 위한 작업활동을 위해 각각 독립적이고 분리된 환기시스템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환기시스템의 설계과정에 대해 기술하고 환기회로 모델링 방법, 자연 환기, 환기 모니터링 시스템과 실시간 환기 시뮬레이션, 화재 시뮬레이션 및 비상 방재 시스템에 관한 사항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