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ne particle frac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5초

국내 화강암류를 이용한 일부 인공쇄석사 제조과정에서 생기는 스러지의 광물.물리화학적 특성 (Minera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ine fractions Remained after Crushed Sand Manufacture)

  • 유장한;안기오;장준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55-361
    • /
    • 2006
  • 국내에서 인공쇄석사의 점유율은 30% 이상이며 계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국내 인공쇄석사는 주로 화강암류를 그 원암으로 이용하고 있다. 인공모래 제조공정 중에 생기는 스러지(63마이크론 이하입자)는 침전제를 이용하여 분리하며, 그 양은 중량비 15% 내외이다. X-선 회절분석에 의하면 스러지 구성광물은 석영, 장석류가 3/4 이상을 차지하며, 그밖에 방해석 등과 각종 점토광물류를 포함한다. 점토류 중에는 운모 및 고령토류가 우세하고, 녹니석, 질석과 함께 스멕타이트류도 포함된다. 쥬라기 화강암류에서 발생되는 스러지는 대체적으로 백악기의 것에 비해서 더 많은 고령토류, 녹니석 및 질석류를 포함한다. 화학조성에 있어서도 화강암류와 스러지의 사이에 명확한 차이를 보여준다. $SiO_2$$Na_2O$ 성분 외에는 스러지가 화강암 원석류보다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그들이 풍화작용에 의한 증가임을 나타낸다. 스러지에 대한 입도분석에 의하면, 토양조직 분류에서의 Silt loam 정도에 해당하며, 변수두 투수실험에 의해 측정된 수리전도도에 의하여서도 silt 및 sand가 우세하게 포함된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버려지고 있는 스러지는 silt 및 점토입자함량에 의하여 불투수성을 야기하므로 산업폐기물로 간주되어 환경오염물로 분류되고 있다.

Effects of Inhalable Microparticles of Seonpyejeongcheon-Tang in an Asthma Mouse Model - Effects of Microparticles of SJT -

  • Yang, Won-Kyung;Lee, Chul-Hwa;Kim, Min-Hee;Kim, Seung-Hyeong;Choi, Hae-Yoon;Yeo, Yoon;Park, Yang-Chu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3-311
    • /
    • 2016
  • Objectives: Allergic asthma generally presents with symptoms of wheezing, coughing, breathlessness, and airway inflammation. Seonpyejeongcheon-tang (SJT) consists of 12 herbs. It originated from Jeong-cheon-tang (JT), also known as Ding-chuan-tang, composed of 7 herbs, in She-sheng-zhong-miao-fang.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cal delivery of SJT via inhalable microparticles in an asthma mouse model. Methods: Microparticles containing SJT were produced by spray-drying with leucine as an excipient. SJT microparticles were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ir aerodynamic properties, in vitro cytotoxicity, in vivo toxicity, and therapeutic effects on ovalbumin (OVA)-induced asthma in comparison with orally-administered SJT. Results: SJT microparticles provided desirable aerodynamic properties (fine particle fraction of $48.9%{\pm}6.4%$ and mass median aerodynamic diameter of $3.7{\pm}0.3{\mu}m$). SJT microparticles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against RAW 264.7 macrophages at concentrations of 0.01 - 3 mg/mL. Inhaled SJT microparticles decreased the levels of IL-4, IL-5, IL-13, IL-17A, eotaxin and OVA-IgE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in mice with OVA-induced asthma. These effects were verified by histological evaluation of the levels of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collagen, destructions of alveoli and bronchioles, and hyperplasia of goblet cells in lung tissues. The effects of SJT microparticles in the asthma model were equivalent to those of orally-administered SJT extrac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JT is a promising agent for inhal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asthma.

XAD 수지에 의한 친수성 및 소수성 수용성 유기탄소의 특성조사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Hydrophilic and Hydrophobic Fractions of Water-soluble Organic Carbon with a XAD Resin)

  • 정재욱;김자현;박승식;문광주;이석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7-346
    • /
    • 2011
  • 24-hr integrated measurements of water-soluble organic carbon (WSOC) in PM2.5 were made between May 5 and September 25, 2010, on a six-day interval basis, at the Metropolitan Area Air Pollution Monitoring Supersite. A macro-porous XAD7HP resin was used to separate hydrophilic and hydrophobic WSOC. Compounds that penetrate the XAD7HP column are referred to hydrophilic WSOC, while those retained by the column are defined as hydrophobic WSOC. Laboratory calibrations using organic standards suggest that hydrophilic WSOC includes lowmolecular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and carbonyls with less than 4 or 5 carbons, amines, and saccharides. While the hydrophobic WSOC is composed of compounds of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with carbon numbers larger than 4~5, phenols, aromatic acids, cyclic acid, and humic-like Suwannee River fulvic acid. Over the entire study period, total WSOC accounted for on average 48% of OC, ranging from 32 to 65%, and hydrophilic WSOC accounted for on average 30.5% (9.3~66.7%) of the total WSOC. Based on the previous results, our measurement result suggests that significant amounts of hydrophobic WSOC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probably from primary combustion sources. However, on June 9 when 1-hr highest ozone concentration of 130 ppb was observed, WSOC to OC was 0.61, driven by increases in the hydrophilic WSOC. This result also suggests that processes, such as secondary organic aerosol formation, produce significant levels of hydrophilic WSOC compounds that add substantially to the fine particle fraction of the organic aerosol.

Hydroxyl Terminated Polybutadiene/(설탕 또는 탄산칼슘) 현탁계의 유변물성 및 경화특성 (Rheology and Curing of Hydroxyl Terminated Polybutadiene/(Sugar or Calcium Carbonate) Suspension)

  • 이상묵;홍인권;이재욱;정원복
    • 폴리머
    • /
    • 제38권4호
    • /
    • pp.417-424
    • /
    • 2014
  • 결합제로 열경화성의 hydroxyl terminated polybutadiene(HTPB)을 사용한 고농축 복합화약 시뮬란트의 조성 및 공정조건에 따른 반응성과 유변학적 거동을 연구하였다. 충전제로서 평균입도비가 각각 10:1과 25:1인 bimodal의 탄산칼슘과 설탕을 사용하여 용융혼련기 내에서 최대 75 v%까지 충전하였다. 평판-평판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유변물성을 관찰한 바 bimodal 현탁계를 구성할 경우 unimodal 현탁계보다 훨씬 낮은 상대점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총 충전제 양 중 작은 입자 분율이 0.25에서 최저 값을 보였다. 경화 온도가 높을수록 경화 개시 및 완료가 빨랐으며 토크가 낮게 유지되었고 경화로 인한 온도 상승 폭이 작았다.

선택적 고체순환을 위한 2탑 유동층 시스템에서 고체분리속도에 미치는 조업변수들의 영향 (Effects of Operating Variables on Solid Separation Rate in Two-interconnected Fluidized Beds System for Selective Solid Circulation)

  • 류호정;진경태;배달희;김홍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3호
    • /
    • pp.355-361
    • /
    • 2009
  • 선택적 고체순환을 위한 2탑 유동층 공정에서 고체분리기에 의한 고체분리속도에 미치는 조업변수들의 영향을 측정 및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체분리기를 이용하여 굵은입자(212~300 또는 $425{\sim}600{\mu}m$)와 고운입자($63{\sim}106{\mu}m$)의 분리가 가능하였으며 고체분리속도는 66~987 g/min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고체분리속도는 고체분사노즐의 유속, 고체층 높이, 고체분사노즐의 직경, 고운입자와 굵은입자의 입자크기 차이, 고체분리기 금속망 간극크기 및 혼합입자 중 고운입자의 무게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유동화 속도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항자력과 자기포화도에 의한 WC-8%Co 초경합금의 기계적 성질 평가 (The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y of WC-8%Co Alloys by Coercive Force and Magnetic Saturation)

  • 안동길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8-444
    • /
    • 2000
  • WC-Co 초경합금의 항자력과 자기포화도를 평가하여 합금조직과 이에 따른 기계적 성질의 예측에 관해 연구하였다. WC 입경이 다르고 탄소함량 및 소결온도가 다른 WC-8%-Co 초경합금을 분말 야금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항자력과 자기포화도와 같은 WC-Co 합금의 자기적 특성은 합금조성 및 조직에 크게 의존하였다. 미소한 합금탄소량의 변화와 WC 입도의 차이에 의해서도 WC-Co 합금의 자기적 특성과 경도 및 항절력이 크게 변화하였다. WC 입도가 미세할수록 소결합금의 항자력과 경도는 증가하였고, 항자력은 경도의 증가와 비례하였다. WC-8%Co 합금의 화학 양론적 조성 아래로 카본함량이 감소하면 자기포화도와 항절력이 떨어지고 $\eta$상의 체적률도 꾸준히 증가하였다. WC-Co 합금에 있어서 자기포화도는 항자력과 반비례하였다.

  • PDF

연안 오염퇴적물의 재부상에 의한 중금속의 수계용출특성 (Release of Heavy Metals into Water from the Resuspension of Coastal Sediment)

  • 송영채;수바;우정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469-475
    • /
    • 2014
  • 본 연구는 B광역시 북항을 대상으로 해양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오염도를 평가하고, 해양 퇴적물의 재부상 시중금속의 용출특성 및 생태적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북항 퇴적물의 주요 구성성분은 미세 실트질 및 점토질이었으며, 유기물질과 산휘발성 황화물이 높게 포함되어 퇴적물 내 함유된 중금속으로 인한 생태적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회분식 실험결과, 퇴적물의 재부상으로 인한 중금속 용출속도는 납>>구리>크롬>>아연>카드뮴 순이었으며, 중금속 용출은 금속 황화물의 산화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중금속은 퇴적물의 재부상 약 1시간 내에 급격히 용출되었으며, 재부상에 의한 황화물의 산화는 퇴적물에 존재하는 중금속의 광물내 잔류분율을 증가시키고, 유기물과 결합된 중금속의 분율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퇴적물에 함유된 중금속의 다른 결합분율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퇴적물의 재부상에 의하여 해수로 용출되는 중금속의 용출량은 재부상 시간, 금속 황화물의 산화속도와 재부상하는 퇴적물의 농도에 영향을 받았다.

익산지역에서 황사발생시 PM2.5, PM10 TSP의 농도 특성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PM2.5, PM10 and TSP during the Asian Dust Storm in Iksan Area)

  • 강공언;김남송;김경숙;김미경;이현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08-421
    • /
    • 2007
  • The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particle matters (PM) including $PM_{2.5},\;PM_{10}$, and TSP were evaluated through the measurement data of PM_{2.5}$ (fine particulate), PM_{10-2.5}$ (coarse particulate), and PM_{over-10}$ collected using a MCI (multi-nozzle cascade impactor) sampler of a three-stage filter pack in spring of 2006 in Iksan area. During the sampling period of 10-15 March and 24 days from 8 April to 2 May, 32 samples for PM of each size fractions were collected, and then measured for PM mass concentrations and water-soluble inorganic ion species. Average concentrations of $PM_{2.5},\;PM_{10}$, TSP were $57.9{\pm}44.1mg/m^3$, $96.6{\pm}89.1mg/m^3$, and $114.8{\pm}99.7mg/m^3$, respectively. Water-soluble inorganic ion fractions to PM mass were found to be 36.5%, 18.0%, and 11.1% for $PM_{2.5}$, $PM_{10-2.5}$ and $PM_{over-10}$, respectively. By showing the high concentrations of PM samples during Asian dust events, those three fractions of PM were distinguished between the samples of Asian dust event and the samples of no event. However, the increase of PM concentrations observed during Asian dust events showed a different pattern for some Asian dust events. The differences of those three fractions in the size distribution may depend on differences on place of occurrence of Asian dust storm and course of transport from China continent to Iksan area in Korea. However, the extent of PM mass contribution during Asian dust events was generally dominated by the coarse particles rather than the fine fraction of PM. The variations of water-soluble inorganic ion species concentration in those three PM fractions between the samples of Asian dust event and the samples of no event were also discussed in this study.

NdFeB 자석 재활용을 위한 파분쇄 및 그에 따른 표면 산화 특성 연구 (Breakage and Surface Oxidation Characteristics of Waste NdFeB Magnet for Recycling)

  • 김관호;김가희;이훈;강정신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3호
    • /
    • pp.26-34
    • /
    • 2019
  • 희토류 영구자석(Rare earth magnet)은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폐희토류 자석의 발생량도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폐희토류 자석의 재활용은 주로 자석에 포함되어 있는 희토류 원소를 침출/분리하여 회수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침출 공정에 투입되는 폐희토류 자석의 분쇄 특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희토류 자석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파분쇄 공정 및 분쇄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NdFeB 폐자석을 조크러셔로 파쇄한 결과 급격한 산화 없이 효과적으로 입도가 감소는 하였지만, 롤크러셔의 경우 지속적인 압축에 의해 증가하는 표면과 대기 중의 산소가 반응하여 불꽃을 내며 급격한 산화가 발생하였다. 또한 파쇄 공정을 통해 생산된 시료를 볼밀에 투입하여 분쇄 특성을 파악한 결과, 일반적인 광물과 다르게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분쇄 16분 이후에 정상적인 분쇄가 이루어졌다. 또한 일반적인 광물에 비해 매우 낮은 분쇄율(S)과 미분이 발생이 매우 높은 분쇄분포(B)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NdFeB 폐자석 파분쇄 공정 설계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백령도 및 서울 대기오염집중측정소 에어로졸 질량 분석기 자료를 이용한 대기 중 에어로졸 화학적 특성 연구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1 using Aerosol Mass Spectrometer at Baengnyeong Island and Seoul Metropolitan Area)

  • 박태현;반지희;강석원;김영성;신혜정;박종성;박승명;문광주;임용재;이민도;이상보;김정수;김순태;배창한;이용환;이태형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30-446
    • /
    • 2018
  •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sources and chemical properties of particulate pollutants on the Korean Peninsula, An Aerodyne High Resolution Time of Flight Aerosol Mass Spectrometer (HR-ToF-AMS) measured non-refractory fine particle ($NR-PM_1$) from 2013 to 2015 at Baengnyeong Island and Seoul metropolitan area (SMA), Korea. The chemical composition of $NR-PM_1$ in Baengnyeong island was dominated by organics and sulfate in the range of 36~38% for 3 years, and the organics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the range of 44~55% of $NR-PM_1$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ulfate was found to be more than 85% of the anthropogenic origin in the both areas of Baengnyeong and SMA. Ratio of gas to particle partition of sulfate and nitrate were observed in both areas as more than 0.6 and 0.8, respectively, representing potential for formation of additional particulate sulfate and nitrate. The high-resolution spectra of organic aerosol (OA) were separated by three factors which were Primary OA(POA), Semi-Volatility Oxygenated Organic Aerosol (SV-OOA), and Low-Volatility OOA(LV-OOA) using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 analysis. The fraction of oxygenated OA (SOA, ${\fallingdotseq}OOA$=SV-OOA+LV-OOA) was bigger than the fraction of POA in $NR-PM_1$. The POA fraction of OA in Seoul is higher than it of Baengnyeong Island, because Seoul ha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rimary pollutants, such as gasoline or diesel vehicle, factories, energy facilities. Potential source contribution function (PSCF) analysis revealed that transport from eastern China, an industrial area with high emissions, was associated with high particulate sulfate and organic concentrations at the Baengnyeong and SMA sites. PSCF also presents that the ship emissions on the Yellow Sea was associated with high particulate sulfate concentrations at the measurement sites.