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 Hazard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24초

지하철 화재시 제연모드에 따른 열 및 연기 배출 특성 연구 (A Study on Heat and Smoke Exhaust Characteristics from the Subway Fire for Different Ventilation Modes)

  • 장희철;윤경범;박원희;김태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7-42
    • /
    • 2008
  • 본 연구는 지하철에서 화재발생시 최적의 제연모드 예측을 목적으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현재 국내 지하철 화재발생시 제연모드는 승강장 내 화재구역 배기, 비화재구역 급기 또는 정지로 설정 되어있다. 수치해석 조건은 2가지 국내 비상시 제연모드 및 발화 4분(승강장 피난허용시간, NFPA 130) 이전까지 승강장에서 배기를 하며, 발화 4분이 후 터널 배기로 전환되는 스위치모드의 3가지 경우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승객 호흡높이(1.7 m)를 기준으로 열, 일산화탄소 및 가시거리를 비교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급기팬 작동은 연기를 교란시키고 확산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승강장 및 터널 제연모드로 작동할 경우 승강장의 제연모드로만 작동한 경우에 비하여 연기 배출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imonene - Expanded Polystyrene 혼합물의 자연발화 특성 (Autoignition Characteristics of Limonene - Expanded Polystyrene Mixture)

  • 송영호;하동명;정국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6
    • /
    • 2004
  • 감용제 limonene을 이용하는 EPS 자원 재활용 공정에 있어서, limonene - EPS 혼합 액체의 저장$.$취급시의 화재위험성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혼합물의 농도 및 시료양의 변화에 따른 최저발화온도를 측정하였고, 발화와 비발화 영역을 비교하였다. 발화온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가장 과학적인 원리로서 이용되고 있는 발화 지연 시간, 활성화 에너지 및 발화온도의 관계식을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ln t = 0.704/T-5.819로서 제시하였다. 또, 가연성 혼합물의 농도 변화에 따른 발화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혼합물의 농도와 발화온도의 관계식을 비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T_m=248.32+69.27X+172.60X^2$로서 제시하였다. 그 결과, 발화 지연 시간과 발화온도와의 관계식 및 혼합물의 농도와 발화온도와의 관계식에 의해서 limonene - EPS 혼합물의 발화온도의 추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복사열전달 수치해석을 통한 지표화 방화선 구축 폭 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Mathematical Method of Radiation Heat Transfer for Estimating Width of Firebreak in Surface Fire)

  • 김동현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59-64
    • /
    • 2010
  • 산불 지표화의 방화선 구축작업은 낙엽 및 관목류 등 지표 연료층을 제거함으로써 화염전파를 차단하는 대표적인 간접진화방법이다. 화재역학적인 의미의 방화선 구축은 화염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전달에너지에 미연소 연료가 착화되지 않도록 열전달 차단 구간을 설정하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낙엽층에 대해 복사열전달 점열원 모델을 이용하여 풍속, 경사별로 지표화 화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선 구축 폭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방화선 구축 폭은 소나무 낙엽 착화 임계 복사열유속인 $4.9\;kW/m^2$가 미치는 거리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풍속 0~5 m/s, 경사 $0{\sim}50^{\circ}$ 조건에서의 방화선 구축 폭은 평균 화염 기준의 경우, 0.35~0.65 m, 최대 화염높이 기준의 경우, 0.75~1.05m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안전율을 고려한 적정 방화선 구축 폭은 최대 화염 높이를 적용한 1.05 m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실험 및 현장사례조사를 통하여 지표층 연료별 적정 방화선 구축 폭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 재해위험도 평가 모형 연구 - 화재, 시설, 피난위험도 중심의 청주시 사례 - (Empirical Application for the Urban Disaster Risk Assessment : Fire, Facility and Escape Cases in Cheongju City)

  • 황희연;백기영;박병호;이만형;황재훈;류을렬;김태환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23-137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도시재해의 특성과 자료확보 가능성을 기반으로 청주를 사례로 화재, 시설, 피난위험도에 한정하여 재해위험도 평가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평가기준에 있어 동별 기준으로 화재위험도는 화재발생건수와 피해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시설위험도의 경우 중점관리시설의 개소 수와 관리등급을 기준으로 하고 있고, 피난위험도는 지목별 면적과 지목별 가중치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청주시에 대한 모형 적용 결과 화재위험도는 불량주거지역과 생활편익시설이 집중되어 있는 중심 상업지역내의 시가화구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시설위험도와 피난위험도는 신흥 아파트 밀집지역과 구주거지역 모두가 높게 나타났다 종합위험도에 있어서는 중심상업지역과 그 주변밀집주거지역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1시간 내화구조용 철강재 벽체의 내화성능과 단위 패널 휨강도의 관계 고찰 (A Rigorous Examination of the Interplay Between Fire Resistance of 1-Hour Rated Fireproof Steel Walls and the Flexural Strength of Individual Panels)

  • 전수민;옥치열;강성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37-546
    • /
    • 2023
  • 국내 건축물의 방화구획에 사용되는 철강재 벽체는 품질시험 등을 거쳐 내화구조로 인정받은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 품질시험은 내화 및 부가 시험으로 이루어지는데 철강재 벽체의 부가 시험 항목은 가스유해성과 휨강도이다. 가스 유해성의 경우 준불연 심재 사용으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생략되므로 내화구조 인정 과정의 부가시험은 휨강도만 실시하는 셈이다. 휨강도의 경우 벽체를 구성하는 단위 판의 강도를 측정하는데, 특정 강도 이상으로 명시되어 인정되기에 강도가 높으면 내화시험 시 시험체 변형에 저항하여 차염성과 차열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이에 현재 인정이 유효한 1시간용 건축용 철강재 벽체구조의 인정 당시 시험 데이터를 분석하여 내화성능과 휨강도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양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장재 연소확대방지용 헤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ead for Prevent the Fire Spread of Exterior)

  • 민세홍;김미숙;장영진;사재천;배연준;이재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13-1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건축외장재 화재로 인한 수직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확대방지용 헤드를 개발하였다. 헤드개발의 성능기준은 NFPA 80A 7.7.4.3 조항(Recommended Practice for Protection of Buildings Exterior Fire Exposures)에 의거하였으며, 방사압 0.05 MPa, 방수량 60 l/min 기준을 적용하였다. 헤드개발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드렌처헤드와는 사용용도 및 구조가 전혀 상이하나 이를 응용가공하여 총 5차례의 실험과정을 통해 방사압 0.05 MPa일 때 방수량 65 l/min의 연소확대방지용 헤드를 개발하였다. 연소확대방지용 헤드의 헤드 간 적정 이격거리는 실험결과, 3~5 m 이내로 건물별 화재위험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계에 적용하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붕소 화합물로 처리된 편백나무 시험편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ypress Specimens Painted with Solutions of Boron Compounds)

  • 정영진;진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1-6
    • /
    • 2018
  • 붕산과 5붕산암모늄으로 처리한 편백나무 시험편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을 ISO 5660-1 표준에 따른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붕산과 5붕산암모늄의 혼합된 투여는 그들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화재성능지수 값을 향상시켰다. 또한 붕소 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은 공시편보다 총열방출율 값이 6.1~14.1% 감소되었다. 붕소화합물로 처리된 시편의 총연기방출율은 연소과정 전반에 걸쳐 감소되었으나 붕산/5붕산암모늄은 예외였다. 일산화탄소 최대농도는 15.8~25.5% 정도 감소하는 경향성이 있었다. 대체적으로 난연제로 처리한 목재는 화재 위험성이 낮아진 것으로 이해된다.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Risk Regions using GIS)

  • 이시영;안상현;원명수;이명보;임태규;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7-46
    • /
    • 2004
  • 산불로 인한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산불발생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인자에 따른 산불발생위험지역을 구분하고자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피해지역에 대하여 임상, 지형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요인들 간 독립성 유무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산불발생과 관련 있는 7개의 주제도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주제도률 조건부확률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산불발생확률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산불발생확률을 20개 등급으로 지수화하여 산불발생위험지역을 구분하였다.

  • PDF

나사조임토크에 따른 전선접속부의 열적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Wire Connection Part Depending on the Screw Torque)

  • 김시국;지승욱;박상민;이춘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82-88
    • /
    • 2012
  • 본 논문은 나사조임 단자대에 접속되는 전선접속부의 나사조임토크에 따른 열적특성을 분석하고자, 나사조임토크를 KS C 2625에서 규정한 정상조임토크와 시공불량 및 경년변화 등의 원인으로 인해 나사조임의 풀림으로 발생될 수 있는 이상조임토크를 실험의 변수로 하였다. 이때, 정상조임토크와 이상조임토크에 동일한 부하를 인가한 후,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전선접속부의 열적특성을 측정한 후 비교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전기안전점검 시 단자대 접속개소의 조임토크 불량으로 인한 발열을 사전에 감지하고, 전기화재의 위험성이 나타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책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oluene, Methylcyclohexane, n-heptane 그리고 Ethylbenzene 이성분 혼합계에 대한 101.3 kPa에서의 인화점 측정 (Measurement of Flash Point for Binary Mixtures of Toluene, Methylcyclohexane, n-heptane and Ethylbenzene at 101.3 kPa)

  • 황인찬;인세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19-24
    • /
    • 2017
  • 인화점은 산업현장에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의 하나로 안정성 평가 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무제조 공정에서 주로 쓰이는 이성분계 혼합물 중 {toluene+ethylbenzene}, {methlycyclohenxane+ethylbenzene} 그리고 {n-heptane+ethylbenzene} 대한 인화점을 101.3 kPa에서 SETA 밀폐식 인화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이성분계에 대하여 Raoult's의 법칙, Wilson, NRTL 및 UNIQUAC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혼합물에 대한 인화점 예측하고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모든 예측값과 실험값은 유사한 값을 보였고 편차가 1.74 K이내의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