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ger joint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3초

형상기억합금 구동기를 이용한 로봇 손 개발 (Development of a Robotic Hand using Shape Memory Alloy Actuators)

  • 전창국;유동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47-152
    • /
    • 2016
  • 형상기억합금은 가열되거나 냉각될 때 모양과 강도가 변화하면서 큰 힘을 발생한다. 와이어 형태의 형상기억합금은 열을 가하면 길이가 축소되면서 상당히 큰 힘을 발휘하며, 소음없는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모터를 대체할 수 있는 구동기로 활용가능하다. 이런 형상기억합금 구동기는 전기로 직접 가열할 수 있으며, 큰 범위의 운동을 만들어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상기억합금 구동기를 이용하여 3 개의 손가락을 가진 6 자유도의 로봇 손을 개발하고 제어하는 것에 대해 기술한다. 각 손가락은 2 개의 관절을 가지고 있으며, 각 관절은 길항(拮抗) 운동을 위해 서로 반대로 동작하는 두 개의 힘줄에 의해 구동된다. 부드러운 운동을 위한 충분한 힘을 만들어 내기 위해 각 힘줄은 2 개의 형상기억합금 구동기가 병렬로 구성된다. 형상기억합금 구동기를 가열하기 위한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PWM 드라이버를 채용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손가락의 길항 작용을 평가한다.

Sauve-Kapandji 수술 후 한방재활치료에 대한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Treatment after Sauve-Kapandji Procedure)

  • 조은별;금지혜;백동기;이정한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9
    • /
    • 2019
  • 본 증례에서는 넘어진 후 상완골 골절 진단 하에 수술하였으나 뒤늦게 원위 요척관절 탈구로 진단되어 1차 수술 후 정복 소실되어 Sauve-Kapandji 수술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방재활치료를 약 3주간 시행하였다. 관절가동추나, 침 치료, 한약물 치료 등 한방재활치료 결과 우측 팔꿈치, 손목, 손가락 관절 가동범위, 수술부위 통증, 근력, 상지 기능 등에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 본 연구는 단일 증례 보고라는 한계가 있으나, 한방재활치료가 수술 후 환자의 전반적인 경과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ontrolled active exercise afte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hand fractures

  • Jun, Dongkeun;Bae, Jaehyun;Shin, Donghyeok;Choi, Hyungon;Kim, Jeenam;Lee, Myungchu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1호
    • /
    • pp.98-106
    • /
    • 2021
  • Background Hand fractures can be treated using various operative or nonoperative methods. When an operative technique utilizing fixation is performed, early postoperative mobilization has been advocated. We implemented a protocol involving controlled active exercise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and analyzed the outcomes. Methods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roximal phalangeal or metacarpal fractures of the second to fifth digits were included (n=37). Minimally invasiv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procedures were performed. At 3 weeks postoperatively, controlled active exercise was initiated, with stress applied against the direction of axial loading. The exercise involved pain-free active traction in three positions (supination, neutral, and pronation) between 3 and 5 weeks postoperatively. Postoperative radiographs and range of motion (ROM) in the interphalangeal and metacarpophalangeal joints were analyzed.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ROM were found between 6 and 12 weeks for both proximal phalangeal and metacarpal fractures (P<0.05). At 12 weeks, 26 patients achieved a total ROM of more than 230° in the affected finger. Postoperative radiographic images demonstrated union of the affected proximal phalangeal and metacarpal bones at a 20-week postoperative follow-up. Conclusions Minimally invasiv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minimized periosteal and peritendinous dissection in hand fractures. Controlled active exercise utilizing pain-free active traction in three different positions resulted in early functional exercise with an acceptable ROM.

뇌졸중환자의 음악.동작 프로그램 적용을 위한 예비연구 (The Preliminary Study on Music?Movement Program developed for Stroke Patients)

  • 서문자;정성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9-89
    • /
    • 2003
  • Purpose: This research with one group pre-post design was carried out to test the practical feasibility to administrate the Music Movement program developed for the stroke patients. Subjects: 12 stroke survivors at "J"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were participated in. The average age was 68 years old, the ratio of sex was almost 5.8:4.2, the duration of was almost over 1 year. Method: Music Movement program was conducted for 2 hours ${\times}$ 1day ${\times}$ 6 weeks. The contents of Music Movement program were consisted of the preparatory activities, main activities and the wrap up activities. The preparatory activities are ice braking, greeting, explanation of the aims of music movement program, and introduction of stroke disease and ROM exercise. The main activities are the body motions with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The wrap up activities are stretching and joints and discussion of home activities. Data Collection: The outcome variables are muscle strength, finger pinch power, ROMs, flexibilit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was measured by CES-D(Kim, I. J., 1999), life satisfaction by ladder scale(McDowell & Newell, 1996), and ADL state(Holbrook & Skilbeck, 1983). Data Analysis: SPSS/PC 10.0 for Window was used.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used to analyze outcome measures.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5. Results: This program was effective to decrease the depression level of subjects(p<.05). The muscle strength, hand grip power, ROMs, life satisfaction, and rehabilitation state of the subjects were slightly increas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 Additionally every patient replied that they were very satisfied and expressed their appreciation for this program very much. Of course they strongly want to continue to participate in and meet the peer group again. Conclusion: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Music Movement program can be supported. Therefore, this Music Movement program can be examined with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control group and ongoing reviews. After that, this program would be applied in public health centers, medical institutes, and welfare centers for the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 PDF

편마비 환자를 위한 근전도 유발 기능적 전기자극기의 개발과 이상적인 전극부착 위치 (Development of EMG-Triggered FES System and Optimal Electrode Location for Chronic Hemiplegic Patients)

  • 박병림;안상호;정호춘;진달복;김성곤;이상세;김영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1-156
    • /
    • 2004
  •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근전도 유발 기능적 전기자극기 개발과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손목, 수지신전 운동 시 가장 효과적으로 근수축을 감지 할 수 있는 위치와 전기 자극 시 가장 이상적인 손목, 수지 신전 운동이 일어나는 부위를 탐색하여 두 부과가 일치하는 이상적인 전극부착 위치를 설정하였다. 1) 전기자극 시스템으로 EMC 계측부, 정전류 회로부를 개발하고 프로그램으로는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기와 Passive FES의 동작이 가능한 형태로 개발하였다 자극조건은 주파수 35 Hz, 펄스폭 150 ${\mu}\textrm{s}$, 비대칭적 이상성 파형을 선택하였다. 2) 상지 편마비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전완의 근위부 1/2부위를 12개의 영역으로 나눈 후 근위부의 외측으로부터 영역의 순서를 정하였다. 각 영역에서 환자의 손목을 신전 하였을 때 근전도 유발 자극기가 감지하는 활동전위의 진폭을 측정하였으며 가장 크게 감지된 영역은 4, 5 영역이었고, 전기자극을 시행하였을 때 손목과 수지부위가 신전 되는 모양이 이상적인 영역은 4, 5, 7, 8 영역이었다.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을 시행하였을 때 근 수축을 감지하여 근전도 유발 전기자극이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이 이상적인 영역은 해부학적으로 4, 5 영역이었다.

가령에 따른 백서 악관절 원판의 형태 및 미세구조적 변화 (CHANGES IN THE SHAPE AND ULTRASTRUCTURE OF THE ARTICULAR DISC OF THE RAT MANDIBULAR JOINT WITH AGING)

  • 서혜경;경희문;성재현;배용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31-34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shape and ultrastructure of the articular disc of the rat mandibular joint with aging. Mechanical stress applied to the articular disc changes during neonatal, suckling, juvenile, adult and senile stages. Mandibular joints of 6 groups of rats(1-, 7-, 17-, 27-, 55-day and over-1-year groups) were removed en bloc and processed for light and electro microscopic study. The changes in the shape of articular disc were examined by light microscope in each group. Structural and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articular disc were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in each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n the 1-day and 7-day groups, the articular disc was long and slender in shape and the articular disc was not fitted with the shape of the mandibular fossa and condyle. However' after that time, the anterior and posterior portions of the articular disc were more bulged and the middle portion was shorter and biconcave. Thus the articular disc was well fitted with the shape of the mandibular fossa and condyle. The cell density decreased with aging. In the l -day and 7-day groups, the Golgi apparatus,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free ribosome, which are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matrix, were developed. In the 17-day, 27-day and 55-day groups, not only the cell organelle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the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matrix but also the cell organelles involved in the remodeling of the extracellular matrix(i.e., finger-like cell process, lysosome and mitochondria)were well developed. With advancing age, intracytoplasmic microfilaments were more accumulated and condroid cells increased. In the over-1-year group, the majority of cells of the articular disc were chondroid cells. The majority of cytoplasmic compartment were filled with intracytoplasmic microfilaments and cell organelles were not developed. Therefore, metabolic activities of the cell was markedly reduced and cells contained structures enduring mechanical stress, and cells which were in the process of degeneration were observed occasionally.

  • PDF

결핵 치료 중 나타나는 관절 증상 (Joint Symptoms During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 김상철;백재중;이태훈;정연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2호
    • /
    • pp.162-168
    • /
    • 2000
  • 배경 : 항결핵제 투여시 나타나는 관절 증상은 경우에 따라서는 증상의 정도가 심해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약물 순응도를 저하시키기도 하므로 항결핵제 투여시 발생하는 관절 증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방법 : 6개월이상 항결핵제 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료 경과 중 특별한 다른 원인이 없이 나타나는 관절 증상에 대해 조사 하였으며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비증상군과 비교함으로써 관절 증상 발생 및 이와 관련한 위험 인자를 확인하였다. 결과 : 관절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가 33명중 19명으로 증상 유병률이 58% 에 달하였으며, 증상은 약물 투여 시작 후 1.9$\pm$1.4개월에 나타나서 3.6$\pm$2.5개월 지속되었다. 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러 관절을 침범하며 어깨관절과 무릎 관절이 각각 10명(53%), 손가락 관절 6명(32%)으로 흔하였다. 대부분의 환자가 항결핵제의 중단 또는 변경 없이 증상이 자연 소실되었으나, 14명(74%)의 환자는 치료 중 관절 증상에 대해 진통제를 복용하였다. 원안을 확인하기는 쉽지 않았으며 PZA 이외의 약물도 증상 발현에 관여 할 것으로 보인다. 비증상군과의 비교에서 연령, 성별, 기저질환, 치료 전 및 치료 중간의 혈중 요산 농도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 항결핵제 투여 중 관절 증상의 발생은 혈중 요산 농도와 관련이 없으며, 이런 증상은 PZA 이외의 다른 약제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 증상이 심해 약을 중단하거나 대체해야 할 경우 이를 고려 하여야 한다.

  • PDF

수지의 종적 Bracket 골단에 대한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for Longitudinal Epiphyseal Bracket of the Finger)

  • 김성수;김기웅;김정호;이찬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54-161
    • /
    • 2020
  • 목적: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에서 교정절골술, 골단판 유리술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17년 4월까지 측만지를 주소로 내원하여 종적 bracket 골단을 확인하고 교정절골술 및 골단판 유리술의 수술을 시행한 환아 11명(27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방사선 사진을 통해 수술 전후의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관절 운동 범위와 환자의 외관적, 기능적 만족도, 이환된 수지의 편위된 정도를 평가하여 환자군을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군과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방법에 따라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을 시행한 평균연령은 10.3세였으며 수술 전 이환된 수지의 편위각은 평균 25.7도에서 수술 후 13.5도로 평균 교정률은 47.4%였다.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환자군의 수술을 시행한 평균 연령은 6.0세였으며 수술 전 평균 24.5도, 수술 후 10.7도의 평균 편위각을 보였다. 평균 교정률은 59.4%였다. 교정절골술을 시행한 군과 골단판 유리술을 시행한 군 간의 수술 전후 및 교정 각도에 대해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각의 환자군에서 교정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 정도를 보였다. 근위 및 원위 지간 관절의 술 후 최종 추시 시 관절 운동 범위는 수술 전 관절 운동 범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능적, 외관적 만족도에서도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종적 bracket 골단으로 인한 측만지 변형을 보이는 환자에서 절대연령 및 골연령, 방사선적 진행 단계에 따라 교정절골술이나 골단판 유리술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두 수술 방법 모두 양호한 임상적 결과와 변형 교정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