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gertip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1초

Effect of light touch on body sway during a stable posture with blocked visual information

  • Kim, Jong-Gun;Kim, Jin-Hong;Do, Kwang-Sun;Yim, Jongeu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5권3호
    • /
    • pp.138-142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light touch with a finger affects balance ability when a posture is maintained in the condition of visual information blockage and to provide a fundamental material for developing balance ability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treatment.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7 healthy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 were studying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system was comprised of an equilateral triangular force platform. Subjects were asked to step on the foot position of the force platform (Good Balance, Finland) barefooted for 30 seconds, with eyes closed, hands hanging down loosely, and feet comfortably apart. It was connected to a laptop by using Bluetooth technolog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ree circumstances: 1) no-touch trial, 2) light touch to the back (T7 area), and 3) light touch to the middle finger of the left hand. Each subject was given a 10-minute break between consecutive measurements. The experimental circumstances were performed randomly. Anteroposterior sway (APSV), mediolateral sway velocity (MLSV), and velocity moment (VM) were measured. Results: The APSVs (mm/s) were $9.32{\pm}3.37$ and $5.45{\pm}2.98$; the MLSVs (mm/s), $6.39{\pm}3.35$ and $3.31{\pm}2.48$; and VM ($mm^2/s$), $17.13{\pm}11.75$ and $6.76{\pm}8.31$ in the first and second experimental circumstances, respectively. APSV, MLSV, and VM valu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the 1) no-touch trial and 2) light touch to the back trail conditions compared with the 3) light touch to the middle finger of the left hand condition (p<0.05).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balance ability for maintaining a body posture was influenced more by light touch to the back (T7) than by light touch with the sensitive fingertip and body sway diminished after visual information was blocked.

수지 첨부 절단창의 재접합술 시 원위지 관절 고정과 운동 범위의 관계 (A Comparative Study of Range of Motion With or Without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Fixation in Replantation of the Amputated Fingertips)

  • 한승규;노시영;김진수;이동철;기세휘;양재원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0권1호
    • /
    • pp.18-25
    • /
    • 2011
  • Purpose: In the process of replantation of the amputated fingertips, the primary concern was given to survival of the amputees, while the functional aspect of digits after the surgery has been easily neglected. Although an internal fixation with a K-wire is often a part of replantation of the amputated fingertips, little consideration had been given to the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fixation and post operative range of motion. A comparative study in relation to post operative range of motion was done on two different groups, one group with K-wire insertion and the other group without a K-wire insertion at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done on the cases of a single digit amputation conducted at our institute (the age in the range of 10 to 60) in about four-year of time span from March of 2005 to March of 2009. The cases with a thumb replantation, osteomyelitis or articular surface injury have been excluded from this study. The cases of both head and shaft fracture, except the insertion site of tendon, of distal phalanx of internal fixation with a single K-wire were reviewed for this study. A group of 24 cases without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fixation in comparison to a group of 22 cases with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fixation was reviewed to assess the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at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on the 6th week after the surgery. And, on the 30th month after the surgery, a group of 10 cases without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fixation in comparison to a group of 10 cases with joint fixation was reviewed. A K-wire was removed in about 5 weeks after the fracture was reunited under the radiographic image, immediately followed by a physical therapy. Result: The active range of motion for a group without interphalangeal joint fixation was measured $49.0^{\circ}$ on average, while $28.6^{\circ}$ was measured for a group with interphalengeal fixation on the 6th week after the surgery. On the 30th month after the surgery, the active range of motion was measured $52.0^{\circ}$ and $55.0^{\circ}$ on average for a group without and with interphalangeal fixation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e process of replantation of the amputated fingertips, short-term(on the 6th week) improvement of postoperative active motion of range can be expected in the cases without distal interphalangeal fixation in comparison to the cases of interphalangeal joint fixation with a K-wire. However, there seems to be no difference on motion of range in a long-term (on the 30th month) follow up period.

  • PDF

원키 키보드: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 문자입력을 지원하는 초소형 QWERTY 키보드 (One-key Keyboard: A Very Small QWERTY Keyboard Supporting Text Entry for Wearable Computing)

  • 이우훈;손민정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1-28
    • /
    • 2006
  • 상용화된 웨어러블 컴퓨팅용 문자입력장치 중 팔목에착용하는 키보드가 많은데 대부분 소형화를 위해 키 수를 줄이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하지만 충분한 착용성 확보를 위해 키보드의 키 수를 대폭 줄일 경우 보통 문자당 키입력수(KSPC)가 증가하기 때문에 입력효율이 저하되고 학습을 위해 부가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등 우수한 웨어러블 키보드를 개발하는데 있어 착용성과 사용성이 상충하는 문제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키 간격을 줄여 극적으로 키보드를 소형화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일련의 실험을 통해 키 간격 7mm인 키보드의 경우 물리적 폼팩터차원에서 착용성과 사회적 수용성이 충분히 긍정적이고 문자입력속도가 3세션 평균 15.0WPM 정도의 가능성 있는 결과를 도출했다. 하지만 수동적인 촉각 피드백과 입력에 대한 충분한 시각적 피드백의 부재가 문자입력수행도를 저하시킨다는 실험참가자들의 지적에 따라 원키 키보드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전통적인 키보드의 경우 하나의 키에 하나의 문자가 할당한다. 반면 원키 키보드의 경우는 $70mm{\times}35mm$ 사이즈의 단일 키 위에 10*5배열의 QWERTY 키보드 문자배열을 모두 표시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인 키보드와는 달리 키 판에서 어떤 문자를 입력했는지 키 입력 순간 손가락의 위치를 센싱하여 해당 문자를 계산하도록 하였다. 원키 키보드에 대한 입력효율 평가를 통해 5세션 평균 18.9WPM의 입력속도와 6.7%에러율을 기록했으면 최고 24.5WPM을 기록했다. 실험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원키 키보드는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 착용성, 사회적 수용성, 입력효율성, 학습용이성 등의 상충적 요소에 대한 적절한 절충점을 제시하는 가능성 있는 문자입력장치로 평가되었다.

  • PDF

타이핑 작업 시 수직형 키보드의 수평면 끼인각 변화에 따른 상지의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With Transverse Plane Angle Changes During Vertical Keyboard Typing)

  • 이강진;노정석;김택훈;신헌석;최흥식;오동식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7-76
    • /
    • 2009
  • In order to prevent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effective keyboard selection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ransverse plane angle changes during vertical keyboard typing. Sixteen healthy men were recruited. All subjects had a similar typing ability (rate of more than 300 keystrokes per minute) and biacromion and forearm-fingertip lengths. Four different types of keyboard (vertical keyboard with a transverse plane angle of $60^{\circ}$, $96^{\circ}$, or $120^{\circ}$, and a standard keyboard) were used with a wrist support. The test order was selected randomly for each subject. Surface electromyography (EMG) was used to measure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a keyboard typing task. The collected EMG data were normalized using the reference contraction and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RVC).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MG data, a repea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5, was used. Bonferroni correction was used for multiple comparis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MG amplitude of all seven muscles (upper trapezius, middle deltoid, anterior deltoid, extensor carpi radialis, extensor carpi ulnaris, flexor carpi radialis, and flexor carpi ulnaris) assessed during the keyboard typing task. The mean activity of each muscle ha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transverse plane angle increased. The mean activity recorded during all vertical keyboard typing was lower than that recorded during standard keyboard typ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and error score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nsverse plane angles of $60^{\circ}$ and $120^{\circ}$ with regard to comfort. In conclusion, a vertical keyboard with a transverse plane angle of $60^{\circ}$ w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muscle activity compared with vertical keyboards with other transverse plane angles.

  • PDF

지각 장애의 신경 심리학적 기전 (Neuropsychological Mechanism of Perceptual Disorder)

  • 이성훈;박윤조;김동화;박혜정;김지웅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2호
    • /
    • pp.143-148
    • /
    • 1999
  • 목 적: 지각 장애가 어떤 뇌의 부위와 기능에 장애가 있을 때 발생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정신과와 뇌손상 환자에서 신경심리 검사와 지각 장애와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정신과 환자 69명, 뇌손상 환자 50명, 총 119명에서 Halstead Reitan 신경 심리 검사와 K-WAIS, MMPI를 시행하였다. MMPI 항목 중 지각 장애와 관계되는 9개 항목에서 산출된 점수와 신경심리 검사의 결과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 정신과 환자에서 지각 장애 점수가 높은 지각 장애군 21명과 지각 장애가 없는 지각 장애 17명을 t-test로 비교하였다. 결 과: 뇌손상 환자군에서 지각 장애가 전두엽 기능을 보는 범주화 검사, 선로 잇기 검사, 촉각 수행 검사, 손끝 숫자 쓰기 검사와 우측 반구 기능을 보는 촉각 수행 검사의 위치, 동작성 점수, 빠진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등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 피질하 기능을 보는 숫자 상징, 산수, 숫자 외우기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정신과 환자의 높은 지각 장애군은 우측 반구 편측화 지수와 빠진 곳 찾기, 토막 짜기와 같은 우측 반구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또 이해, 어휘, 공통성과 같은 좌측 반구 기능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지각 장애는 전두엽, 우측 반구, 피질하 구조의 기능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발생이 되며, 정신과 환자군에서는 좌측 반구의 기능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인 Kabuki 증후군 환아들의 임상적 표현형 및 세포유전학적 양상 (Phenotypic and Cytogenetic Delineation of Six Korean Children with Kabuki Syndrome)

  • 고정민;황정민;김현주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7권1호
    • /
    • pp.37-44
    • /
    • 2010
  • 목적: Kabuki 증후군은 정신 지체를 동반하는 선천성 다발성 기형 증후군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6례의 Kabuki 증후군 증례가 산발적으로 보고 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자들이 경험한 Kabuki 증후군 환자 6명의 임상 및 유전학적 특징을 조사하고, 이를 외국 문헌들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아주대학교 병원 유전질환 전문센터에서 Kabuki 증후군으로 진단되어 추적 중인 6명의 한국인 여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의 임상 및 검사 소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 6명의 환자 모두가 특징적인 얼굴 모습 및 발달 지연 소견을 보이고 있었고, 손끝의 태아 패드 또한 모든 환자에서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대부분의 환자가 생후 성장 지연(83.3 %) 및 근력 저하(83.3%) 소견을 보였다. 안과적인 이상 또한 흔하게 동반되었는데, 특히 사시(83.3%)가 가장 흔한 안과적 이상 소견이었다. 선천성 심장 기형은 50%의 환자에서 동반되었으며, 골격계통의 증상으로는 짧거나(83.3%) 굽은(50%) 5번째 손가락, 관절의 과신전(50%) 및 고관절 탈구(16.7%) 등으로 다양하였다. Kabuki 증후군의 가족력을 가진 환자는 없었으며, 핵형 분석 및 array CGH를 포함한 세포유전학적 분석에서 Kabuki 증후군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 론: 한국인 Kabuki 증후군 환자들이 보이는 임상 양상은 매우 광범위하며 다양한 신체 기관을 침범하고 있다. 비록 Kabuki 증후군의 임상적특징들이 비교적잘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아직질환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유전적 이상은 확실히밝혀지지 않았다. 적절한 질환의 관리및 유전상담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Kabuki 증후군의 자연 경과 및 유전적 배경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한 일시적 진동감각역치 변화 (Temporary Threshold Shift of Vibration Sensation by Dental Handpiece)

  • 김성아;이종영;김두희;박순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4호
    • /
    • pp.765-771
    • /
    • 1995
  • 치과용 핸드피스에서 발산하는 고주파수의 진동에 의한 일시적 진동감각역치 변화를 관찰하고자 치과위생병 28명을 대상으로 34,000rpm의 low-speed handpiece를 진동기구로 사용하였다. 진동에 폭로시키기 전과 후, 치과의사가 스케일링시 취하는 작업자세에 5분간 폭로시킨 후의 진동감각역치를 청력계기의 골전도진동기를 사용하여 250 Hz에서 그들이 주로 사용하는 손의 제2지두수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23.5{\pm}3.5dB,\;30.8{\pm}4.2dB,\;23.7{\pm}4.6dB$로 진동에 5분간 폭로시킨 후의 역치가 폭로 전에 비해 7.3dB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01). 진동폭로 전후의 차이에 따른 분포를 보면, 10 dB 내외로 증가한 사람이 71.4%로 대부분이었고 16 dB의 증가가 가장 높았다. 진동 폭로 전의 진동감각역치와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와의 상관관계는 각각의 상관계수가 0.0360, -0.1657, -0.2641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흡연에 따른 차이도 흡연군(N=20)과 비흡연군(N=8)의 진동감 각역치가 각각 23.1 dB, 24.6 dB로 그 차이 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핸드피스와 같은 고주파-진동기구를 사용하는 치과의사 및 치과위생사에게서 진동감각역치의 변화가 예상되며, 말초신경병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작업자세에 의한 장기간의 영향 및 아말감 충전시 사용하는 수은의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레이노 환자의 한랭 부하 후 손가락 끝 온도 측정을 통한 진단 보조지표의 가능성 연구 (A Study for possibility of Diagnostic Indicators by measuring the Fingertip Temperature after Cooling Load in Raynaud's Patients)

  • 장호석;허영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83-29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레이노 현상 의심 환자의 정량적 판독 보조 지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레이노 현상 의심 환자 99명에서 가능성 낮음 48명, 중간 16명, 높음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는 $15.2{\pm}0.8^{\circ}C$ 얼음물에 10분 간 양 손을 한랭 부하 후 $^{99m}Tc$ 370 MBq(10 mCi)를 정맥 주사하였다. 이 후 5분, 10분, 20분 양측 열 손가락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고, 핵의학 판독의의 판독 결과와 온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판독 결과 레이노 현상의 가능성이 낮은 군은 손가락 온도가 $32.6{\pm}4.9^{\circ}C$로 높게 측정되었고, 가능성이 높은 군은 $22.7{\pm}6.0^{\circ}C$로 낮게 측정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레이노 현상 의심 증상에 따라 손가락 온도의 차이가 났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손가락 온도의 측정이 레이노 진단의 정량적 보조 지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주 곶자왈숲 삼림욕 후에 심박동변이에 미친 영향 (Effects of Heart Rate Variability after Visiting the Gotjawal Forest in Jeju)

  • 신방식;이형환;이근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
    • /
    • 2018
  • 제주 곶자왈 삼림욕 후 혈관연령타입, 혈관연령지수, 심박세기, 혈관탄성도, 심장의 잔혈량 및 평균맥박의 비율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은 14명과 실험군은 49명을 대상으로 손끝의 맥파 측정기로 측정하여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결과에서는 혈관연령타입, 혈관연령지수, 심박세기(b/a 비율), 심장의 잔혈량(d/a 비율), 평균맥박의 비율의 변화는 대조군은 사전·사후의 평균치 차이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실험군에서는 유의성이 있었으며(p<.011), 사후의 분산분석에서는 그룹 내 및 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1). 혈관탄성도(c/a 비율)변화는 대조군과 실험군은 사전 사후의 평균치 차이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사후의 평균 측정치의 분산분석에서는 그룹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룹 간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평균맥박의 변화는 그룹 내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그룹 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제주 곶자왈숲에서 2시간 이상의 삼림욕 후에는 심박동변이(HRV)가 유의성이 높게 나타나서 b/a, c/a, d/a, e/a 비율 변이가 HRV의 변화 측정에 유용한 도구라 생각하며, 삼림욕이 심혈관의 건강 유지에 우수한 자연요법이라 판단한다.

  • PDF

망상의 신경심리학적 기전 (Neuropsychological Mechanism of Delusion)

  • 이성훈;김동화;박윤조;박혜정;신윤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7권1호
    • /
    • pp.60-66
    • /
    • 2000
  • 목 적: 정신분열병이 뇌질환으로 인식되고 연구되면서 그 정신병리 역시 특정 뇌의 구조와 기능의 장애에 의해 발생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저자들은 그 대표적인 증상인 망상이 뇌의 어떤 구조와 기능의 장애와 관계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기질적 뇌손상이 없는 정신과와 뇌손상 환자에서 신경심리 검사와 망상과의 관계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 정신과 환자 69명, 뇌손상 환자 50명, 총119명의 환자에서 Halstead Reitan 신경심리 검사와 K-WAIS, 청각사건 관계전위 검사 및 MMPI를 시행하였다. MMPI 항목 중 망상과 관계되는 24개 항목에서 산출된 점수와 신경심리 검사와 N120과 P300의 전위와 잠복기와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알아보았다. 또 정신과 환자에서 망상 점수가 높은 고망상군 18명과 저망상군 21명을 t-test로 비교하였다. 결 과: 뇌손상 환자군에서 망상이 전두엽 기능을 보는 범주화 검사, 선로 잇기 AB 검사, 촉각 수행 검사, 숫자 상징 검사, 손끝 숫자 쓰기 검사와 전체적인 뇌손상 수준을 보는 IQ와 뇌손상 지수와 높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 좌측 측두 및 두정엽 기능을 보는 지식, 이해, 어휘, 공통성, 언어 발음 지각 검사, 높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고 피질하 기능을 보는 산수, 숫자 외우기, 집중력 점수, 숫자 상징 검사, 바꿔 쓰기, 선로 잇기 AB 검사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 우측 반구 기능을 보는 촉각 수행 검사의 위치, 빠진 곳 찾기, 동작 점수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고망상군 정신과 환자군이 저망상군 정신과 환자에 비해 좌측 반구 기능을 보는 검사인 이해, 어휘, 언어성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피질하 기능을 보는 $N_1$의 전위, 산수와 숫자 상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망상은 전두엽, 좌측 측두 및 두정엽, 피질하가 상호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우측 반구도 부분적으로 관계 된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